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미다', '무이다'의 표현
2020. 1. 16.
'미다'와 '무이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미다'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4항에 따르면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았는데, 준말 '미다'가 널리 쓰이고 본말 '무이다'가 잘 쓰이지 않게 되어 '미다'만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0
'-ㄹ까'로 끝난 문장의 종결 부호
2020. 1. 16.
'우리 반에 일진 김태박이 있어서일까?'는 주인공이 교내에서 싸움이 일어난 원인을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맥락상 주인공은 이미 김태박이 있어서 싸움이 벌어졌다고 심증적 확신을 갖고 있는데 문장의 종결 부호를 물음표로 하나요, 느낌표로 하나요?
제시된 문장의 종결 부호는 물음표로 합니다.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정해지지 않은 일에 대한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ㄹ까'가 쓰인 문장이므로 물음표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문장부호규정에 따르면, 의문문의 끝에는 물음표를 쓰고, 그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으므로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도 있겠습니다. 참고로, 느낌표는 감탄문의 끝이나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에는 쓰지만 의문문에는 쓰이지 않습니다.
0
'대한민국에 물음'의 표현
2020. 1. 16.
글 제목 '대한민국에 물음'은 어법에 맞는 표현인가요?
글 제목 '대한민국에 물음'은 어법에 맞는 표현입니다. '대한민국에 물음'은 용언 '묻다'의 명사형으로 끝난 문장인데, '묻다'는 '무엇을 밝히거나 알아내기 위하여 상대편의 대답이나 설명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말하다'를 뜻하는 말로, '지나가는 사람에게 길을 묻다'와 같이 쓰이므로 '대한민국에 (무엇을) 물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물어보다', '먹어 보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먹어 보다', '물어보다'의 띄어쓰기는 왜 다른가요?
'물어보다'는 합성어이고, '먹어 보다'는 구이기 때문입니다. '물어보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 구성의 '물어 보다'가 '무엇을 밝히거나 알아내기 위하여 상대편에게 묻다'를 뜻하는 합성어로 굳어져 붙여 씁니다만, '먹어 보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 구성의 구이므로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라 '먹어 보다'로 띄는 것이 원칙이나 '먹어보다'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물듯이', '물 듯이'의 띄어쓰기
2020. 1. 16.
"기억이 꼬리에 꼬리를 {물듯이/물 듯이} 그려 가며 외워라."에서 '물 듯이'가 맞나요, '물듯이'가 맞나요?
맥락상 '무는 것처럼'으로 해석되므로 '물듯이'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물듯이'는 '물다'의 어간 '물-' 뒤에,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듯이'가 결합된 형태이므로 붙여 씁니다. 한편, 의존 명사 '듯이'는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유사하거나 같은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뛸 듯이 기뻐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띄어 쓰는 의존 명사 '듯이'와 붙여 쓰는 어미 '-듯이'는 뜻으로는 잘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앞말에 관형사형 어미가 있는지 여부로 구분하는데, '물다'처럼 어간 자체가 'ㄹ'로 끝난 경우에는 관형사형 어미 '-ㄹ'과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관형사형 어미 '-ㄹ'이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아님'을 나타내므로 '상어가 물 듯이 입을 벌렸다'처럼 맥락상 '-ㄹ 것처럼'으로 해석이 되는 경우에는 의존 명사로 띄어 쓰고, '꼬리에 꼬리를 물듯이'처럼 '-는 것처럼'으로 해석이 되는 경우에는 어미로 붙여 씁니다.
0
'물건값', '물건 값'의 띄어쓰기
2020. 1. 16.
'물건값', '물건 값'의 바른 띄어쓰기는?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지는 않지만 '물건값'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값'은 명사이지만 '가격', '대금', '비용'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물건값', '음식값'과 같이 명사 뒤에 붙여 적습니다.
0
'묻어나다'의 쓰임
2020. 1. 16.
'묻어나다'는 '물건에 칠하거나 바른 것이 다른 것에 닿았을 때 거기에 옮아 묻다'로 뜻풀이가 되어 있는데 '실망이 묻어나다'도 맞는 표현인가요?
'실망이 묻어나다'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묻어나다'는 '물건에 칠하거나 바른 것이 다른 것에 닿았을 때 거기에 옮아 묻다'를 뜻할 뿐만 아니라 '말이나 글 따위에서 어떤 분위기나 감정 따위가 드러나다'를 뜻하기도 하므로 '실망이 묻어나다'로도 쓸 수 있습니다.
0
'문제 되다', '문제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문제 되다', '문제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문제 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문제 되다'는 '문제가 되다'에서 조사가 생략된 표현이므로 띄어 씁니다. 일부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로서 '사용되다'와 같이 쓰이는 '-되다'가 있기는 하지만, '문제'는 행위를 나타내는 명사가 아니므로 접미사를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0
'...것은 ...이 처음이다'의 표현
2020. 1. 16.
"남녀 빙속 500m를 한 나라가 차지한 것은 올림픽 역사상 한국이 처음이다."는 적절한 문장인가요?
제시하신 문장은 쓸 수 있는 문장입니다. 문장의 짜임새에 대한 판단은 이론적 관점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만, "남녀 빙속 500m를 한 나라가 차지한 것은 올림픽 역사상 한국이 처음이다"는 '남녀 빙속 500m를 한 나라가 차지한 것은'을 전체 주어로 해서 '한국이 처음이다'를 서술절로 안고 있는 안은문장으로 보아 적절한 표현입니다.
0
문장의 주어
2020. 1. 16.
"유아에게는 이 대뇌 관문이 발달하지 않아 소량의 MSG라도 뇌하수체를 파괴하여 성장과 신진대사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에서 주어가 무엇인가요?
제시된 문장에서 주어는 '소량의 MSG라도'입니다. 제시된 문장에서 서술어 역할을 하는 말은 '파괴하여'와 '초래할'인데 이러한 작용을 하는 주체는 '소량의 MSG'이므로 '소량의 MSG라도'가 주어입니다. 주격 조사는 보조사 '라도' 때문에 생략되었습니다.
0
'무의식중에', '무의식 중에'의 띄어쓰기
2020. 1. 16.
