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들으려고'의 표기 원리
2020. 1. 16.
'소리 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춰 적는다는 규정에 따르면 '듣다'의 활용형 '들으려고'는 '듣으려고'로 적어야 하지 않나요? '들으려고'는 어떤 규정에 따라 적은 것인가요?
한글맞춤법 제1항에 따르면,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는데, 말씀하신 경우는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를 따른 것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 5에 따르면, 어간의 끝 'ㄷ'이 'ㄹ'로 바뀔 적에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습니다. '듣다'의 어간 '듣-'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려고'가 결합하면 어간 끝 'ㄷ'이 'ㄹ'로 바뀌어 '들으려고'가 되므로 그 벗어나는 소리대로 적는 것입니다.
0
'들다보다'의 표현
2020. 1. 16.
'밖에서 안을 보다'로 쓰이는 '들여다보다'의 준말로 '들다보다'를 쓸 수 있는지요?
'들다보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밖에서 안을 보다'를 뜻하는 표준어는 '들여다보다'이고, '들다보다'는 '들여다보다'의 경북 방언입니다.
0
'들어가 봐야'의 띄어쓰기
2020. 1. 16.
'들어가 봐야/들어가봐야 알지'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들어가 봐야 알지'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 뒤에 쓰이는 보조 용언은 앞말과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지만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에는 띄어 쓰므로, 합성동사 '들어가다'의 어간 뒤에, '-어 보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동사 '보다'는 앞말과 띄어 '들어가 봐야 알지'로 띄어 씁니다.
0
'듣자 하니', '듣자니'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듣자 하니', '듣자니'는 어떻게 생긴 말인가요?
'듣자 하니', '듣자니'는 '듣자고 하니'에서 각각 '고', '-고 하-'가 줄어 생긴 말입니다.
0
'드시고 남은'과 '드시다 남은'의 표현
2020. 1. 16.
"{드시고/드시다} 남은 물을 화초에 버리지 마시오." 중 무엇이 적절한 표현인가요?
"드시고 남은 물을 화초에 버리지 마시오."가 적절합니다. 여기서 '-고'는 두 사실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앞뒤 절의 주어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고객이 드시다'와 '물이 남다'를 이어 '(고객이) 드시고 남은 물'과 같이 쓸 수 있지만,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 따위가 중단되고 다른 동작이나 상태로 바뀜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앞뒤 절의 주어가 같아야 하므로 '(고객이) 드시다 남은 물'은 구조적으로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드시고 남은 물을 화초에 버리지 마시오."가 알맞습니다. 참고로, 굳이 '-다(가)'를 써 표현하겠다면 뒤 절의 서술어를 앞 절의 주어와 어울리는 '남기다'로 바꾸어 "(고객이) 드시다 남기신 물을 화초에 버리지 마시오."과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0
'드나들듯이', '드나들 듯이'의 띄어쓰기
2020. 1. 16.
'자기 집 드나들듯이/드나들 듯이 편안한 마음으로'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자기 집 드나들듯이 편안한 마음으로'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드나들듯이'는 의미상 '드나들다'의 어간 '드나들-' 뒤에,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듯이'가 결합한 말이므로 붙여 씁니다.
0
'뒤풀이'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뒤풀이'는 합성어일까요, 파생어일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뒤풀이'는 합성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어떤 일이나 모임을 끝낸 뒤에 서로 모여 여흥(餘興)을 즐김. 또는 그런 일'을 뜻하는 '뒤풀이'는 '뒤'와 '풀이'로 직접 성분 분석이 되어 있으므로 합성어입니다.
0
'뒤엉키다'의 쓰임
2020. 1. 16.
"아이들이 그 주위로 몰려들어 뒤엉킨 두 아이를 구경한다."에서 '뒤엉키다'는 여럿일 경우에 쓰는 단어로 아는데 써도 되나요?
"아이들이 그 주위로 몰려들어 뒤엉킨 두 아이를 구경한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뒤엉키다'는 '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한 무리를 이루거나 달라붙다'를 뜻하므로 두 아이가 달라붙어 싸우는 모습을 '뒤엉킨 두 아이'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0
'뒤바람'의 표준 발음
2020. 1. 16.
'뒤바람'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북풍'을 뜻하는 '뒤바람'의 표준 발음은 [뒤ː바람]입니다. 표기 자체가 '뒤바람'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사잇소리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된소리는 나지 않습니다.
0
'둘째가다', '둘째 가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둘째가라면/둘째 가라면 서러운' 중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둘째가라면 서러운'으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둘째가다'는 '최고에 버금하다'를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둘째가라면'으로 붙여 씁니다.
0
'둘러싸여'와 '둘러쌓여'의 표현
2020. 1. 16.
'둘러싸여'와 '둘러쌓여' 중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둘러싸여'가 바른 표기입니다. '둘러싸여'는 '둘리어 감싸지다', '둥글게 에워싸이다'를 뜻하는 피동사 '둘러싸이다'의 활용형입니다. 한편, '둘러쌓여'는 '둘러쌓이다'의 활용형인데, '둘러쌓이다'라는 피동사는 쓰이지 않으므로 발음이 같은 '둘러싸이다'의 잘못된 표기로 보입니다.
0
'두부'와 '조포'의 관계
2020. 1. 16.
'두부'를 왜 '조포'라고 하지요?
'조포'는 '두부'의 경상 방언입니다. 역사적으로는, 관가(官家)에 두부를 만들어 바치던 곳을 '조포소(造泡所)'라 하고, 능(陵)이나 원소(園所)에 속하여 나라 제사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들던 절을 '조포사(造泡寺)'라 한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신혼여행 하면'과 '신혼여행하면'의 띄어쓰기
2020. 1. 16.
"{신혼여행 하면/신혼여행하면} 제주도가 먼저 떠오른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신혼여행 하면 제주도가 떠오른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하다'는 ‘하면’ 꼴로 명사 다음에 쓰여 '이야기의 화제로 삼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이므로 '신혼여행 하면'으로 띄어서 씁니다.
0
'두꺼비집', '두꺼비 집'의 띄어쓰기
2020. 1. 16.
'흙으로 {두꺼비 집/두꺼비집}을 짓다'에서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흙으로 두꺼비 집을 짓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두꺼비 집'은 농업 전문어나 전기 전문어인 합성어 뜻이 아니고, 단순히 두꺼비의 집을 뜻하는 구이므로 '두꺼비 집'으로 띄어 씁니다.
