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없잖냐', '없잖으냐'의 표현
2020. 1. 16.
'없잖냐'라는 말이 문법적으로 맞는 말인가요?
'없잖냐'도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없잖냐'는 '없지 않냐'가 줄어든 말인데, 여기서 '않다'는 본용언 '없다'에 이어진 보조 형용사이므로,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예스럽게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으냐'가 붙으면 '없지 않으냐', 줄여서 '없잖으냐'로 쓰입니다만,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구어적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냐'가 붙으면 '없지 않냐', 줄여서 '없잖냐'로도 쓰입니다.
0
'없지 않다'의 활용
2020. 1. 16.
"돌을 먹을 수 없지 {않으냐/않느냐}."에서 올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돌을 먹을 수 없지 않으냐."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없지 않다'의 '않다'는 보조 형용사이므로,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으냐’를 붙여 '없지 않으냐'로 씁니다. 다만, '없지 않다'의 본용언 '없다'는 형용사이지만 특수하게 '-느냐'가 결합하는데, 그 영향으로 뒤에 이어지는 보조 형용사 뒤에도 '-으냐'가 아닌 '-느냐'가 붙어 '없지 않느냐'로 쓰이기도 합니다.
0
'없음', '없슴'의 표기
2020. 1. 16.
"해당 {없음/없슴}을 통보합니다."에서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해당 없음을 통보합니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없다'의 명사형은 어간 '없-' 뒤에,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음'이 붙어 '없음'으로 적습니다. '없음'의 발음이 [업씀]으로 나 표기에 혼동이 있지만 그 형태를 밝혀 '없음'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만 못하다', '...만 못 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없는 것만 못하다', '없는 것만 못 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없는 것만 못하다'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못하다'는 '비교 대상에 미치지 아니하다'를 뜻하는 형용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참고로 '만'은 ‘하다’, ‘못하다’와 함께 쓰여 '앞말이 나타내는 대상이나 내용 정도에 달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0
'얼마만 한지', '얼마만한지'의 띄어쓰기
2020. 1. 16.
"간이 {얼마만한지/얼마만 한지} 아나요?"에서 올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간이 얼마만 한지 아나요?"가 올바릅니다. 여기서 '만'은 '앞말이 나타내는 대상이나 내용 정도에 달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서 앞말에 붙여 쓰고, '하다'는 단어로서 앞말과 띄어 쓰므로 "간이 얼마만 한지 아나요?"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나이가 얼마예요?"의 표현
2020. 1. 16.
상대의 나이를 물을 때 "나이가 얼마예요?"라고 할 수 있나요?
"나이가 얼마예요?"라고 할 수는 있습니다. '얼마'는 의문문에서 잘 모르는 수량이나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나이가 얼마예요?"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주로 의문문에서 '잘 모르는 수를 물을 때 쓰는 '말'인 '몇'을 써 "나이가 몇이에요?'와 같이 표현합니다.
0
'얼다'의 명사형
2020. 1. 16.
'얼다'의 명사형은 '얾'인가요, '얼음'인가요? 저희 선생님께서는 얼음으로 써도 되는 불규칙이라고 하셨는데 검색을 하다 보니 무조건 ㄹ로 끝나는 용언은 ㄻ으로 쓰는 것 같아서요.
'얼다'의 명사형은 '얾'입니다. '얼다'의 어간 '얼-' 뒤에,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결합하면 '얾'으로 활용합니다. 참고로 '얼음'은 파생명사인데, 현대어에서 명사화 접미사 '-음'이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 뒤에 붙지만, '얼다'의 어간 '얼-' 뒤에는 오래전부터 '-음'이 붙어 파생명사로 굳어졌으므로 예외적입니다.
0
'언짢이'와 '언짢게'의 차이
2020. 1. 16.
'언짢이'와 '언짢게'는 어떻게 다른가요?
'언짢이'는 '언짢다'의 어간 '언짢-' 뒤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가 붙어 만들어진 파생 부사이고, '언짢게'는 '언짢다'의 어간 '언짢-' 뒤에 부사형 어미 '-게'가 붙어 만들어진 용언의 부사형입니다. 파생부사 '언짢이'나 부사형 '언짢게'는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며 모두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입니다.
0
'언성을 지르다'와 '고함을 지르다'의 표현
2020. 1. 16.
'{고함/언성}을 지르다'에서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고함을 지르다'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언성'은 '말하는 목소리', '고함'은 '크게 부르짖거나 외치는 소리'를 뜻하고, '지르다'는 '목청을 높여 소리를 크게 내다'를 뜻하므로, '소리를 지르다'처럼 '언성을 지르다'도 쓸 수는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는 '고함을 지르다'가 주로 쓰입니다.
0
'되다'의 활용
2020. 1. 16.
"어찌 {되든/돼든} 상관없다."에서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어찌 되든 상관없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되다'의 어간 '되-' 뒤에,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든'이 결합한 말로서 '되든'으로 적는 것이 바릅니다.