'무의식중에', '무의식 중에'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무의식중에'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를 이르는 '무의식중'은 '무의식'과 '중'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므로 '무의식중에'와 같이 붙여 씁니다.
0
'무릎이'의 표준 발음
2020. 1. 16.
'무릎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무릎이'의 표준 발음은 [무르피]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3항에 따르면,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무릎이'는 [무르피]로 발음합니다.
0
'목말'과 '무등'의 표현
2020. 1. 16.
'목말'과 '무등'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목말'이 표준어입니다. 남의 어깨 위에 두 다리를 벌리고 올라타는 일을 이르는 표준어는 '목말'이고, '무등'은 '목말'의 강원, 경기, 충북 방언입니다. 참고로, '무동(舞童)'은 농악대ㆍ걸립패 따위에서, 상쇠의 목말을 타고 춤추고 재주 부리던 아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0
'못 만나다'와 '만나지 못하다'의 표현
2020. 1. 16.
"영희는 철수를 극장에서 못 만났다."라는 표현은 "영희는 철수를 극장에서 만나지 못했다."로 바꿔야 한다는데, 왜 그런지요?
"영희는 철수를 극장에서 못 만났다."도 쓸 수 있습니다. '못 만나다'는 짧은 부정, '만나지 못하다'는 긴 부정이라고 하는데, 동사 '만나다'는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0
'몸뻬'의 순화어
2020. 1. 16.
흔히 아줌마들이 편하게 막 입는 바지는 '몽빼'인가요, '몸빼'인가요?
여자들이 일할 때 입는 바지의 하나를 이르는 말은 '몸뻬'입니다. '몸뻬'는 일본어 'もんぺ'에서 비롯된 말이므로 ‘왜바지’, ‘일 바지’로 순화하여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0
'몸 둘 바를', '몸둘 바를'의 띄어쓰기
2020. 1. 16.
'정말 {몸 둘/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정말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우선 '몸 둘'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원칙적으로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셋 이상)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으로 하나로 자연스럽게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만, '몸 둘 바를'은 마지막 단음절어가 조사와 연결되어 있기도 하고, '몸 둘'은 목적어와 서술어 관계라 같은 의미 단위가 될 수가 없으므로 원칙대로 '몸 둘 바를'로 띄어 씁니다.
0
'목발'과 '지겟다리'의 표현
2020. 1. 16.
'목발'과 '지겟다리'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지겟다리'가 표준어입니다. 지게 몸체의 맨 아랫부분에 있는 양쪽 다리를 뜻하는 표준어는 '지겟다리'이고, 같은 뜻의 '목발'은 '지겟다리'의 비표준어입니다. 참고로,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겨드랑이에 끼고 걷는 지팡이를 이르는 '목발'은 동음이의어로 표준어입니다.
0
'목메다'와 '목메이다'의 표현
2020. 1. 16.
"'이것아! 이것아…….' 목수는 이제라도 목메인 소리를 할 것만 같습니다."에서 '목메인'을 '목멘'으로 바꾼다면 수동적인 느낌이 사라지는 것 같은데 꼭 '목멘'으로 고쳐야 하나요?
'목메이다'는 '목메다'의 비표준어이므로 표준어로 고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목메다'는 자동사로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를 뜻하므로 피동의 '-이-'가 붙을 수가 없습니다.
0
'목메어', '목메여'의 표현
2020. 1. 16.
"{목메어/목메여} 말을 할 수 없다."에서 무엇이 맞나요?
"목메어 말을 할 수 없다."가 맞습니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목메다'이며, '목메다'는 '목메어'와 같이 활용합니다. '목메여'는 '목메다'의 비표준어인 '목메이다'의 활용형이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0
'ㅟ, ㅝ, ㅢ'의 로마자 표기 근거
2020. 1. 16.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ㅟ'는 단모음인데 어째는 'wi'로 적고, 'ㅝ'는 어째서 'weo'가 아니고 'wo'로 적으며, 'ㅢ'는 하향 이중모음인데 어째서 'euy'가 아니라 'ui'로 적나요?
우선, 'ㅟ'를 'wi'로 적는 것은 종전의 로마자 표기법(1984)에서 'ㅟ'를 중모음으로 분류하여 'wi'로 적었으며, 표준발음법 제4항에 따르면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으므로 기존의 표기를 따른 것입니다. 다음, 'ㅝ'를 'wo'로 적는 것은 'ㅕ'와 'ㅛ'는 'yeo', 'yo'로 적어야 서로 구별되나, 'ㅝ'는 짝이 될 만한 'ㅗ'와 'ㅓ'가 결합된 소리가 없어 간결하게 'wo'로 적더라도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끝으로, 'ㅢ'를 'ui'로 적는 것은 'ㅡ'와 'ㅣ'가 연이어 발음되어 'eui'로 적어야 하겠지만, 너무 번잡하고, 'ui'가 'ㅢ'의 발음을 더 쉽게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0
'모순되다'의 품사
2020. 1. 16.
"그의 머리에는 모순된 두 가지 생각이 일어났다."에서 '모순된'의 품사는 무엇인가요?
제시된 문장에서 '모순된'의 품사는 동사입니다. 여기서 '모순된'은 동사 '모순되다'의 어간에,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ㄴ'이 결합한 말입니다.
0
'모른다 뿐', '모른다뿐'의 띄어쓰기
2020. 1. 16.
'모른다 뿐이지', '모른다 뿐이냐'에서 '뿐'은 앞말과 붙여 쓰나요?
'모른다 뿐이지', '모른다 뿐이냐'와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여기서 '뿐'은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참고로, 이런 쓰임의 '뿐'은 전형적으로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의문문으로 '-다 뿐이냐'로도 쓰입니다.
0
'모르다'의 품사
2020. 1. 16.
'모르다'는 어째서 동사인가요?
'모르다'는 '모르는 사람', '아무도 모른다'와 같이 활용하므로 동사입니다. 품사는 단어의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구분되는데. ‘모르다’는 의미적으로 형용사로 볼 수도 있겠지만, 형태적으로 여느 동사처럼 ‘-ㄴ다’, ‘-는’과 같은 어미가 결합해 '모른다', '모르는'으로 활용하고, 통사적으로 ‘-을 모르다’와 같이 목적어를 취하므로 동사로 분류됩니다.