0
'된장녀'의 문체적 성격
2020. 1. 16.
'된장녀'는 비속어인가요, 은어인가요?
'된장녀'는 비어입니다. '된장녀'는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명품 소비를 지향하며 과시형 소비를 일삼는 여성을 비하하여 이르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은어'는 '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들끼리만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을 이르고, '비속어'는 '격이 낮고 속된 말'을 이르지만, '된장녀'는 대상을 비하하여 이르는 말이므로 대상을 낮추거나 낮잡는 뜻으로 이르는 '비어'입니다. '비속어'는 말하는 사람의 격을 떨어뜨리지만, '비어'는 가리키는 대상의 품격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0
'되지도 않은'과 '되지도 않는'의 표현
2020. 1. 16.
'되지도 않은 영어'라는 자막이 나왔는데, '되다'가 동사고 현재를 말하는 것이니 '되지도 않는'이 맞는 거 아닌가요?
영어 구사 능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라면 '되지도 않는 영어'가 적절한 표현입니다. 알고 계신 대로 '되다'는 동사이고 현재의 영어 구사 능력을 말하는 것이므로 현재 관형사형 '않는'을 써 '되지도 않는 영어'라고 표현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0
'되어'의 표준 발음
2020. 1. 16.
'되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되어'의 표준 발음은 [되어/되여/뒈어/뒈여]입니다. 표준발음법 제4항에 따르면 단모음 'ㅚ'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되므로 '되'는 [되/뒈]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표준발음법 제22항에 따르면 '되어'와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합니다. 따라서 '되어'의 표준 발음은 [되어/되여/뒈어/뒈여] 4가지가 됩니다.
0
'되시기'와 '되시길'의 차이
2020. 1. 16.
'되시기/되시길 바랍니다'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되시길'은 '되시기'에, '를'보다 더 구어적인 목적격 조사 'ㄹ'이 붙은 말로 '되시기'와 형태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제시하신 문장에서 목적격 조사가 표면적으로 있든 없든 그 앞말은 구조적으로 목적어 구실을 하므로 '되시길 바랍니다'외 '되시기 바랍니다'는 의미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0
'되어야', '뵈어야'의 준말
2020. 1. 16.
"큰 인물이 돼야/되야 한다.", "그분을 봬야/뵈야 한다."에서 알맞은 표기는 무엇인가요?
"큰 인물이 돼야 한다.", "그분을 봬야 한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어간 '되-', '뵈-' 뒤에 '-어야'를 붙이면 '되어야', '뵈어야'가 되고 이를 줄여 쓰면 '돼야', '봬야'가 됩니다.
0
'동해 바다'의 표현
2020. 1. 16.
'역전앞'은 틀린 표현이라고 하잖아요. 그럼 '동해 바다'도 틀린 표현인 건가요?
'동해 바다'는 중복 표현이기는 하나 틀린 표현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동해 바다'는 한자어 '동해(東海)'에 이미 '바다'의 뜻이 포함되어 있지만 뒤에 고유어 '바다'를 덧붙여 바다임을 분명히 한 표현으로 의미 중복적이라 간결하지는 않지만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은 아닙니다. 참고로, '역전앞'은 한 단어로 올라 있어 표준어 '역전'의 비표준어로 처리되었습니다.
0
'늙다', '크다'의 품사
2020. 1. 16.
"사람은 왜 자꾸 늙느냐?", "어린애는 날마다 조금씩 키가 큰다."에서 '늙다', '크다'의 품사는 무엇인지요?
둘 다 동사입니다. "사람은 왜 자꾸 늙느냐?"의 '늙다'는 흔히 형용사 '젊다'(나이가 한창때에 있다)와 대비되어 형용사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사람이나 동물, 식물 따위가 나이를 많이 먹다'와 같이 자연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한편, "어린애는 날마다 조금씩 키가 큰다."의 '크다'는 흔히 형용사 '작다'와 대비되어 '사람이나 사물의 외형적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따위가 보통 정도를 넘다'를 뜻하는 형용사 '크다'가 먼저 떠오르겠지만, '동식물이 몸의 길이가 자라다'와 같이 자연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0
'돕습니다', '도웁니다'의 표현
2020. 1. 16.
'도웁니다'가 표준어인가요, '돕습니다'가 표준어인가요?
'돕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7항에 따르면,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데, '-습니다'와 '-읍니다'도 종래에 두 가지로 쓰였으나 구어에서 '-습니다'가 훨씬 널리 쓰이게 되어 '-습니다'만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따라서, '돕다'의 어간 '돕-' 뒤에 표준어 '-습니다'가 결합한 '돕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0
'돌부리'의 표준 발음
2020. 1. 16.
'돌부리'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돌부리'의 표준 발음은 [돌ː뿌리]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ㅂ'을 된소리로 발음하는데, '돌과 '부리'가 결합한 합성어 '돌부리'도 앞말과 뒷말이 '소유' 관계로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이므로 뒷말의 첫소리 'ㅂ'을 된소리로 발음해 [돌ː뿌리]로 발음합니다.
0
'돌다'의 활용
2020. 1. 16.
'돌다'의 어간 '돌-'에 어미 '-므로'가 결합하면 '돌므로'가 맞나요, '도므로', '돎으로'가 맞나요?
'돌므로'가 맞습니다. '돌다'의 어간 '돌-'에 '-므로'가 결합하면 'ㅁ'은 어간 받침 'ㄹ'이 탈락하는 음운 조건(ㄴ, -ㄹ, ㅂ, ㅅ, -오)이 아니므로 '돌므로'로 활용합니다. '돎으로'는 '돌다'의 어간에 연결형 '-므로'가 결합한 것이 아니고 명사형 '-ㅁ'과 조사 '으로'가 결합한 말입니다.
0
'독립'의 표준 발음
2020. 1. 16.
'독립'이 [동닙]으로 발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독립'이 [동닙]으로 발음되는 것은 'ㄹ'이 비음화하고 'ㄱ'이 그 비음에 동화되었기 때문입니다. '독립'은 표준발음법 제19항 [붙임]에 따라 받침 'ㄱ' 뒤 'ㄹ'이 [ㄴ]으로 비음화되고, 제18항에 따라 받침 'ㄱ'이 그 [ㄴ] 앞에서 [ㅇ]으로 동화되어 [동닙]으로 발음됩니다.