0
'어찌 됐든', '어찌됐든'의 띄어쓰기
2020. 1. 16.
'어찌 됐든', '어찌됐든'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어찌 됐든'으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어찌 되다'는 부사 '어찌'가 동사 '되다'를 수식하는 구이므로,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라 각 단어를 띄어 '어찌 됐든'과 같이 띄어 적습니다.
0
'먹어야겠다'의 표현
2020. 1. 16.
'먹어야겠다'의 '어야'는 무엇인가요?
'먹어야겠다'는 '먹어야 하겠다'를 줄여 쓴 말로, 여기서 '-어야'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어야 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하다'를 본용언과 연결하는 어미입니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이러한 '-어야'의 쓰임은 어미의 뜻풀이로 아직 반영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조 용언 '하다'의 문법정보에서 확인이 됩니다.
0
어문 규정 개정 이력
2020. 1. 16.
어문 규정이 몇 번 언제 바뀌었나요?
국어원 누리집의 지식>어문규범찾기>한국어어문규범의 '자료실'의 자료 목록이나 '항별 연혁'을 참고하시면 1986년, 1988년 이후의 규정 개정 이력을 전반적으로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0
어말 어미의 분포
2020. 1. 16.
한 문장에 어말 어미는 하나뿐이라는데,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처럼 어말 어미는 한 문장에 몇 개라도 존재하지 않나요?
생각하신 바대로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와 같은 겹문장에서는 어말 어미가 둘입니다. 어말 어미는 활용 어미에 있어서 맨 뒤에 오는 어미이므로 서술어가 여럿이면 어말 어미도 여럿일 수 있습니다. 한 문장의 어말 어미는 하나뿐이라는 설명은 홑문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입니다.
0
'어떻습니까'의 표준 발음
2020. 1. 16.
'어떻습니까'의 표준 발음은 [어떠씀니까]라던데, [어떧씀니까]가 아닌가요?
'어떻습니까'의 표준 발음은 [어떠씀니까]가 맞습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에 따르면, 받침 'ㅎ'(ㄶ, 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닿소[다ː쏘]와 같이 'ㅅ'을 [ㅆ]으로 발음하고 'ㅎ'은 탈락되므로 '어떻습니까'는 [어떠씀니까]로 발음합니다.
0
'어떡하든'과 '어떻게든'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어떡하든'과 '어떻게든'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어떡하든'은 '어떡하다'(어떻게 하다)의 어간에 어미 '-든'이 결합한 말로 '어떤 방식으로 하든' 정도의 뜻을 나타내고, '어떻게든'은 '어떻다'의 활용형 '어떻게' 뒤에 보조사 '든'이 붙은 말로 '어떤 방식으로든' 정도의 뜻을 나타냅니다. 이에 따르면 '어떡하든'과 '어떻게든'은 구성상의 차이가 있습니다만, 쓰임상 "{어떡하든/어떻게든} 살려고 발버둥친다."와 같은 맥락에서 대체가 가능할 정도로 의미적인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0
'어느새', '어느 새'의 띄어쓰기
2020. 1. 16.
부사 '어느새'가 있는데, '어느 새'처럼 '어느'가 '새(사이)'를 꾸미는 구로 쓰일 수 있나요?
'어느 새'라는 명사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어느새'는 "어느새 여름이 왔다."와 같이 '어느 틈에 벌써'라는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인 경우에는 한 단어로 붙여 씁니다만, "어느 새에 여름이 왔다."처럼 관형사 '어느'가 명사 '새'를 꾸미는 명사구로 쓰인 경우라면 '어느 새'로 띄어 씁니다.
0
'사람답다'의 형태 분석
2020. 1. 16.
'사람답다'에서 '-답다'가 접미사라는데, 여기서 '-다'는 무엇인가요?
'사랍답다'의 '-다'는 기본형 어말 어미입니다. '사람답다'에서 '-답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일부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특성이나 자격이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올라 있습니다만, '사람답다'의 형태소 분석을 할 때에는 '사람+-답-+-다'와 같이 어말 어미를 따로 분석합니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먹히다'의 '-히-'와 같이 어간에 붙는 접미사와는 달리 '사람답다'의 '-답다'와 같이 체언에 붙는 접미사나, '떨어뜨리다'의 '-뜨리다'와 같이 용언의 부사형에 붙는 접미사는 기본형 어말 어미 '-다'를 붙여 등재하고 있습니다.
0
'이야깃거리', '이야기거리'의 표기
2020. 1. 16.
'이야깃거리'와 '이야기거리'는 어느 게 맞나요?
'이야깃거리'가 맞습니다. '이야깃거리'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이야기할 만한 재료나 소재'를 뜻하는 명사로 올라 있습니다.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더라도, 명사 뒤에 붙어 '내용이 될 만한 재료'를 뜻하는 의존 명사 '거리'는 앞말에 붙여 쓰고,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는 '수닷거리'와 같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0
'양'과 '량'의 표기
2020. 1. 16.