0
'모래주머니'의 표준 발음
2020. 1. 16.
'모래주머니'의 표준 발음은 [모래쭈머니] 아닌가요?
'모래주머니'의 표준 발음은 [모래주머니]입니다. '모래'와 '주머니'가 결합한 말이나 사잇소리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0
'모둠전'과 '모듬전'의 표현
2020. 1. 16.
음식점에서 전이 여러 종류 나오는 것을 '모둠전'이라 하나요, '모듬전'이라 하나요?
전이 여러 종류 나오는 메뉴는 '모둠 전'이라 합니다. 초ㆍ중등학교에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학생들을 작은 규모로 묶은 모임을 '모둠'이라 하고,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끓이면서 먹는 일본식 냄비 요리를 '모둠냄비'라 하는 데다가,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모둠 전'이 '호박, 버섯, 고기 완자 등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든 전'을 뜻하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0
'Mona Lisa'의 띄어쓰기
2020. 1. 16.
'모나리자(Mona Lisa)'는 '리자 부인'이라는 뜻이니 '모나 리자'로 띄어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Mona Lisa'는 우리말에서 한 단어로 굳어져 '모나리자'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0항 2에 따르면,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으므로 'Mona Lisa'는 굳어진 대로 붙여 적습니다.
0
'몇 시 몇 분', '몇시 몇분'의 띄어쓰기
2020. 1. 16.
'몇 시 몇 분'이 맞나요, '몇시 몇분'이 맞나요?
'몇 시 몇 분'이 원칙이나 '몇시 몇분'으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몇'은 흔히 의문문에 쓰여 '뒤에 오는 말과 관련된 수를 물을 때' 쓰는 관형사이므로 '몇 시 몇 분'으로 띄어 씁니다만,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3개 이상)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으므로, '몇시 몇분'으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명령문의 범위
2020. 1. 16.
우리가 평소에 "못 가!"라고 하는 것도 명령문 아닌가요?
"못 가!"는 상대방에게 못 간다고 선언을 하는 문장으로 명령문이 아닙니다. 가겠다는 상대를 막아서며 선언하듯이 "못 가."라고 한다면 간접적으로 가지 말라는 명령의 화행을 실현할 수도 있습니다만, 이는 발화 상황에서 구분되는 것이지 문장에서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0
'몇 월 몇 일', '몇 월 며칠'의 표기
2020. 1. 16.
'몇 월 며칠'과 '몇 월 몇 일' 중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몇 월 며칠'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7항에 따르면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히어 적되,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습니다. '며칠'이 만약 '몇 일(日)'이었다면 '몇 월(月)'[며둴]에 준해 [며딜]로 발음되었겠지만, 그렇게 발음되지 않고 [며칠]로 발음되므로 소리대로 '며칠'로 적는 것입니다.
0
용언 명사형의 사전 등재
2020. 1. 16.
'메스꺼움'과 '역겨움'은 왜 사전에 실려 있지 않나요?
사전에서 용언은 기본형으로만 제시되기 때문입니다. '메스꺼움'과 '역겨움'은 각각 형용사 '메스껍다', '역겹다'의 명사형인데, 사전에는 '메스껍다', '역겹다'와 같은 기본형으로만 실리고 '메스꺼움', '역겨움'과 같은 활용형(명사형)으로는 실리지 않습니다.
0
'메어지다'의 표현
2020. 1. 16.
"칠판이 글씨로 완전히 메어졌다."는 잘못된 표현인가요?
"칠판이 글씨로 완전히 메어졌다."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메다'는 '뚫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이 막히거나 채워지다'를 뜻하는 자동사이지만, '-어지다'로 쓰여 '그렇게 하게 됨'의 뜻을 나타내는 '지다'를 붙여 '메어지다'로 쓸 수 있습니다.
0
'먼바다'와 '먼 바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국어사전에 '먼바다'가 한 단어로 올라 있는데 '먼 바다'로 써야 하지 않나요?
'먼바다'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를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다만, '아주'와 같은 부사의 수식을 받는 경우에는 구이므로 '아주 먼 바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먹을 거니'와 '먹을 꺼니'의 표기
2020. 1. 16.
'먹을 거니'와 '먹을 꺼니'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먹을 거니'가 바른 표기입니다. '-을 거니'는 듣는 이의 전망이나 추측, 또는 주관적 소신 따위를 묻는 뜻을 나타내나 '거'는 의존 명사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므로 '먹을 거니'로 적습니다. 여기서 '거'가 [꺼]로 소리 나는 것은 표준발음법 제27항에 따르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0
'먹었는지'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먹었는지'를 형태소로 분석하면 어떻게 되나요?
형태소에 대한 판단은 이론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먹었는지'는 '먹-(어간)+-었-(선어말 어미)+-는지(연결 어미)'와 같이 형태소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0
'먹어라', '먹거라'의 표현
2020. 1. 16.
최근에 '먹어라'도 '먹거라'로 쓸 수 있게 허용됐다고 하던데 맞나요?
'먹어라', '먹거라' 모두 쓸 수 있는 것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거라'를 '-어라'의 불규칙 활용 어미가 아니라 '-어라'보다 예스러운 느낌을 주는 명령형 어미로 보므로 ‘먹어라’는 물론 예스러운 느낌의 ‘먹거라’도 쓸 수 있습니다.
0
'먹고 싶다'와 '먹어 보고 싶다'의 차이
2020. 1. 16.
'먹어 보고 싶다', '먹고 싶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먹어 보고 싶다'는 '먹고 싶다'에 비해 보조 동사 '보다'가 더 쓰였습니다. 보조 용언 '보다'는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한다는 뜻을 나타내므로 '먹고 싶다'는 단순히 '먹고자 하는 마음이나 욕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먹어 보고 싶다'는 '시험 삼아 먹고자 하는 마음이나 욕구를 갖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0
'먹고'의 표준 발음
2020. 1. 16.
'먹고'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먹고'의 표준 발음은 [먹꼬]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ㄱ' 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먹고'는 [먹꼬]로 발음합니다.