0
'도쿄역', '도쿄 역'의 띄어쓰기
2020. 1. 16.
'도쿄역', '도쿄 역'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도쿄역'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에 따르면, ‘도(道), 북도(北道), 남도(南道), 시(市), 읍(邑), 면(面), 리(里), 군(郡), 구(區), 동(洞), 해(海), 도(島), 섬, 만(灣), 역(驛), 양(洋), 사(寺), 선(線), 항(港), 산(山), 특별시, 광역시’가 붙는 말의 고유 명사는 붙여 쓰므로 '도쿄역'도 붙여 씁니다. 참고로, 본디 외래어의 경우 '도쿄 역'과 같이 구분하여 띄어 쓰도록 했으나 2017년 상반기에 개정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앞에 오는 언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도쿄역'과 같이 붙여 쓰게 되었습니다.
0
'돕다, 곱다'의 활용
2020. 1. 16.
'돕다'와 '곱다'의 명사형은 왜 '도옴', '고옴'이 아니라 '도움, 고움'인가요?
현대어에서 ㅂ 불규칙 활용은 '돕다'나 '곱다'의 어간에 '-아'나 '-았-'이 결합해 어간 끝 받침 'ㅂ'이 'ㅗ'로 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ㅜ'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돕다', '곱다'의 어간에 '-아'나 '-았-'이 결합하면 '도와', '도왔다'와 같이 활용하지만, 어미 '-음'이나 '-으니'가 결합하면 '도움', '고움'이나 '도우니', '고우니'와 같이 활용하는 것입니다.
0
'도우미', '도움이'의 표기
2020. 1. 16.
'도우미'는 '돕다'(동사)의 어간 '돕-'의 이형태 '도우-' 에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이 1차로 결합하고 여기에 다시 의존 명사 '이'가 결합한 '도움이'를 발음 나는 대로 오기한 거 아닌가요?
'도우미'는 단순한 '도움이'의 오기가 아닙니다. 말씀하신 대로 '돕다'의 어간 '돕-'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음'과 결합하여 형성된 '도움'에, 사람 또는 사물을 뜻하는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말이라면 '도움이'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만, '도우미'는 93년도 엑스포 행사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고안된 말이 굳어진 것이라 '도우미'로 표기합니다.
0
'을지로'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Jong-ro'는 도로명이고, 'Jongno 1(il)-ga'의 'Jongno'는 행정 구역명이라던데 'Euljiro', 'Eulji-ro'는 둘 중에 어느 것이 맞는지요.
'을지로'도 도로명 주소의 도로명으로는 'Eulji-ro', 행정 구역명으로는 'Euljiro 1(il)-ga'의 'Euljiro'처럼 붙임표 없이 적습니다. '1가', '2가', '3가' 등이 뒤에 오는 도로명인 경우에 '1가', '2가', '3가' 자체가 도로 체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앞말 '종로', '을지로'는 소속 행정 구역명이므로 '종로 1가 Jongno 1(il)-ga', '을지로 1가 Euljiro 2(i)-ga'와 같이 적습니다.
0
보조사 '도'의 쓰임
2020. 1. 16.
"위안을 얻기도 한다."에서 '얻기'가 동사로 책에 나오는데, '얻다'에서 '-기'가 명사화 전성어미로 쓰여서 동사라고 본다면 '도'를 조사라고 볼 수 있나요?
"위안을 얻기도 한다."의 '도'는 조사가 맞습니다. '도'와 같은 보조사는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이므로, 동사 '얻다'의 명사형 '얻기' 뒤에도 붙을 수 있습니다.
0
'덮이다'의 표기
2020. 1. 16.
'덮이다'와 '덮히다'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덮이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더피다]로 발음되어 '히'가 붙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덮다'의 어간 '덮-에 피동 접사 '-이-'가 결합한 말이므로 형태를 밝혀 '덮이다'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덥-'의 이형태
2020. 1. 16.
'덥-'의 이형태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덥-'의 이형태에는 '덥-'과 '더우-'가 있습니다. '덥다'는 'ㅂ' 불규칙용언인데, '덥고, 덥지'와 같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경우 ‘덥-’의 형태로 쓰이고 '더워, 더운'과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경우 ‘더우-’의 형태로 실현됩니다.
0
'덕분에'와 '덕분으로'의 차이
2020. 1. 16.
"네 덕분{에/으로} 이사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에서 알맞은 조사는 무엇인가요?
'덕분에', '덕분으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에'는 앞말이 '원인'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조사이고, '으로'는 '어떤 일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격조사라 '덕분에', '덕분으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다만, 말뭉치상으로는 '덕분에'가 '덕분으로'보다 20배 이상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0
'때문'의 쓰임
2020. 1. 16.
'덕분'은 긍정적인 표현에, '탓에'는 부정적인 표현에 쓰인다고 알고 있는데, '때문'의 경우는 어떤가요?
'때문'은 특정 맥락에 한정되지는 않습니다. '덕분'은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을 뜻하고, '탓'은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까닭이나 원인'을 뜻해 각각 그 쓰임이 제한되지만, '때문'은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뜻하는 의존 명사로서 '빚 때문에 고생하다', '공부 때문에 힘들다', '일이 많기 때문에 시간이 없다'와 같이 쓰이므로 특별한 제약이 없습니다.
0
'더구나'와 '더군다나'의 차이
2020. 1. 16.
'더구나'와 '더군다나'는 어떻게 다른가요?
'더군다나'에 강조하는 뜻이 더 있습니다. '더구나'는 '이미 있는 사실에 더하여'를 뜻하는데, '더군다나'는 '더구나'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0
'좀 더', '좀더'의 띄어쓰기
2020. 1. 16.
'좀 더', '좀더'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좀 더'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좀 더'는 합성어가 아니고,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좀 더'로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으므로 '좀 더'도 '좀더'로 붙여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좀 더 큰 이 새 차/좀더 큰 이 새차'처럼 단음절어가 3개 이상 연속되는 경우에 한합니다.
0
'대게'의 표준 발음
2020. 1. 16.