두 글자로 된 말 뒤에 '량'이나 '양'이 붙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기준으로 량과 양이 갈리나요?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서는 '양', 한자어 뒤에서는 '량'으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의 [붙임 4]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지만, '量'은 한자어 뒤에 결합하는 경우 본음의 형태로 굳어져 '작업량(作業量)'과 같이 적고, 고유어와 외래어 뒤에 붙는 경우 두음법칙을 적용해 '구름양', '에너지양'과 같이 적습니다.
0
'약육강식'의 표준 발음
2020. 1. 16.
'약육강식'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약육강식'의 표준 발음은 [야귝깡식]입니다. '약육'은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나 파생어가 아니므로 '육'의 첫머리에 ㄴ 첨가가 되지 않고 앞말의 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뒷말의 첫소리로 그대로 옮겨져 [야귝]으로 발음됩니다. 그리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ㄱ' 뒤에 연결되는 'ㄱ' 은 된소리로 나므로 '약육강식'은 [야귝깡식]으로 발음됩니다.
0
'야끼'의 어종
2020. 1. 16.
'야끼만두'의 '야끼'가 일본어에서 온 말이 맞나요?
'야끼만두'의 '야끼'는 일본어 '야키(燒き)'에서 비롯된 말이 맞습니다. 참고로, '야키만두'는 '군만두'로 다듬어졌고, '야키만두'에서 비롯된 '야끼만두'는 '군만두'의 비표준어입니다.
0
'앵글로아메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띄어쓰기
2020. 1. 16.
'앵글로아메리카'는 왜 붙여 쓰고, '라틴 아메리카'는 왜 띄어 쓰나요?
원어의 띄어쓰기 차이 때문입니다.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0항의 2에 따르면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으므로, 앵글로아메리카(Anglo-America)는 원어의 'Anglo-'가 접사라 붙여 쓰고, 라틴 아메리카(Latin America)는 원어가 두 단어로 되어 있어 띄어 쓰되 전문어이므로 '라틴아메리카'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0
'애끊다'와 '애끓다'의 차이
2020. 1. 16.
'애끊다', '애끓다'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애끊다'는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애끊는 통곡'과 같이 쓰이고, '애끓다'는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끓는 듯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애끓는 하소연'과 같이 쓰입니다. '애끊다'는 몹시 슬픈 감정을 나타내고 '애끓다'는 몹시 안타까운 감정을 나타내는데, 둘 다 마음이 아프다는 뜻이 겹쳐 헷갈리나 전자는 괴롭다는 뜻이 더 있고 후자는 답답하다는 뜻이 더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0
'애굣살'의 표준 발음
2020. 1. 16.
'애굣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이 말의 표준 발음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미소를 지을 때에 눈 밑에 귀엽게 올라오는 살'을 뜻하는 '애굣살'이 [애ː교쌀/애ː굗쌀]의 발음으로 올라 있으니 현실 발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ㅔ'와 'ㅐ'의 발음 차이
2020. 1. 16.
'ㅔ'와 'ㅐ'는 발음상 어떻게 다른가요?
'ㅔ'와 'ㅐ'는 전설모음이자 평순모음으로 비슷하나 'ㅔ'는 중모음 [e]이고 'ㅐ'는 저모음 [ɛ]이므로 차이가 납니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차이가 잘 구분이 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0
'알종아리'와 '알집'의 표준 발음
2020. 1. 16.
'알종아리'와 '알집'은 어떻게 발음하나요?
'알종아리'와 '알집'의 표준 발음은 [알종아리]와 [알찝]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의 경우에는 '알집'[알찝]처럼 뒤 단어의 첫소리 'ㅈ'을 된소리로 발음합니다만, '알종아리'는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합성어가 아니므로 뒤 단어의 첫소리 'ㅈ'을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습니다.
0
'알려 주세요', '알켜 주세요'의 표현
2020. 1. 16.
'알려 주세요'는 맞는 게 확실한 것 같은데, '알켜 주세요' 이건 사투리인가요?
'알켜 주세요'의 '알키다'는 사투리가 맞습니다. '알키다'는 '알리다'의 전남, 충북, 함경 방언입니다.
0
'알다'의 활용
2020. 1. 16.
'알다시피', '아다시피' 중 어떤 표기가 맞나요?
'알다시피'가 맞습니다. '알다'와 같이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는 말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어간의 'ㄹ'이 규칙적으로 탈락하는데, '알다'의 어간 뒤에, '-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다시피'가 결합하게 되면 'ㄹ' 탈락 조건이 아니므로 '알다시피'로 활용합니다. 참고로, '알다'의 어간에 '-시-'가 결합한 다음에 '-다시피'가 결합하면, 'ㄹ' 탈락 조건에 해당하므로 '아시다시피'로 활용합니다.
0
'않음'의 품사
2020. 1. 16.
'~하지 않음'이라고 할 때 '않음'이 명사인가요?