0
'머물다'의 명사형
2020. 1. 16.
'머물다'의 명사형은 '머뭄'인가요, '머묾'인가요, '머무름'인가요?
'머물다'의 명사형은 '머묾'입니다. '머물다'의 어간 '머물-' 뒤에는,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결합하는데 'ㅁ'은 어간의 'ㄹ' 받침이 탈락하는 조건이 아니므로 '머뭄'이 아니라 '머묾'으로 활용합니다. 한편, '머무름'은 '머물다'가 아니라 '머물다'의 본말 '머무르다'의 어간 '머무르-'에 '-ㅁ'이 결합한 말입니다.
0
'맺혔습니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맺혔습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맺혔습니다'의 표준 발음은 [매첟씀니다]입니다. '맺혔습니다'는 표준발음법 제12항 1의 [붙임 1]에 따라 받침 'ㅈ'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므로 두 소리를 합쳐 [ㅊ]으로 발음하고, 제5항 다만 1에 따라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쳐'는 [처]로 발음하며, 제9항에 따라 받침 'ㅆ'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나고, 제23항에 따라 받침 'ㄷ(ㅆ)' 뒤에 연결되는 'ㅅ'은 된소리로 발음하며, 제18항에 따라 받침 'ㅂ'은 'ㄴ' 앞에서 [ㅁ]으로 발음하므로 [매첟씀니다]로 발음합니다.
0
'매무새'와 '매무시'의 차이
2020. 1. 16.
'매무새', '매무시'는 다른 말인가요? "거울을 보고 {매무새/매무시}를 다시 했다."에서 알맞은 표현은 무엇인가요?
"거울을 보고 매무시를 다시 했다."가 적절합니다. '매무새'는 '옷, 머리 따위를 수습하여 입거나 손질한 모양새'를 뜻하고, '매무시'는 '옷을 입을 때 매고 여미는 따위의 뒷단속'을 뜻하는데, '뒷단속'은 다시 할 수 있지만 '모양새'는 다시 할 수 없으므로 "거울을 보고 매무시를 다시 했다."가 알맞습니다.
0
활용 시 매개 모음의 쓰임
2020. 1. 16.
용언의 활용 시 자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먹으면'처럼 매개 모음이 들어간다고 알고 있는데 '먹는', '먹던'에는 왜 매개 모음이 들어가지 않나요?
'매개 모음'의 분포는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간의 자음과 어미의 자음 사이에서 음을 고르게 하기 위해 '-으면', '-으니', '-으랴', '-은'과 같이 매개 모음이 나타나지만, 그와 같은 모든 경우에 매개 모음이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신 '-는', '-던' 외에도 '-자면', '-든지', '-듯이'와 같은 어미 앞에서도 '-으-'가 쓰이지 않습니다.
0
'매'와 '부'의 차이
2020. 1. 16.
공문서 붙임물의 수량을 표시할 때 '몇 매' 또는 '몇 부' 등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이때 '매' 와 '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매(枚)'는 종이나 널빤지 따위를 세는 단위이고, '부'는 신문이나 책을 세는 단위이므로, 첨부하는 문서의 장수는 '매', 첨부하는 문서의 가짓수는 '부'를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참고로 '매'는 '장'으로 순화하여 쓸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0
'맞히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맞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맞히다'의 표준 발음은 [마치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1의 [붙임 1]에 따르면 받침 'ㅈ'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면 두 소리를 합쳐 [ㅊ]으로 발음하므로 '맞히다'는 [마치다]로 발음합니다. '맞히다'가 '맏히다>마티다'와 같이 음절말끝소리규칙이 적용되고 축약이 된 다음 구개음화가 일어나 [마치다]로 발음된다는 의견도 있으나, '낮 한때'[나탄때]나 '낮하고'[나타고], '낮후'[나투] 처럼 두 단어가 결합되거나 연결된 경우에는 음절말끝소리규칙이 먼저 적용되고 축약이 일어나지만 '맞히다'[마치다], '놓자'[노차]처럼 한 단어 안에서 어간과 접미사가 결합하거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곧바로 축약이 됩니다.
0
'맞혀'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맞혀'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맞혀'의 표준 발음은 [마처]입니다. '맞혀'는 '맞히어'를 줄여 쓴 말로, 표준발음법 제12항 1의 [붙임 1]에 따라 'ㅈ'과 'ㅎ'이 축약되고, 제5항 다만 1에 따라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쳐'는 [처]로 발음하므로 [마처]로 발음합니다.
0
'맞춤', '마춤'의 표기
2020. 1. 16.
'마춤'과 '맞춤' 중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맞춤'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5항에 따르면, 예전에 '(박자를) 맞추다/(옷을) 마추다'와 같이 두 가지로 구별하여 적던 말은 '맞추다' 한 가지로 적기로 하였으므로, '마춤'과 '맞춤'은 뜻을 구별하지 않고 '맞춤'으로 적습니다.
0
의성어 '쨍'의 문장 부호
2020. 1. 16.
"냄비 뚜껑끼리 세게 맞부딪치면 쨍! 큰 소리가 나."에서 '쨍!'처럼 문장 중간에 느낌표가 들어가도 될까요?
"냄비 뚜껑끼리 세게 맞부딪치면 '쨍!' 하고 큰 소리가 나."와 같이 써야 합니다. '쨍'은 소리를 나타내는 부사라 뒤에 느낌표가 올 이유가 없습니다만, 소리가 직접 인용 되는 경우라면 큰따옴표에 넣어 쓸 수는 있겠습니다. 참고로 의성어 뒤에 쓰여 '그런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를 뜻하는 '하다'의 용례에 비추어 느낌표 없이 "‘탕’ 하고 총소리가 났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맞벌이'와 '외벌이'의 차이
2020. 1. 16.
'맞벌이'에 대응하는 말은 '외벌이'라고들 하는데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네요. '외벌이'를 쓸 수 있나요?