'대게'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대게'의 표준 발음은 [대게]입니다. 흔히 '대게'의 '대'가 한자 '大'라고 생각하여 장음 [대ː게]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게'는 다리가 대나무 같은 게라는 뜻으로 대나무를 뜻하는 고유어 '대'를 쓰므로 단음 [대게]로 발음합니다.
0
'머리'와 '대가리'의 차이
2020. 1. 16.
'머리'와 '대가리'의 쓰임은 어떻게 다른가요?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을 이르거나(머리가 아프다) '사물의 앞이나 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기차의 머리가 보이다) 반면, '대가리'는 '동물의 머리'를 이르거나(말 대가리, 생선 대가리) '사람의 머리'를 속되게 이르거나(대가리를 처박고 죽다) '사물의 앞이나 윗부분'을 이릅니다(콩나물 대가리).
0
'닿다'와 '닿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닿다'와 '닿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닿다'와 '닿네'의 표준 발음은 [다ː타]와 [단ː네]입니다. '닿다'는 표준발음법 제12항 1에 따르면 'ㅎ' 뒤에 'ㄷ'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ㅌ]으로 발음하므로 '닿다'는 [다ː타]로 발음합니다. 한편 '닿네'는 제12항 3에 따르면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ㄴ]으로 발음하므로 '닿네'는 [단ː네]로 발음합니다.
0
'당황하지 마시오', '당황해 하지 마시오'의 표현
2020. 1. 16.
'당황하지 마시오'와 '당황해 하지 마시오' 중에 어떤 것이 옳고 어떤 것이 잘못된 표현인가요?
'당황하지 마시오', '당황해 하지 마시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당황하다'는 '놀라거나 다급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를 뜻하는 심리 동사이고, '당황해 하다’는 '당황하다'의 어간 뒤에, 일부 동사 뒤에서 ‘-어 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상태나 태도를 드러냄'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가 결합한 동사구이므로 명령형으로 쓸 수 있습니다. 듣는 이에게 당황하는 심리 작용을 하지 말라는 뜻으로 ‘당황하지 마시오’와 같이 쓸 수 있고, 당황하는 심리를 드러내지 말라는 뜻으로 '당황해 하지 마시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담음새'의 표현
2020. 1. 16.
'담음새'란 말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적절한 표현인가요?
'담음새'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동사 '담다'의 명사형에, 일부 명사 또는 용언의 명사형 뒤에 붙어 ‘모양’, ‘상태’,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새'가 붙은 말로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현실 쓰임을 보여 주는 "우리말샘"에는 올라 있습니다.
0
'담당자분', '담당자 분'의 띄어쓰기
2020. 1. 16.
'담당자분/담당자 분'에서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담당자분'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분'은 사람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앞의 명사에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친구분', '환자분'과 같이 쓰이므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 '담당자' 뒤에도 붙여 '담당자분'과 같이 씁니다. 참고로,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의존 명사 '분'은 '어떤 분'과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접미사 '-분'과 의존 명사 '분'을 구분하려면 '분'의 자리에 명사 '사람'을 넣어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과 같이 자연스러우면 의존 명사로 '어떤 분'과 같이 앞말과 띄어 쓰고, '담당자 사람'처럼 부자연스러우면 접미사로 '담당자분'과 같이 앞말과 붙여 씁니다.
0
'닭의'의 표준 발음
2020. 1. 16.
'닭의'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닭+의'의 표준 발음은 [달긔/달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4항에 따르면,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에 있는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고, 제5항 다만 4에 따르면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하므로 [달긔]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고 [달게]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합니다.
0
'닭도리탕'의 순화
2020. 1. 16.
'닭도리탕'에서 '도리'라는 말이 '새'라는 뜻의 일본어라 '닭볶음탕'으로 순화하여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 분이 '도리'라는 것이 순우리말이라던데 사실인가요?
국어원에서는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 'とり[鷄]'에서 온 말로 보고 '닭볶음탕'으로 순화하였습니다. '닭도리탕'의 어원에 대해 다른 견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현재로서는 기존의 입장을 바꿀 만한 결정적인 근거가 확인되지 않습니다.
0
'달성코자'와 '달성고자'의 표기
2020. 1. 16.
'달성코자'와 '달성고자'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달성코자'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으므로 '달성하고자'는 '달성코자'로 줄여 적습니다.
0
'달리'의 품사
2020. 1. 16.
어떤 사람이 '달리'가 활용이라고 하던데, '다르다'가 '달리'로 활용하는 게 맞나요?
"그는 생각과 달리 말랐다."의 '달리'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활용으로 보지 않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이'는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이고, 파생부사 '달리'의 예로 '지난번과 달리 말하다'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는 생각과 달리 말랐다."의 '달리'도 파생 부사로 봅니다. 다만, 제시된 문장처럼 '생각과'와 어울려 서술어 구실을 하는 경우에는 용언의 부사형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0
'다오'의 기본형
2020. 1. 16.
"그 책을 나에게 다오."라는 문장에서 '다오'의 기본형이 무엇인가요?
'다오'의 기본형은 '달다'입니다. '달다'는 ‘달라’, ‘다오’ 꼴로 쓰여,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것을 주도록 요구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0
'내 것 네 것'의 띄어쓰기
2020. 1. 16.
'내 것 네 것', '내것 네것'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내 것 네 것', '내것 네것' 모두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3개 이상) 나타날 적에는 붙여(의미적으로 한 덩이를 이루는 말끼리) 쓸 수 있으므로 '내 것 네 것'을 '내것 네것'으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단위였다', '단위었다'의 표현
2020. 1. 16.
'단위였다'가 맞나요? '단위었다'가 맞나요?
'단위였다'가 맞습니다. '단위이었다'의 '이-'는 받침 없는 체언 뒤에 쉽게 생략되는 경향이 있는데(단위이다-단위다),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는 경우에는 '이-'가 생략되는 대신 어미의 모음과 축약되므로 '단위이었다'는 '단위였다'로 줄여 씁니다.
0
'100만 km', '100만km'의 띄어쓰기
2020. 1. 16.
'100만 km/100만km'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100만 km'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만,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는데, '100만 km'는 앞에 숫자가 있기는 하지만 단위 바로 앞에는 숫자가 아닌 글자 '만'이 있으므로 단위를 띄어 씁니다.
0
'15분', '15 분'의 띄어쓰기
2020. 1. 16.