'~하지 않음'의 '않음'은 '않다'의 명사형입니다. 여기서 '않음'은 보조 용언 '않다'의 어간 뒤에 명사형 어미 '-음'이 붙은 활용형으로, 품사는 앞에 오는 본용언의 품사에 따라 보조 동사 또는 보조 형용사입니다.
0
'않았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않았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않았다'의 표준 발음은 [아낟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4에 따르면 어간의 'ㅎ(ㄶ, ㅀ)' 받침 뒤에 '-았-'과 같은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면 'ㅎ'을 발음하지 않고, 제23항에 따르면 받침 'ㄷ(ㅆ)' 뒤에 연결되는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아낟따]가 표준 발음입니다.
0
'않다고 했지'의 준말
2020. 1. 16.
'않다고 했지'의 줄임말 '않댔지'가 바른 표현인가요?
'않댔지'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않다고 했지'에서 '-고 하-'가 준 말로서 '않댔지'라고 쓸 수 있습니다.
0
'앉히다'의 피동
2020. 1. 16.
"나는 누군가에 의해 {앉혀졌다/앉혔다}."에서 어느 것이 맞는지요?
"나는 누군가에 의해 앉혀졌다."가 맞습니다. 맥락상 타동사인 사동사 '앉히다'의 어간에 '-어지다'를 결합해 '남의 힘에 의해 앉히는 행동을 입음'의 뜻을 나타내는 '앉혀지다'가 적절합니다. '앉히다'는 사동사로 타동사이므로 제시된 맥락에는 맞지 않습니다.
0
'앉은 자세'와 '앉는 자세'의 표현
2020. 1. 16.
'{앉는/앉은} 자세를 취하다'에서 무엇이 맞는지요?
뜻에 따라 둘 다 쓸 수는 있습니다. '자세'는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을 뜻하므로, 현재 막 앉는 모양을 취한다는 뜻이라면 '앉는 자세를 취하다', '이미 앉은 모양을 취한다는 뜻이라면 '앉은 자세를 취하다'를 씁니다.
0
'안절부절못하다', '안절부절하다'의 표현
2020. 1. 16.
'안절부절하다'와 '안절부절못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안절부절못하다'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25항에 따르면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습니다. '안절부절못하다'와 '안절부절하다' 중에는 '안절부절못하다'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므로 '안절부절못하다'가 표준어인 것입니다.
0
'안락사하다', '안락사시키다'의 표현
2020. 1. 16.
'가족을 {안락사하다/안락사시키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안락사시키다'가 적절합니다. '안락사'는 생명을 단축하는 행위를 뜻하므로 그 행위의 주체에 대해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익사', '질식사' 등의 경우나 '안락사'의 실제 쓰임에 따르면 죽는 당사자가 '안락사하다'의 주체가 됩니다. 따라서 제시된 문장은 '가족을 안락사시키다'가 맞습니다.
0
'공부가 안되다', '공부가 안 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공부가 {안된다/안 된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공부가 안된다'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안되다'는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를 뜻하는 단어이므로 '공부가 안되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0
'되다'의 '안' 부정 표현의 띄어쓰기
2020. 1. 16.
"혼자 힘으로는 {안 되겠다/안되겠다}.", "그런 짓을 해서는 {안 된다/안된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혼자 힘으로 안 되겠다.", "그런 짓을 하면 안 된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른 띄어쓰기입니다. 여기서 '안 되다'는 "혼자 힘으로 되겠다.", '그런 짓을 해도 된다."의 '안' 부정을 나타내므로 띄어 씁니다.
0
'안다', '안기다'의 차이
2020. 1. 16.
'안다'와 '안기다'는 다른 말인가요?
'안다'와 '안기다'는 다른 말입니다. '안기다'는 '안다'의 어간 '안-' 뒤에 사동 또는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기-'가 결합해 파생된 단어로서 '강아지가 아이에게 안겼다', '엄마가 아이에게 강아지를 안겼다.'와 같이 쓰이므로 '아이가 강아지를 안았다.'와 같이 쓰이는 '안다'와 다릅니다.
0
'안 좋다'와 '좋지 않다'의 표현
2020. 1. 16.
"그 자동차는 안 좋은 점이 있다."의 '안 좋은'을 '좋지 않은'으로 고치라는데 '안 좋은'은 쓸 수 없나요?
"그 자동차는 안 좋은 점이 있다."도 쓸 수 있습니다. '좋다'의 '안' 부정은 '안 좋다'와 같은 짧은 부정과 '좋지 않다'와 같은 긴 부정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안 보다', '보지 않다'의 표현
2020. 1. 16.
'안 보다'가 학교 문법의 기준으로 보아서 올바른 것인가요? 또 '보지 않다'도 성립하는지요?
'안 보다', '보지 않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보다'는 짧은 부정 제약이 없으므로 "그들은 서로 안 보고 산 지 오래다."와 같이 쓸 수 있고, 긴 부정은 별 제약이 없으므로 "보지 않아도 다 아는 수가 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다던데', '-다던대'의 표기
2020. 1. 16.