'맞벌이'에 대응하는 말로 '외벌이'를 쓸 수 있습니다. 예전에 외벌이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부부가 같이 버는 '맞벌이'라는 말이 생겨 굳어졌습니다만, 최근에 맞벌이가 주를 이루면서 그에 대응하는 말로 '외벌이'를 쓰게 되었습니다. '외벌이'는 현재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가정에서 한 사람만이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벎. 또는 그런 일'을 뜻하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0
'맞냐고'와 '맞느냐고'의 표현
2020. 1. 16.
"그 문제의 답이 맞느냐고 물었다.", "그 문제의 답이 맞냐고 물었다."에서 어떤 게 맞나요?
"그 문제의 답이 {맞느냐고/맞냐고} 물었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느냐고'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느냐’의 간접 인용을 나타내는 말로, "어디 가느냐고 물었다."와 같이 쓰이고, '-냐고'는 용언 어간 뒤에 붙어 '-냐'의 간접 인용을 나타내는 말로, "어디 아프냐고 물었다."와 같이 쓰이므로 동사인 '맞다'는 '맞느냐고', '맞냐고'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꺼려 하다', '꺼려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꺼려 하다', '꺼려하다' 중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꺼려 하다', '꺼려하다' 모두 바릅니다. 여기서 '하다'는 일부 동사 뒤에서 ‘-어 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상태나 태도를 드러냄'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인데,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 뒤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므로 '꺼려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꺼려하다'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맛보기', '맛뵈기'의 표현
2020. 1. 16.
'맛보기'와 '맛뵈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맛보기'가 표준어입니다. '맛을 보도록 조금 내놓은 음식'을 이르거나 '어떤 일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시험 삼아 해 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준어는 '맛보기'이고, '맛뵈기'는 '맛보기'의 방언입니다.
0
'맑디맑은'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맑디맑은'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맑디맑은'의 표준 발음은 [막띠말근]입니다. '맑디맑은'은, 표준발음법 제11항에 따르면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되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ㄱ(ㄺ)' 뒤에 연결되는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며,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의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막띠말근]으로 발음합니다.
0
'말하기'와 '말 하기'의 띄어쓰기
2020. 1. 16.
'말하기'와 '말 하기' 중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말하기'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파생어 '말하기'는 국어 학습에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 등을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일을 이르거나 자기의 의사를 상대편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로 표현하는 일을 이르고, 동사 '말하다'의 명사형 '말하기'는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말로 나타냄을 이릅니다. 참고로 '말'이 수식을 받는 경우에는 '고운 말 하기'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말마따나'의 표현
2020. 1. 16.
'말마따나'는 쓸 수 있는 표현인가요?
'말마따나'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말마따나'는 '말' 뒤에 '말한 대로, 말한 바와 같이'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마따나'가 붙은 형태입니다.
0
'맏이'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맏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맏이'의 표준 발음은 [마지]입니다. '맏이'는, 표준발음법 제17항에 따르면 '받침 'ㄷ'이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마지]로 발음합니다.
0
'알다'의 명사형
2020. 1. 16.
"맞춤법을 잘 {암/앎}."에서 무엇이 맞나요?
"맞춤법을 잘 앎."이 맞습니다. '알다'의 명사형은 어간 '알-' 뒤에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결합하므로 '앎'으로 적습니다.
0
'-러', '-다가'로 이어진 문장의 종류
2020. 1. 16.
"우리는 자네를 만나러 왔네.", "여태껏 잘해 오다가 그게 뭐냐?"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볼 수 있나요?
둘 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입니다. "우리는 자네를 만나러 왔네.", "여태껏 잘해 오다가 그게 뭐냐?"는 앞뒤 절을 바꾸면 어색한 문장이 되므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 맞습니다.
0
'만 38세', '만38세'의 띄어쓰기
2020. 1. 16.
만 나이 38세를 쓸 때 '만38세'와 '만 38세' 중 어떤 것이 맞나요?
'만 38세'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만'은 '날, 주, 달, 해 따위의 일정하게 정해진 기간이 꽉 참'을 뜻하는 관형사이므로 뒷말과 띄어서 씁니다.
0
'막일'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막일'은 합성어인가요, 아니면 파생어인가요?
'막일'은 파생어입니다. '막일'은 어근 '일'에, '닥치는 대로 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막-'이 붙어 만들어진 파생어입니다.
0
'마치다'와 '끝나다'의 차이
2020. 1. 16.
'마치다'와 '끝나다'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마치다'는 '어떤 일이나 과정, 절차 따위가 끝나다 또는 그렇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자동사 타동사 통용어이고, '끝나다'는 '일이 다 이루어지다', '다 되어 없어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자동사입니다. 따라서 '마치다'가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뜻 차이가 별로 없어 '일이 {마치다/끝나다}'와 같이 '끝나다'로 대체할 수 있지만, '마치다'가 타동사로 '일을 마치다'와 같이 쓰이는 경우에는 '끝나다'로 대체할 수가 없습니다.
0
'馬朝旭'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중국 정부 '馬朝旭' 외교부 보도국장의 이름은 '마차오쉬'로 적나요, '마자오쉬'로 적나요?
'마자오쉬(馬朝旭)'로 적습니다. 중국 인명 '馬朝旭'는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83차 회의에서 '마차오쉬'로 결정하였다가 87차에서 '마자오쉬'로 정정한 바 있습니다.
0
'소리 하지 마', '소리하지 마'의 띄어쓰기
2020. 1. 16.
"마음에 없는 소리 하지 마.", "마음에 없는 소리하지 마."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마음에 없는 소리 하지 마."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판소리나 잡가를 부르다'를 뜻하는 복합어 '소리하다'가 있으나 "마음에 없는 소리 하지 마."의 '소리 하지'는 합성어 뜻이 아니고, 구조적으로도 '소리'가 '마음에 없는'이라는 관형절의 수식을 받으므로 띄어 씁니다.
0
'마음속', '마음 속'의 띄어쓰기
2020. 1. 16.
'마음속', '마음 속'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마음속'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마음속'은 '마음'과 '속'이 결합하여 굳어진 합성어이므로 '마음속'과 같이 붙여 적습니다.
0
전복을 세는 단위
2020. 1. 16.
전복은 '개'로 세나요, '마리'로 세나요?