'10시 15분'이라고 할 때 '분'은 의존 명사라고 나와 있는데, 왜 띄어쓰기를 안 하나요?
단위 명사 앞에 숫자가 왔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만,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다행히 -(으)ㄹ 텐데'의 호응
2020. 1. 16.
"다행히 비행기표가 비싸지 않아야 할 텐데." 는 올바른 문장인가요?
"다행히 비행기표가 비싸지 않아야 할 텐데."는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다행히'는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게'의 뜻으로 "다행히 우리는 그의 집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불이 났으나 다행히도 사람은 다치지 않았다."와 같이 쓰이는데, '-ㄹ 텐데'는 ‘예정’이나 ‘추측’, ‘의지’의 뜻과 함께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므로 서로 어울리지 않습니다.
0
'다정타'의 표현
2020. 1. 16.
'다정하다'의 준말인 '다정타'는 표준어인가요?
'다정타'도 표준어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항에 따르면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고, 제40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으므로, '다정하다'를 '다정타'로 줄여 쓰는 것도 표준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
'다의어'와 '동음어'의 차이
2020. 1. 16.
'다의어'는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 '동음어'는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단어라고 하는데요, 그럼 다의어와 동음어가 같은 거 아닌가요?
'다의어'와 '동음어'는 다릅니다. '다의어'는 한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지는 것으로, 원래 '사람이나 짐승의 몸통 아래 부분'을 가리키지만 '책상 다리', '지겟다리'처럼 '물건의 하체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는 '다리'처럼 그 뜻들이 서로 의미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만, '동음어'는 우연히 발음이 같지만 전혀 다른 단어로, 타는 '배'나 몸의 '배'처럼 그 뜻들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으므로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0
'다음날', '다음 날'의 띄어쓰기
2020. 1. 16.
'다음날', '다음 날'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의미에 따라 다릅니다. "다음날 만나면 식사라도 하자."처럼 '정하여지지 아니한 미래의 어떤 날'을 뜻한다면 합성어 '다음날'이므로 붙여 쓰고, "산장에서 하루 묵고 다음 날 새벽에 출발했다."처럼 단순히 '어떤 날의 다음에 오는 날'을 뜻한다면 구이므로 '다음 날'로 띄어 씁니다.
0
'다디달다'의 활용
2020. 1. 16.
'다디달은/다디단 사탕'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다디단 사탕'이 바릅니다. '다디달다'의 어간처럼 'ㄹ'로 끝나는 형용사 어간 뒤에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ㄴ'이 결합하는데, 한글맞춤법 제18항 1에 따르면 어간 끝 'ㄹ'이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다디달다'의 어간 '다디달-'의 끝 'ㄹ'이 어미 '-ㄴ' 앞에서 줄면 준 대로 '다디단'으로 적습니다.
0
'다다르다'의 활용
2020. 1. 16.
"내 노래로 분위기는 절정에 {다다랐다/다달았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내 노래로 분위기는 절정에 다다랐다."가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 4에 따르면, 어간 끝 'ㅜ, ㅡ'가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다다르다'도 어간 끝 'ㅡ'가 어미 '-았-/-었-'과 결합해 줄면 준 대로 '다다랐다'로 적습니다. '르'로 끝나는 어간은 대체로 제18항 9에 따라 '르' 불규칙 활용(다르다-달라, 달랐다)을 하지만, '다다르다'는 예외적으로 '으'가 탈락해 '다다라', '다다랐다'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0
'먹었다고 해'의 준말
2020. 1. 16.
간접 인용으로 "철수가 밥을 먹었대요/먹었데요."라고 했다면 무엇이 맞나요?
간접 인용이라면 "철수가 밥을 먹었대요."가 맞습니다. '-대'는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므로, 간접 인용문인 "철수가 밥을 먹었다고 해요."를 줄여 쓴 말은 "철수가 밥을 먹었대요."입니다. 참고로, 자기의 과거 경험을 말하는 경우라면,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데'를 써 "(어제 반찬을 챙겨 갔더니 이미) 철수가 밥을 먹었데요."라고 쓸 수 있습니다.
0
'님'의 쓰임
2020. 1. 16.
"님은 자랑스러운 ㅇㅇ 군민입니다."에서 '님'의 사용이 어법에 맞는지요?
"님은 자랑스러운 OO 군민입니다."의 '님'은 어법에 맞지 않습니다. 여기서 '님'은 그 표기상 'OOO 님'과 같이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의존 명사 '님'에서 비롯된 듯한데, 의존 명사는 의존적이라 앞말 없이 제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OOO 님은 자랑스러운 OO 군민입니다."와 같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0
'늦장', '늑장'의 표현
2020. 1. 16.
'늦장'과 '늑장'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늦장', '늑장'은 모두 표준어입니다. '늑장'은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뜻하는 표준어로 '늑장(을) 부리다'와 같이 쓰이고, '늦장'은 그 동의어로 표준어입니다.
0
'늦더위'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늦더위'는 합성어인가요, 파생어인가요?
이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늦더위'는 파생어로 볼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늦-'은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늦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올라 있으므로 '늦더위'는 파생어가 됩니다.
0
'늙거나'의 표준 발음
2020. 1. 16.
'늙거나'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늙거나'의 표준 발음은 [늘꺼나]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1항에 따르면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지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맑게[말께]', '맑고[말꼬]처럼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늙거나'는 [늘꺼나]로 발음합니다.
0
'늘다'의 활용
2020. 1. 16.
'늘다'의 과거 관형사형은 어떻게 되나요?
'늘다'의 과거 관형사형은 '는'입니다. '늘다'의 어간 '늘-' 뒤에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 또는 말하는 이가 상정한 기준 시점보다 과거에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ㄴ'이 결합하고, 한글맞춤법 제18항 1에 따르면 어간 끝 'ㄹ'이 줄어질 적('ㄴ, -ㄹ, ㅂ, ㅅ, -오' 앞에서)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는'이 되는 것입니다.
0
'서둘렀는데도', '서둘렀는 데도'의 띄어쓰기
2020. 1. 16.