"몸이 아프다던데.'는 들은 말을 전달하는 말이라는데, 누군가에게 들은 이야기의 경우 '대'를 쓰는 거 아닌가요?
"몸이 아프다던데."가 맞습니다. '아프다던데'는 '아프다고 하던데'를 줄여 쓴 말인데, 여기서 '-고 하다'가 들은 사실을 간접 인용 하여 전달하는 뜻을 나타내고, '-던데'는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의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한편, '-대'는 '-다고 해'를 줄여 쓴 말인데, 여기서 '-고 해'(-고 하다)가 마찬가지로 들은 사실을 간접 인용 하여 전달하는 뜻이 있어 "몸이 아프대."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0
'아프다'의 활용
2020. 1. 16.
활용을 할 때 어간의 모음이 'ㅏ, ㅗ'인 경우는 '-았-', 나머지는 '-었-'를 붙이면 된다고 들은 것 같은데, '아프다'는 왜 '아펐다'가 아닌 '아팠다'로 활용하나요?
'아프다'는 활용할 때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의 'ㅡ'가 탈락하기 때문입니다. '아프다'의 어간 '아프-' 뒤에 모음 어미가 오면 어간의 끝 모음 'ㅡ'가 탈락해 그 앞의 모음에 따라 모음 조화가 이루어지므로 첫음절의 모음 'ㅏ'에 따라 어미 '-았-'이 결합해 '아팠다'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0
'점심시간', '점심 시간'의 띄어쓰기
2020. 1. 16.
식사 시간으로 '점심시간', '점심 시간'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점심시간'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점심시간'은 '점심을 먹기로 정하여 둔 낮 12시부터 1시까지의 시간'을 뜻하는 합성어입니다. 참고로 '아침 시간', '저녁 시간'은 합성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0
'아전인수 격', '아전인수격'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전인수 격', '아전인수격'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아전인수 격'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격'은 일부 명사 뒤에 쓰여서 자격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아무 상관 없어', '아무 상관없어'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무 상관 없어.", "아무 상관없어."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아무 상관 없어'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합성어 '상관없다'가 있지만, 문의하신 것처럼 관형사 '아무'의 수식을 받는 경우에는 '아무'가 명사 '상관'을 수식하므로 "아무 상관 없어."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부정칭과 미지칭의 인칭
2020. 1. 16.
'누구'나 '아무' 같은 미지칭과 부정칭은 3인칭에 포함될 수 있나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미지칭과 부정칭은 3인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칭대명사'의 뜻풀이를 보면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제일 인칭에 ‘나’, ‘저’, ‘우리’, 제이 인칭에 ‘너’, ‘너희’, ‘자네’, 제삼 인칭에 ‘이’, ‘그’, ‘저’, ‘이이들’, ‘저이들’, ‘그이들’, 미지칭에 ‘누구’, ‘누구들’, 부정칭에 ‘아무’, ‘아무들’ 따위가 있다."와 같이 부정칭과 미지칭을 1인칭, 2인칭, 3인칭과 별개의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0
'아름다움'의 품사
2020. 1. 16.
"그는 아름다움을 모른다."의 '아름다움'은 파생명사인가요, 명사형인가요?
"그는 아름다움을 모른다."의 '아름다움'은 파생명사입니다. 여기서 '아름다움'은 '아름답다'의 어간 뒤에 파생 접사 '-음'이 결합한 파생명사입니다. 현재 언어 현실을 반영한 "우리말샘"에 한 단어로 올라 있습니다.
0
'딸내미'의 표현
2020. 1. 16.
'딸내미'가 성차별적인 말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표준어인가요?
'딸내미'는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로 표준어입니다. '아들'을 귀엽게 이르는 말로 '아들내미'도 있으므로 '딸내미'가 특별히 성차별적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0
'우리나라', '우리 나라'의 띄어쓰기
2020. 1. 16.
'우리나라', '우리 나라'의 바른 띄어쓰기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우리 스스로 가리킬 때 쓰는 합성어로서 '우리나라'로 붙여 씁니다. 한편 외국인이 자신의 나라를 말할 때처럼 대한민국을 가리키는 경우가 아니라면 합성어 뜻이 아니므로 '우리 나라'로 띄어 씁니다.
0
'아는 체도 안 하다', '아는 체도 안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는 체도 안 하다', '아는 체도 안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아는 체도 안 하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제시하신 표현은 '아는 체도 하다'의 '안' 부정 표현이므로 '아는 체도 안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0
'아낌없다', '아낌 없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낌없다', '아낌 없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아낌없다'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아낌없다'는 '주거나 쓰는 데 아까워하는 마음이 없다'를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아낌없다'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0
'아 참', '아참'의 띄어쓰기
2020. 1. 16.
"{아참/아 참}, 손님이 오셨던데요."라고 할 때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아참, 손님이 오셨던데요."라고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우리말샘"에 '잊고 있었던 것이 문득 생각날 때 내는 소리'를 뜻하는 감탄사 '아참'이 올라 있습니다.