전복은 '마리'로 셉니다. '마리'는 짐승이나 물고기,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이고 '개'는 낱개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이므로 '전복'은 '마리'를 단위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참고로, 물고기나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로 '미(尾)'도 있습니다.
0
'마땅치 않아 하다', '마땅치 않아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마땅치 않아 하다', '마땅치 않아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마땅치 않아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보조 동사 '하다'는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지만 '마땅치 않다'와 같은 구 뒤에는 붙여 쓸 수가 없으므로 '마땅치 않아 하다'로 띄어 씁니다.
0
'마다하다'의 활용
2020. 1. 16.
'마다하다'를 활용할 때 '마다하느냐?'와 '마다느냐?'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마다하느냐'가 맞습니다. '마다하다'의 어간 '마다하-' 뒤에,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예스럽게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느냐'가 결합하면 '마다하느냐'로 활용합니다.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라 어미 '-느냐'가 바로 붙을 수가 없습니다.
0
'흐르다'의 활용
2020. 1. 16.
문법책을 보면 '흐르다'와 같은 '르' 불규칙 활용을 하는 말은 모음 어미와 결합하면 '흘러', '흘렀다'와 같이 '르'가 'ㄹㄹ'로 바뀐다는데, 왜 모음 어미 '-오'와 결합하면 그렇게 안 되나요?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르' 불규칙 활용은 어미 '-아/-어' 앞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참고하신 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음 어미'라 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규정에 따라서도 그렇고 실제 언어 현실에서도 '-오' 앞에서는 규칙 활용을 합니다. 이에 따라 '흐르다'는 '흐르고, 흘러, 흘렀다, 흐르오'와 같이 활용합니다.
0
'locker', 'locker room'의 외래어 표기 차이
2020. 1. 16.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 'locker'는 '로커', 'locker room'는 '라커 룸'이라고 나와 있는데 똑같은 'locker'인데 왜 '로커'와 '라커'로 다른가요?
'locker'는 영국식 발음에 따라 '로커'로 적은 것이고 'locker room'은 미국식 발음에 따라 '라커 룸'으로 적은 것입니다.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5항에 따르면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므로 같은 언어의 같은 단어라도 각각 굳어진 대로 '로커', '라커 룸'으로 적습니다. 다만, '로커'가 있는 만큼 '로커 룸'도 잘못이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0
'이로서니', '로서니'의 표현
2020. 1. 16.
'제 아무리 끈질긴 {사나이로서니/사나이이로서니}'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제 아무리 끈질긴 사나이로서니', '제 아무리 끈질긴 사나이이로서니' 둘 다 맞습니다. '사나이'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의 어간 '이-'와 어미 '-로서니'를 붙여 '사나이이로서니'와 같이 적습니다만, '사나이'와 같이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붙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는 쉽게 생략되므로 '사나이로서니'와 같이 적기도 합니다.
0
고유명사의 번역 표기
2020. 1. 16.
'해수욕장', '계곡', '공항', '공원' 등이 고유 명사와 같이 쓰일 경우 영어로 번역해서 표기하도록 용례집에 나온 것을 봤는데, 이는 어느 어문 규정에 근거를 둔 것인지요?
고유 명사의 영어 번역은, 2015년에 문체부에서 고시한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이 지침에 따르면 계곡이나 해변 같은 자연 지명은 이름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번역한 용어를 뒤에 제시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항이나 공원 같은 인공 지명은 앞부분은 로마자로 표기하고 뒷부분은 번역하여 제시합니다. 따라서 '송추계곡'은 'Songchugyegok Valley'로 표기하고 '달성 공원'은 'Dalseong Park'와 같이 표기합니다. 참고로, 이 지침이 있기 전에 나온 용례집에서는 실용상 편의를 위해 제시했던 것으로, 앞으로는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라 표기하시면 됩니다.
0
'-고(요)', '-구(요)'의 표현
2020. 1. 16.
'뭐라구요', '사랑한다구요', '숙제 다 했다구'는 바른 표현인가요?
'뭐라구요', '사랑한다구요', '숙제 다 했다구'는 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여기에 쓰인 '-라구', '-ㄴ다구', '-다구'는 각각 '-라고', '-ㄴ다고', '-다고'의 비표준어입니다. 따라서 '뭐라고요', '사랑한다고요', '숙제 다 했다고'로 써야 바릅니다.
0
어간의 'ㄹ' 탈락 조건 
2020. 1. 16.
어간이 'ㄹ'로 끝나는 용언은 특정 조건의 어미 앞에서 'ㄹ'이 탈락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조건은 무엇인가요?
어간의 'ㄹ'은 'ㄴ', '-ㄹ', 'ㅂ', 'ㅅ', '-오' 앞에서 탈락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 1의 해설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의 'ㄹ'이 'ㄴ, ㅂ, ㅅ' 및 '-오, -ㄹ' 앞에서 '사네', '살', '삽시다', '사세', '사오'와 같이 줄어지는 경우 준 대로 적습니다. 뒤에 'ㄹ'이 오는 경우는 관형사형 어미 '-ㄹ'인 경우에만 어간의 'ㄹ'이 탈락하고 '살리라'처럼 다른 'ㄹ'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습니다.
0
'있을런지요'와 '있을는지요'의 표기
2020. 1. 16.
'있을런지요', '있을는지요' 중 무엇이 바른 표기인가요?
'있을는지요'가 바른 표기입니다. '있다'의 어간 '있-' 뒤에,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이 나타내는 일과 상관이 있는 어떤 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을는지'와 두루높임의 '요'가 결합한 말이므로, '있을는지요'와 같이 적습니다.
0
'분위기를 띄우다'와 '분위기를 띠우다'의 표기
2020. 1. 16.
"분위기 좀 {띄워/띠워} 봐."에서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분위기 좀 띄워 봐."가 바른 표기입니다. 여기서 '띄우다'는 '(비유적으로) 차분하지 못하고 어수선하게 들떠 가라앉지 않게 되다'를 뜻하는 '뜨다'의 사동사입니다. '띄우다'는 표준발음법 제5항 다만 3에 따라 [띠우다]로 발음되어 소리대로 '띠우다'로 적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0
'띄었다', '뜨였다'의 차이
2020. 1. 16.