"그렇게 {서둘렀는데도/서둘렀는 데도} 불구하고 늦었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그렇게 서둘렀는데도 불구하고 늦었다."가 맞습니다. '불구하다'는 ‘-에도/-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으로 쓰여(‘-음에도’ 대신에 ‘-ㄴ데도’가 쓰이기도 함)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를 뜻하는 말이므로 '서둘렀는데도 불구하고'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불구하다'의 문형상 의존 명사 '데'의 쓰임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의존 명사 '데' 앞에 오는 관형사형 어미 '-는' 앞에는 선어말어미 '-었-'이 올 수 없는데 '서둘렀는데도 불구하고'는 앞에 '-었-'이 오므로 연결어미 '-는데'의 쓰임으로 봅니다.
0
'누르다', '부르다'의 피동 파생
2020. 1. 16.
'누르다', '부르다'가 각각 '눌리다', '불리다'가 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ㅡ'가 탈락되는 건가요?
어간 끝음절 '르' 뒤에 어미 '-어/-아'가 결합할 때 어간 모음 'ㅡ'가 탈락하면서 'ㄹ'이 덧붙는 불규칙 현상(르 불규칙 활용)이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피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하는 경우에도 나타납니다. '누르다', '부르다'의 어간 뒤에 어미 '-어'가 붙을 때 각각 '눌러', '불러'가 되듯이, 피동 접미사 '-이-'가 붙을 때에도 어간 모음 'ㅡ'가 탈락하고 'ㄹ'이 덧붙어 '눌리다', '불리다'가 되는 것입니다.
0
'눈코 뜰 사이 없다'와 '눈코 뜰 새 없다'의 표현
2020. 1. 16.
'눈코 뜰 새 없다'를 찾아보니, 예문에는 '눈코 뜰 사이 없다'라고 나와 있던데, '눈코 뜰 새 없다'는 표준어 규정에 맞지 않는 말인가요?
'눈코 뜰 새 없다'가 규정에 맞지 않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눈코 뜰 사이 없다'만 올라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실 언어에서는 '눈코 뜰 새 없다'가 많이 쓰이고 있고, 다른 사전에는 아예 '눈코 뜰 새 없다'로 올라 있기도 하므로 준말을 쓴 '눈코 뜰 새 없다'를 잘못이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0
'눈치껏'과 '눈칫것'의 표기
2020. 1. 16.
'눈치껏/눈칫것 해라'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눈치껏 해라'가 맞는 표기입니다. '남의 눈치를 잘 알아차려서'를 뜻하는 부사는 '눈치'에,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이 닿는 데까지’의 뜻을 더하고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껏'이 결합한 말이므로 '눈치껏'으로 적습니다.
0
'아이쇼핑'의 순화어
2020. 1. 16.
'아이쇼핑'이 '눈길 장보기'로 순화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아이쇼핑'은 현재 순화어가 없습니다. '눈길 장보기'는 국민 참여형 사전인 "우리말샘"에 '아이쇼핑'의 비슷한말로 올라 있습니다.
0
'누긋하다'와 '느긋하다'의 차이
2020. 1. 16.
"서두르지 말고 {누긋하게/느긋하게} 결과를 기다려 봅시다."라는 예문에서는 '누긋하게'가 옳다는데, 같은 맥락에서 '느긋하게'는 쓸 수 없나요?
제시된 맥락에서는 '느긋하게'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누긋하다'는 '성질이나 태도가 좀 부드럽고 순하다'를 뜻하는 말로 '누긋하게 참다'와 같이 쓰이고, '느긋하다'는 '마음에 흡족하여 여유가 있고 넉넉하다'를 뜻하는 말로 '느긋하게 생각하다'와 같이 쓰이는데, 제시된 맥락에서는 앞에 '서두르지 말고'가 있으므로 '느긋하게'가 더 잘 어울립니다.
0
'누구인지 알고'와 '누구인 줄 알고'의 표현
2020. 1. 16.
"내가 {누구인지/누구인 줄} 알고 이러는 거야?"는 모두 맞는 표현인가요?
"내가 누구인 줄 알고 이러는 거야?", "내가 누구인지 알고 이러는 거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ㄴ지'는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고, '-ㄴ 줄'은 그런 사실이나 실상을 나타내므로 미세한 뜻 차이는 있습니다.
0
'누군데', '누군대'의 표현
2020. 1. 16.
"그 사람이 {누군데/누군대}?"중 어느 것이 맞나요?
"그 사람이 누군데?"가 맞습니다. 여기서 '누군데'는 '누구+이-+-ㄴ데'로 분석되는데, '-ㄴ데'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일정한 대답을 요구하며 물어보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ㄴ대'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놀라거나 못마땅하다는 듯이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오늘 도대체 왜 저러신대?)이거나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오늘 안 오신대?)이므로 '이(다)' 뒤에는 붙을 수가 없습니다.
0
'누가'와 '누구'의 차이
2020. 1. 16.
'누구'와 '누가'는 어떻게 다른가요?
'누구'는 '잘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거나 '막연한 사람'을 가리키거나 '대상을 굳이 밝히지 않을 때 쓰는 인칭 대명사(단어)로서 조사와 결합해 "누구(가) 왔어?", "누구(를) 좀 만나.", "누구에게나 잘해."와 같이 문장의 다양한 성분으로 쓰입니다. 한편, '누가'는 인칭 대명사 '누구'에 조사 '가'가 결합한 구 '누구가'가 줄어든 말로 "누가 왔어?"처럼 문장의 주어로 쓰입니다.
0
'놓다'의 활용
2020. 1. 16.
'밥을 해 놓다'의 '놓다'를 하오체 청유형으로 하면 '놓읍시다'가 되나요, 아니면 'ㅎ'이 탈락되어 '놉시다'가 되나요?
'놓읍시다'가 됩니다. 동사 '놓다'의 어간 '놓-' 뒤에,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하오체로 '어떤 동작을 함께 하자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읍시다'가 결합하면 '놓읍시다'가 되는 것입니다. 'ㅎ' 불규칙 활용은 '파랗다', '그렇다'처럼 어간이 'ㅎ'으로 끝나는 일부 형용사의 어간 '파랗-', '그렇-' 뒤에 '-은', '-어'처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파란', '그래'처럼 어간의 'ㅎ'이 탈락하는 것이므로 동사 '놓다'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0
'놓는다'의 줄임말
2020. 1. 16.
'놓는다'를 줄여서 '논다'로 쓸 수 있나요?