0
'씁쓸하다', '씁슬하다'의 표기
2020. 1. 16.
'씁쓸하다'와 '씁슬하다'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씁쓸하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3항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데, '씁쓸하다'는 '씁'과 '쓸'이 비슷한 음절로 겹쳐 같은 글자인 된소리로 '씁쓸하다'로 적는 것입니다.
0
'쓸데없다', '쓸 데 없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쓸데없다', '쓸 데 없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맥락에 따라 '쓸데없다'와 같이 붙여 쓸 수도 있고 '쓸 데 없다'로 띄어 쓸 수도 있습니다. '아무런 쓸모나 득이 될 것이 없다'의 뜻으로 쓰인 맥락이라면 "쓸데없는 말은 하지마."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한편, 합성어 뜻이 아니라면 "돈은 부족해서 탈이지 많으면 어디 쓸 데 없겠어?"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쓰디쓴'의 형태소 분석
2020. 1. 16.
'쓰디쓴'을 분석하면 '쓰디쓰-+-ㄴ'으로 분석하나요, '쓰-+-디+쓰-+-ㄴ'으로 분석하나요?
'쓰디쓴'은 '쓰-(어간)+-디(연결 어미)+쓰-(어간)+-ㄴ(관형사형 어미)'과 같이 형태 분석이 됩니다.
0
'つなみ'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つなみ'의 경우는 일본어 발음, 영어 발음 모두 'tsunami, 쯔나미'로 발음되는데,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쓰나미'라고 적나요?
외래어 표기는 국어에 쓰이는 외래어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적기 위한 것이므로, 현지 발음이나 그 표기를 근거로 하되 우리말 발음에 없는 것은 가장 비슷한 우리말 발음으로 바꾸기도 합니다. 일본어 'つなみ'의 'つ'는 '쯔'도 '쓰'도 아닌, 우리말에는 없는 음운이나 우리말의 '쯔'보다는 '쓰'에 더 가깝다고 보아 '쓰나미'로 적는 것입니다.
0
'쑥스럽다'와 '안쓰럽다'의 차이
2020. 1. 16.
'쑥스럽다'의 '스럽다'와 '안쓰럽다'의 '쓰럽다'는 왜 표기가 다른가요?
'쑥스럽다'는 원형을 밝혀 표기했고, '안쓰럽다'는 소리대로 표기했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1항에 따르면, 명사 또는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만, 어원이 분명하지 않거나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으므로, 분석이 되는 '쑥-스럽다'[쑥쓰럽따]는 원형을 밝혀 '쑥스럽다'로 적고, 어원이 분명하지 않아 분석이 안 되는 '안쓰럽다'[안쓰럽따]는 소리대로 적은 것입니다.
0
'써지지'와  '써지질'의 표현
2020. 1. 16.
친구와 채팅을 하던 중, "글씨가 써지질 않네."라는 문장이 나왔는데 '써지지'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글씨가 써지지 않네.", "글씨가 써지질 않네." 모두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써지질'은 '써지지' 뒤에 '강조'의 보조사 'ㄹ'이 붙은 형태이므로 '써지지', '써지질'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써넣은 후', '써 넣은 후'의 띄어쓰기
2020. 1. 16.
'써넣은 후', '써 넣은 후'의 바른 띄어쓰기는?
'써넣은 후'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써넣다'는 '일정한 자리에 글씨를 써서 채우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입니다.
0
쌍점의 띄어쓰기
2020. 1. 16.
쌍점(콜론)을 쓸 때는 앞말과 붙여 쓰는 거라고 들었는데, 이게 규정으로 정해진 건가요?
현행 문장부호 규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문장부호'(2015) 6의 [붙임]에 따르면, 쌍점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씁니다.(일시: 2019. 6. 25./아들: 아버지, 빨리 오세요.) 다만,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하거나(오전 10:20)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청군:백군) 경우에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씁니다.
0
'싹둑', '싹뚝'의 표기
2020. 1. 16.
'싹둑'과 '싹뚝'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싹둑'이 바른 표기입니다. [싹뚝]으로 발음하지만, 한글맞춤법 제5항 다만에 따르면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하므로 '싹둑'으로 표기합니다.
0
'의문에 싸인'과 '의문에 쌓인'의 표현
2020. 1. 16.
'의문에 {싸인/쌓인} 사건'에서 어떤 말이 맞나요?
'의문에 싸인 사건'이 맞습니다. '싸이다'는 '…에 싸이다', '…으로 싸이다'와 같이 쓰여 '헤어나지 못할 만큼 어떤 분위기나 상황에 뒤덮이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의문에 싸인 사건'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한편, '쌓이다'에는 '재산, 명예 또는 불명예, 신뢰 또는 불신 따위가 많아지다'의 뜻이 있어 '의문이 쌓이다'와 같이 쓸 수는 있지만 '의문에 쌓이다'로는 쓸 수가 없습니다.