"흥미로운 사실이 눈에 {뜨였다/띄었다}."에서 '뜨였다'와 '띄었다'의 차이는 무엇이지요?
'뜨였다'(뜨이었다)와 '띄었다'는 각각 본말 '뜨이다'와 준말 '띄다'의 같은 활용형으로 의미 차이가 없습니다. 본말 '뜨이다'의 어간 '뜨이-'에 '-었다'가 결합하면 '뜨이었다'가 되어 '뜨였다'로 줄 수 있고, 준말 '띄다'의 어간 '띄-'에 '-었-'과 '-다'가 결합하면 '띄었다'가 될 수 있습니다.
0
'띄다', '띄우다'의 표현
2020. 1. 16.
"책상 사이를 띄어라."로 쓴다던데 "책상 사이를 띄워라."로 쓰면 안 되나요?
"책상 사이를 띄워라."로도 쓸 수 있습니다. '띄우다'는 '공간적으로 거리가 꽤 멀다'를 뜻하는 '뜨다'의 사동사로서, 흔히 '띄다'로 줄여 "책상 사이를 띄어라."와 같이 쓰이지만 본말 '띄우다'를 써 "책상 사이를 띄워라."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일주일', '일 주일'의 띄어쓰기
2020. 1. 16.
'일주일'과 '일 주일'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일주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일주일'은 '한 주일 또는 칠 일'을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0
'뜨이다'와 '띄다'의 기본 표제어
2020. 1. 16.
'뜨이다'와 '띄다' 중 어느 것이 더 기본적인가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본말 '뜨이다'가 더 기본적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본말 '뜨이다'에 직접적인 뜻풀이가 되어 있고, '띄다'는 '뜨이다'의 준말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직접적인 뜻풀이가 되어 있는 본말 '뜨이다'가 더 기본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
접사 '-이우-'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뜨다'의 피동이 '뜨이다', 사동이 '띄우다'라는데, 여기서 사동 접미사 '-이우-'는 형태소가 하나인가요, 둘인가요?
사동 접미사 '-이우-'는 공시적으로 하나의 형태소입니다. 단어 형성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우-'를 하나의 사동 접미사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0
'뜨겁다'의 활용
2020. 1. 16.
"아, {뜨거/뜨거워}!" 중 어떤 표현이 맞나요?
"아, 뜨거워."가 맞습니다. '뜨겁다'는 어간 '뜨겁-'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뜨거워'와 같이 활용되는데, 이를 '뜨거'로 줄여 쓰지는 않습니다.
0
'뛰어 올라가다', '뛰어올라 가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뛰어 올라가다', '뛰어올라 가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뜻에 따라 '뛰어(서) 올라가다', '뛰어올라(서) 가다'와 같이 띄어 쓸 수 있습니다. '뛰어(서) 올라가다'는 '뛰어서(뛰는 방법으로)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가다' 정도의 뜻을 나타내고, '뛰어올라(서) 가다'는 '몸을 날리어 높은 곳으로 단숨에 올라서(오른 다음) 가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0
'뛰어나다'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뛰어나다'가 통사적 합성어라는데, '뛰다'의 어미가 되는 부분은 '-어'인가요?
그렇습니다. '뛰어나다'는 '뛰-+-어+나-+-다'로 분석되는 통사적 합성어로서 여기서 '뛰다'의 어간에 결합한 어미는 연결 어미 '-어'가 맞습니다.
0
'뛰놀다'의 단어 형성법
2020. 1. 16.
'뛰놀다'가 비통사적 합성법이라는 건 알겠는데요. 그 이유가 '뛰놀다'에서 '어'가 빠졌기 때문인가요, '뛰다'라는 본용언과 '놀다'라는 본용언이 합쳐졌기 때문인가요?
어간과 어간이 바로 결합했기 때문입니다. '뛰놀다'는 어간 '뛰-'와 어간 '놀-'이 적절한 연결 어미로 이어지지 않고 바로 결합하여 통사적 구성에서 벗어나므로 비통사적 합성어라는 것입니다.
0
'뚜렷이'와 '깔끔히'의 차이
2020. 1. 16.
'뚜렷하다', '깔끔하다'를 부사로 바꿀 때 적용되는 규칙은 무엇인가요?
한글맞춤법 제51항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습니다. '뚜렷하다'의 파생 부사는 [뚜려시]로 발음되므로 '뚜렷이'로 적고, '깔끔하다'의 파생 부사는 [깔끔히]로 발음되므로 '깔끔히'로 적습니다.
0
말발굽 소리
2020. 1. 16.
혹시 말이 달리는 소리(말발굽 소리)를 표현하는 의성어는 없나요?
'때각때각'으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딱히 말발굽 소리로 뜻풀이되어 있는 말은 없지만, ‘작고 단단한 물건이 잇따라 가볍게 부딪치거나 부러지는 소리’를 의미하는 ‘때깍때깍’이 있습니다.
0
'먼지를 떨어내다'와 '먼지를 털어 내다'의 표현
2020. 1. 16.
'먼지를 떨어내다/털어 내다'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먼지를 떨어내다'가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여기서 '떨어내다'는 '떨어져 나오게 하다'를 뜻하는 말로 '먼지를 떨어내다', '콩을 떨어내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털어 내다'는 '털다'의 어간에 '-어 내다'가 결합한 말인데, '털다'가 '달려 있는 것, 붙어 있는 것 따위가 떨어지게 흔들거나 치거나 하다'의 뜻으로 '이불을 털다', '옷을 털다'와 같이 쓰이는 말이라 '먼지'와 어울리지 않습니다.
0
'떡볶이'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떡볶이'를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Tteokbokki'가 될 것 같은데, 농림부 지원 떡볶이 연구소에서 세계화를 위해 '떡볶이'를 'Topokki'로 적기로 했다는데, 어떻게 적어야 하나요?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떡볶이'는 'tteokbokki'로 표기합니다. 'Topokki'는 우리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상표화한 표기로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아닙니다.
0
'떡볶이', '떡볶기'의 표기
2020. 1. 16.