'놓는다'는 '논다'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 [붙임 1]에 따르면 '놓아'가 '놔'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습니다만, '놓다'의 어간 '놓-' 뒤에 현재 서술을 나타내는 '-는다'가 결합한 '놓는다'는 줄여 쓰지 않습니다.
0
'농사일', '농삿일'의 표기
2020. 1. 16.
'농사일'과 '농삿일'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농사일(農事-)'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삿일', '예삿일'처럼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만, '농사일'은 [농사일]로 발음되어 'ㄴㄴ'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0
'칸트식', '칸트 식'의 띄어쓰기
2020. 1. 16.
'칸트식', '칸트 식'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칸트식'으로 붙여 씁니다. '칸트식'은 한 단어로 없지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방식’의 뜻을 더하는 생산적인 접미사 '-식(式)'이 있으므로 '칸트식'도 붙여 씁니다.
0
'놀림당하다', '놀림 당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놀림당하다', '놀림 당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놀림당하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놀림'은 '남을 흉보거나 비웃는 짓'을 뜻하는 명사이고, '-당하다'는 행위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므로 '놀림당하다'로 붙여 씁니다.
0
'놀라다', '놀래다'의 표현
2020. 1. 16.
"아우, {놀라라/놀래라}. 깜짝 놀랐잖아."에서 무엇이 맞나요? 그리고 놀라다의 사동 표현으로 '놀래다', '놀라게 하다' 외에 '놀래키다', '놀라키다'는 안 되나요?
"아우, 놀라라. 깜짝 놀랐잖아."와 같이 쓰는 것이 바른 표현입니다. 여기서 '놀라라'는 심리 동사 '놀라다'의 어간 '놀라-' 뒤에, 일반적으로 형용사 어간에 붙어 감탄을 나타내는 어미 '-아라'가 예외적으로 붙어 감탄을 표현한 말입니다. 같은 뜻으로 쓰이는 '놀래다'는 '놀라다'의 강원, 경상 방언이고, '놀라다'의 사동사 '놀래다'는 의미적으로 제시된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한편, '놀래키다'는 사동사 '놀래다'의 충청 방언이고 '놀라키다'도 표준어가 아닙니다.
0
'novelty' 외래어 표기
2020. 1. 16.
'novelty'는 미국식 [|nɑːvlti] 영국식 [|nɑːvlti]로 발음되는데 어째서 '노벨티'로 표기하나요?
관용적으로 굳어진 표기이기 때문입니다.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5항에 따르면,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므로, 'novelty'도 이미 굳어진 표기대로 '노벨티'로 적습니다.
0
'노래'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노래'는 '놀다'에 접미사 '애'가 붙어 만들어진 말이니 파생어 아닌가요?
'노래'는 단일어로 봅니다. '노래'는 역사적으로 '놀다'의 어간에 접미사 '-애'(
0
'nature'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nature'를 한글로 표기하면 '네이처'와 '네이쳐' 중 어느 것이 맞는지요?
'네이처'가 맞습니다. 'nature'는 [ˈneɪtʃə(r)]로 발음되는데,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4항에 따르면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ʧ]는 '치'로 적지만 모음 앞의 [ʧ]는 'ㅊ'으로 적으므로, 'nature'[ˈneɪtʃə(r)]는 '네이처'로 적습니다.
0
'넘어'와 '너머'의 차이
2020. 1. 16.
'아시아를 넘어/너머 세계로'에서 '넘어'와 '너머'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지요?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가 맞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에는 '아시아를'이라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뒤에는, '일정한 기준이나 한계 따위를 벗어나 지나다'의 뜻을 나타내는 타동사 '넘다'를 써서 '넘어'와 같이 적는 것이 맞습니다. 한편, '너머'는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을 뜻하는 명사로서 높이나 경계를 나타내는 명사 다음에 쓰여 '산 너머', '고개 너머'와 같이 쓰입니다.
0
'넙적다리'가 아니고 '넓적다리'로 적는 이유
2020. 1. 16.
왜 '넓적다리'가 맞고 '넙적다리'는 틀리나요?
어간 끝 겹받침 'ㄼ'의 끝소리 [ㅂ]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1항에 따르면,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되,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아니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데, '넓적다리'는 [넙쩍따리]로 발음되어 어간 '넓-'의 겹받침의 끝소리 [ㅂ]이 드러나므로 형태를 밝혀 '넓적다리'로 적는 것입니다.
0
'넓은 양해'와 '너른 양해'의 표현
2020. 1. 16.
'넓은 양해'가 맞나요? '너른 양해'가 맞나요?
둘 다 맞습니다. '마음 쓰는 것이 크고 너그러운'을 뜻하는 '넓은'(넓다)이나 '마음을 쓰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이 너그럽고 큰'을 뜻하는 '너른'(너르다)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덧붙이자면, '{넓은/너른} 양해(諒解)'는 '양해'가 '남의 사정을 잘 헤아려 너그러이 받아들임'을 뜻해 의미 중복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그냥 '양해'만 써도 충분하겠습니다.
0
'넓둥글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넓둥글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넓둥글다'의 표준 발음은 [넙뚱글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0항에 따르면 겹받침 'ㄼ'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하지만, '넓둥글다'는 예외적으로 [ㅂ]으로 발음하므로, '넓둥글다'는 [넙뚱글다]로 발음합니다.
0
'-냐고 해'를 줄여 쓴 말
2020. 1. 16.
밥 먹었냐고 묻는다는 뜻으로 '밥 먹었냬'라고 쓸 수 있나요?
'밥 먹었냬'라고 쓸 수 있습니다. '-냬'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냐고 해'가 줄어든 말로, "지금 어디(이)냬.", "밥 먹었냬.", "바지가 크냬."와 같이 쓰이므로 "밥 먹었냐고 해."를 줄여 "밥 먹었냬."로 씁니다.
0
'내일(이) 토요일이잖아'의 표현
2020. 1. 16.
"내일 토요일이잖아."에서 '내일' 뒤에 생략된 조사는 무엇인가요?
"내일 토요일이잖아."에서 생략된 조사는 주격 조사 '이'입니다. 제시하신 문장은 '무엇이 무엇이다'의 문형이며, '내일'은 '무엇이'에 해당하는 주어이므로, '내일이 토요일이다.'와 같은 문장에서 주격 조사 '이'가 생략된 것입니다.
0
'내일'과 '내일모레'의 차이
2020. 1. 16.