0
'서슴지 않다', '서슴치 않다'의 표기
2020. 1. 16.
'서슴지 않다', '서슴치 않다'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서슴지 않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서슴다'의 어간 '서슴-'에 어미 '-지'가 결합한 말이므로 '서슴지 않다'와 같이 적습니다.
0
'심난하다'와 '심란하다'의 차이
2020. 1. 16.
'마음이 {심난하다/심란하다}'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마음이 심란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심란하다(心亂--)'[심난하다]는 '마음이 어수선하다'의 뜻을 나타내고, '심난하다(甚難--)'[심ː난하다]는 '형편이나 처지 등이 매우 어렵다'는 뜻을 나타내므로 '마음이 심란하다'로 쓰시는 것이 알맞습니다.
0
'실컷', '실컨'의 표현
2020. 1. 16.
'실컷'과 '실컨' 모두 표준어인가요?
'실컷'이 표준어입니다.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한껏' 또는 '아주 심하게'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실컷'입니다. 다만, '실컷'[실컫]이 '놀다', '먹다'와 어울리는 경우에는 표준발음법 제18항 [붙임]에 따라 끝받침 'ㄷ(ㅅ)'이 'ㄴ', 'ㅁ' 앞에서 [ㄴ]으로 동화되어 [실컨]으로 발음되기도 합니다. 또한 '실컨'은 '실컷'의 경상 방언이기도 합니다.
0
'실시례', '실시예'의 표기
2020. 1. 16.
'실시례'가 맞나요, '실시예'가 맞나요?
'실시례'가 맞습니다. '례'는 한자어 명사 뒤에 붙어 '본보기'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0
'실낙원', '실락원'의 표기
2020. 1. 16.
'실낙원'과 '실락원'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실낙원'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2항 [붙임 2]에 따르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법칙에 따라 적으므로 '낙원'에, 접두사처럼 쓰이는 '실'이 결합한 말도 두음법칙을 적용해 '실낙원'으로 적습니다.
0
'신립'의 표준 발음
2020. 1. 16.
'신립'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신립'의 표준 발음은 [실립]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0항에 따르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신립'은 [실립]으로 발음합니다.
0
'신경 써', '신경써'의 띄어쓰기
2020. 1. 16.
'신경써'와 '신경 써' 중에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신경 써'가 맞습니다. '신경(을) 쓰다'는 '사소한 일에까지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다'를 뜻하는 관용구이므로 띄어 씁니다.
0
'식용유'의 표준 발음
2020. 1. 16.
'식용유'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식용유'의 표준 발음은 [시굥뉴]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파생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접미사의 첫음절이 'ㅣ' 계열 모음인 경우 'ㄴ'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므로 '식용'과 '-유'과 결합한 말에도 'ㄴ'이 첨가되어 [시굥뉴]로 발음합니다.
0
'시답잖다', '시덥잖다'의 표현
2020. 1. 16.
'시답잖다'와 '시덥잖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시답잖다'가 표준어입니다. '볼품이 없어 만족스럽지 못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시답잖다(實▽---)'이고, '시덥잖다'는 '시답잖다'의 경북 방언입니다.
0
'시각'과 '시간'의 차이
2020. 1. 16.
특정한 시점에 대하여 묻거나 말할 때는 '현재 시간'이 아니라 '현재 시각'이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현재 시간', '현재 시각'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본디 '시간의 어느 한 시점'을 이르는 말은 '시각'이고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를 이르는 말은 '시간'입니다만, '시간'도 '시각'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어 '시각' 대신 '시간'을 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각'과 '현재 시간'을 다 쓸 수 있는 것입니다.
0
'에스파냐'와 '스페인'의 차이
2020. 1. 16.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국가명 '스페인' 대신 '에스파냐'가 더 기본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국가명의 경우 해당 국가의 언어로 된 명칭을 기본으로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스페인(Spain)'은 영어명이고, '에스파냐(España)'는 스페인어명이라 '에스파냐'를 기본 표제어로 한 것입니다.
0
'すもう' 외래어 표기
2020. 1. 16.
일본어 'すもう'는 '스모우'라고 적어야 하나요, '스모'라 적어야 하나요?
'すもう'는 '스모'로 표기합니다.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6절 일본어의 표기 제2항에 따르면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으므로, 'すもう'의 'う'는 표기하지 않고 '스모'로 적습니다.
0
'스며들다', '스며 들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스며들다', '스며 들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스며들다'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스며들다'는 '스미다'의 어간에 '-어'가 결합하여 준 '스며'에 본동사 '들다'가 결합하여, '속으로 배어들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 동사입니다.
0
'스며들다'의 본말의 띄어쓰기
2020. 1. 16.
'스며들다'의 본말은 단어로 없는데 '스미어들다'가 맞나요, '스미어 들다'가 맞나요?