'떡볶이'와 '떡볶기'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음식명은 '떡볶이'가 바른 표기입니다. '떡(을) 볶다'에, 몇몇 명사와 동사 어간의 결합형 뒤에 붙어 ‘사람’, ‘사물’, ‘일’의 뜻을 더하고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가 결합한 말이므로 '떡볶이'가 바릅니다. 한편, '떡볶기'는 '떡(을) 볶다'에, 일부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기'가 결합한 말로서 '떡 볶기'로 띄어서 쓸 수는 있겠으나 의미적으로 '떡을 볶는 일'을 뜻하므로 음식명의 표기로는 맞지 않습니다.
0
'떠돌아다니다', '떠돌아 다니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떠돌아다니다', '떠돌아 다니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떠돌아다니다'가 바릅니다. '떠돌아다니다'는 '정처 없이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다', '공중이나 물 위에 떠서 이리저리 움직이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 동사이므로 '떠돌아다니다'로 붙여 씁니다.
0
'복구'와 '복원'의 차이
2020. 1. 16.
'남대문 복구/복원' 중 어느 말이 적절한가요?
'남대문 복원'이 좀 더 자연스럽습니다. ‘복구’는 '손실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고 '복원'은 '원래대로 회복하는 것'이라 개념적으로는 둘 다 쓸 수 있지만, 문화재처럼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에는 '복원'이 더 잘 어울립니다.
0
'때리다'의 문형
2020. 1. 16.
'내가 너에게 때려 준다'가 문법적으로 틀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때리다'의 문형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때리다'는 타동사로서 '누가 누구를 때리다'와 같이 쓰이는데 "내가 너에게 때려 준다."는 목적어 '누구를'이 없고 부사어 '누구에게'가 있어 잘못된 것입니다.
0
'딸리다'의 표현
2020. 1. 16.
부족하다는 의미의 '딸리다'는 표준어가 아닌가요?
'딸리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실력이 좀 모자라다'는 뜻의 표준어는 '달리다'입니다. 이 '달리다'를 좀 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된소리로 '딸리다'로 표현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딸리다'는 '달리다'의 비표준어입니다.
0
'딸내미'의 표현
2020. 1. 16.
윗분의 따님을 '딸내미'라 하면 왠지 어색한데, "사장님 딸내미는 참 이쁘십니다."라고 할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윗사람의 딸을 '딸내미'라 표현하지는 않습니다. '딸내미'는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로 뜻풀이되어 있는데, 실제 쓰임을 보면 주로 자기 딸이나 허물없는 관계의 남의 딸을 가리킬 때 쓰입니다. 따라서, 제시하신 문장처럼 윗사람의 딸을 가리켜 말할 때는 '딸내미'보다는, 남의 딸을 높여 이르는 '따님'을 써 "사장님 따님은 참 이쁘십니다."라고 높여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0
'딸기잼', '딸기 잼'의 띄어쓰기
2020. 1. 16.
'딸기잼', '딸기 잼'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딸기잼'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지만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는 단어로 올라 있으므로 붙여 씁니다.
0
'따른'과 '따라'의 차이
2020. 1. 16.
'따른'과 '따라'의 구체적인 차이가 무엇인가요?
'따른'과 '따라'는 모두 '따르다'의 활용형인데, 관형사형인 '따른'은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와 같이 뒤에 오는 체언의 뜻을 꾸며 주고, 부사형인 '따라'는 '법에 따라 일을 처리하다'와 같이 뒤에 오는 용언의 뜻을 꾸며 줍니다.
0
'따뜻하다'와 '따듯하다'의 표현
2020. 1. 16.
'따뜻하다'와 '따듯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따뜻하다'와 '따듯하다' 둘 다 표준어입니다. '따뜻하다'는 '덥지 않을 정도로 온도가 알맞게 높다', '감정, 태도, 분위기 따위가 정답고 포근하다'를 뜻하고, '따듯하다'도 같은 뜻을 나타내는데 '따뜻하다'보다는 여린 느낌을 줍니다.
0
'디자인'의 순화어
2020. 1. 16.
디자인 조례를 제정하려고 하는데, 제명부터 내용에 '디자인'이 계속 들어가네요. '디자인'을 우리말로 순화하면 어떻게 되나요?
'디자인(design)'은 '설계', '도안', '의장' 등으로 다듬어졌습니다. 맥락에 따라 적절한 순화어를 선택하여 쓸 것을 권해 드립니다. 다만, 이들 순화어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디자인'을 그대로 쓸 수도 있습니다.
0
'등쳐 먹다', '등쳐먹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등쳐 먹다', '등쳐먹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등쳐 먹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먹다'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강조하는 보조 용언이 아니고 '수익이나 이문을 차지하여 가지다'를 뜻하는 본용언이므로 앞말과 붙여 쓸 수 없습니다.
0
'등단 연도'와 '등단년도'의 표기
2020. 1. 16.
'등단 연도', '등단년도' 중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등단 연도'가 맞습니다. '등단 연도'의 '연도(年度)'는 명사 '등단'의 수식을 받는 명사이므로 두음법칙을 적용해 '등단 연도'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붙여 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한편, 한글맞춤법 제10항의 다만에 따르면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하므로, 수 관형사의 수식을 받는 의존 명사 '년도(年度)'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2019년도'와 같이 적습니다.
0
'듯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보조 용언 '듯하다'도 허용에 따라 앞말과 붙여 쓸 수 있나요?
'듯하다'도 앞말과 붙여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아/-어' 뒤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므로 '비가 올 듯하다'와 같이 쓰이는 '듯하다'도 앞말에 붙여 '비가 올듯하다'와 같이 붙여 쓸 수 있습니다.
0
'들다'의 명사형
2020. 1. 16.
'생각이 듬'이 맞나요, 아니면 '생각이 듦'이 맞나요?
'생각이 듦'이 맞습니다. 동사 '들다'의 어간 '들-' 뒤에는,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붙어 '듦'의 형태로 활용합니다. 'ㅁ'은 어간의 'ㄹ'이 탈락하는 조건(ㄴ, -ㄹ, ㅂ, ㅅ, -오)도 아니고, 어간과 어미는 소리대로가 아니라 형태를 밝혀 적어야 하므로 '듬'으로 적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