내일과 그다음 날을 셀 때 '내일, 모레'가 맞나요, '내일, 내일모레'가 맞나요?
둘 다 맞습니다. '내일모레'는 '모레'와 동의어로 내일의 다음 날을 이르므로 내일과 그다음 날을 셀 때에는 '내일, 모레'와 '내일, 내일모레'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내밀다'의 활용
2020. 1. 16.
'고개를 내밀다'를 높여 표현할 때 '고개를 내미시다'가 맞나요, '고개를 내밀으시다'가 맞나요?
'고개를 내미시다'가 맞습니다. '내밀다'의 어간 '내밀-' 뒤에는, ‘이다’의 어간이나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화자에게 사회적인 상위자로 인식될 때 그와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기술에 결합하여 그것이 상위자와 관련됨'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시-'가 결합하는데, 한글맞춤법 제18항 1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 'ㄹ'이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내밀다'의 어간 뒤에 '-시-'가 결합하면 어간의 'ㄹ'이 탈락해 '내미시다'가 됩니다.
0
'내면 속에'의 표현
2020. 1. 16.
'내면 속에'라는 표현이 적절한가요?
잘못된 표현은 아니나 '내면에'가 좀 더 간결한 표현입니다. '내면'은 '밖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사람의 속마음'을 뜻하므로 '내면 속에'는 의미 중복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나타내고자 하는 뜻을 전달하는 데는 '내면에'만으로 충분합니다.
0
'내리치다'의 문형
2020. 1. 16.
'구름이 번개를 내리치기도 하니까'에서 '번개를 내리치다'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가요?
'구름이 번개를 내리치기도 하니까'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비바람, 번개 따위가 세차게 몰아치다'를 뜻하는 '내리치다'는 자동사라 '번개를 내리치다'로 쓰는 것은 문법적으로 맞지 않으므로 '구름에서 번개가 내리치기도 하니까'나 '구름이 번개를 내리치게 하기도 하니까'로 표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0
'할 것을'의 표준 발음
2020. 1. 16.
'할 것을'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할 것을'의 표준 발음은 [할꺼슬]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7항에 따르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할 것을'은 [할꺼슬]로 발음됩니다.
0
'내'(나의)의 품사
2020. 1. 16.
'내가'로 쓰이는 경우 '내'는 대명사인 걸로 아는데요, '내 모자'할 때 '내'는 품사가 무엇인지?
'내 모자'의 '내'는 품사가 없습니다. '내 모자'의 '내'는 대명사 '나'와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한 '나의'가 줄어든 말로서 단어가 아니므로 품사가 없습니다. 다만, 본디 체언에 관형격 조사가 결합된 말이므로 문장 안에서는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어 기능을 합니다.
0
'낱낱의'의 표준 발음
2020. 1. 16.
'낱낱의'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낱낱의'의 표준 발음은 [난나틔/난나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ㅌ'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고,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ㄷ(ㅌ)은 'ㄴ' 앞에서 [ㄴ]으로 발음하며, 제13항에 따르면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며, 제5항 다만 4에 따르면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하므로 [난나틔]를 원칙으로 하고 [난나테]로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0
'낯익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낯익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낯익다'의 표준 발음은 [난닉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5항에 따르면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합니다만, 제29항에 따라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로 발음하므로 앞 단어의 받침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기지 못하고, 제18항에 따라, 대표음으로 바뀐 받침 'ㄷ(ㅊ)'은 첨가된 'ㄴ' 앞에서 [ㄴ]으로 발음하며, 제23항에 따라 받침 'ㄱ' 뒤에 연결되는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낯익다'는 [난닉따]로 발음합니다.
0
'영호가 책상의 높이를 낮추다'의 문장 구조
2020. 1. 16.
"영호가 책상의 높이를 낮춘다."는 숨겨진 주어도 부사어도 없는데 어째서 사동문인가요?
"영호가 책상의 높이를 낮춘다."는 '책상의 높이가 낮다'를 주동문으로 하므로 사동문이 맞습니다. 이와 같이, 형용사에 사동 접사가 붙어 사동사로 파생되는 경우에는 대개 '무엇이 무엇을 어찌하다(사동사)'와 같은 문형을 가집니다.
0
'낫고'의 표준 발음
2020. 1. 16.
'낫고'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낫고'의 표준 발음은 [낟ː꼬]입니다. 표준발음법 제9항에 따르면 받침 'ㅅ'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ㄷ(ㅅ)'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낫고'는 [낟ː꼬]로 발음합니다.
0
'남부럽잖다'의 붙임표
2020. 1. 16.
'남부럽잖다'는 합성어 같은데 사전에 보니까 붙임표가 없습니다. 최소한 '남-부럽잖다' 이렇게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남부럽잖다'는 합성어이지만 형태소 경계와 자소 경계가 일치하지 않아 붙임표를 붙일 수가 없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붙임표는 직접 성분 분석을 나타내는데, '남부럽잖다'는 '남부럽지 않다'가 줄어진 말이라 직접 성분 분석을 한다면 '남부럽지'와 '않다' 사이에 붙임표를 넣어야 하나 '남부럽잖다'로 줄어들면서 형태소 경계와 자소 경계가 불일치하게 되어 붙임표를 넣지 못한 것입니다. 참고로, '남-부럽다'에는 직접 성분 분석의 붙임표가 있습니다.
0
'날짐승'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날짐승'은 관형사형과 명사와의 합성어인데요, 이때 '날'은 어떤 용언의 관형사형인지요?
'날짐승'의 '날'은 '공중에 떠서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이다'를 뜻하는 동사 '날다'의 관형사형입니다. '날짐승'은 날아다니는 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동사 '날다'의 어간 '날-' 뒤에 관형사형 어미 '-ㄹ'과 명사 '짐승'이 결합한 말입니다.
0
'나타나다'와 '나타내다'의 차이
2020. 1. 16.
'나타나다', '나타내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나타나다'는 자동사이고 '나타내다'는 타동사입니다. '나타나다'는 '보이지 아니하던 어떤 대상의 모습이 드러나다'의 뜻으로 '목격자가 나타나다'와 같이 쓰이는 자동사이지만, '나타내다'는 '보이지 아니하던 어떤 대상이 모습을 드러내다'의 뜻으로 '모습을 나타내다'와 같이 쓰이는 타동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