'스미어들다'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본말 '스미어들다'는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지만, 준말 '스며들다'가 한 단어로 올라 있으므로 이에 준해 본말도 '스미어들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0
쉼표에 의한 중의성 해소
2020. 1. 16.
"천사는, 처음 출근한다는 기쁨 때문에 역시 새벽 네 시에 잠이 깨어 있는 내가 아직도 자고 있는 줄로 알고 발소리를 죽여 가며 내 문 앞을 조심조심 걷는다."와 같이 쉼표를 찍어 의미의 모호성을 해소할 수 있나요?
제시된 문장과 같이 쉼표를 찍으면 중의성이 해소됩니다. '문장부호'(2015)에 따르면, 쉼표는 앞말이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쓰는데, '천사는' 뒤에 그런 쉼표를 찍음으로 해서 바로 뒤에 오는 '처음 출근하는 기쁨 때문에'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 의미의 모호성을 해소합니다.
0
'나뭇가지'와 '숫쥐'의 표준 발음
2020. 1. 16.
'나뭇가지'와 '숫쥐'의 표준 발음은 왜 다른가요?
'나뭇가지'[나무까지/나묻까지]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은 말이고, '숫쥐'[숟쮜]는 사이시옷과 무관한 말이기 때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에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므로 [나무까지]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고 [나묻까지]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합니다. 한편, '숫쥐'는 '숫-'이 접두사로 사이시옷과 무관하므로 표준발음법 제9항에 따라 받침 'ㅅ'은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발음하고, 제23항에 따라 받침 'ㄷ(ㅅ)' 뒤에 연결되는 'ㅈ'은 된소리로 발음해 [숟쮜]로 발음합니다.
0
'순두부', '숨두부'의 표현
2020. 1. 16.
'순두부'와 '숨두부'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순두부'가 표준어입니다. '눌러서 굳히지 않은 두부'를 이르는 표준어는 '순두부'이고, '숨두부'는 '순두부'의 충청, 평북, 황해 방언입니다.
0
'shop'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외래어 표기 일람표에 따르면 'shop'는 발음상 '샵'이라고 표기해야 맞는 것 같은데, 왜 '숍'이라고 표기하는 건가요?
영국식 발음에 따랐기 때문입니다. 영어 'shop'은 미국식으로는 [ʃɑːp], 영국식으로는 [ʃɒp]으로 발음되는데, 이를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으면 각각 '샵', '숍'이 되고, 'shop'의 외래어 표기는 영국식 발음에 따라 '숍'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0
'소고기'와 '쇠고기'의 표현
2020. 1. 16.
'소고기'와 '쇠고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쇠고기'와 '소고기' 모두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8항에 따르면, '쇠-'가 전통적인 표현이지만, '소-'의 쓰임도 우세해져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인정한 것입니다.
0
'송이송이'의 의태어 여부
2020. 1. 16.
'송이송이'는 의태어인가요?
'송이송이'는 의태어가 아닙니다. '송이송이'는 명사 '송이'의 첩어로서 '송이마다'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이므로, '아장아장'과 같이 사물의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의태어와 다릅니다.
0
'속이다', '쇡이다'의 표현
2020. 1. 16.
'속이다', '쇡이다' 중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속이다'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9항에 따르면 'ㅣ'역행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쇡이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소화하다', '소화시키다'의 표현
2020. 1. 16.
"어떤 책은 여러 번 읽어서 {소화해야/소화시켜야} 한다."에서 어떤 표현이 맞나요?
"어떤 책은 여러 번 읽어서 소화해야 한다."가 맞습니다. '소화하다'가 '(비유적으로) 배운 지식이나 기술 따위를 충분히 익혀 자기 것으로 만들다'를 뜻하는 타동사라 '소화하다'와 같은 뜻을 나타내기 위해 '사동'의 '-시키다'를 결합한 '소화시키다'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0
'소쿠리'의 유래
2020. 1. 16.
'소쿠리'가 일본어에서 온 말인가요?
'소쿠리'는 일본에서 온 말이 아닙니다. '소쿠리'는 광해군 때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계축일기"에서 '소코리', '속고리' 형태로 나타나고, 일본어에서 '소쿠리'를 뜻하는 말은 'ざる'로 발음이 다르므로 일본에서 온 말로 볼 수가 없습니다.
0
'대인배'의 미등재 이유
2020. 1. 16.
"표준국어대사전"에 '소인배'는 있는데 '대인배'는 왜 없나요?
대인'은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을 뜻하므로 주로 부정적인 말 뒤에 붙는 '-배'와 잘 어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도량이 좁고 간사한 사람'을 뜻하는 '소인'에, '무리를 이룬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배'가 결합한 '소인배'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지만, '소인'과 반의 관계에 있는 '대인'에 '-배'를 붙인 '대인배'는 올라 있지 않은 것은 '불량배', '폭력배', '소인배'와 같이 주로 부정적인 명사에 붙는 '-배'의 부정적인 어감 때문인 것입니다. 다만, 최근에는 '소인배'의 반의어로 '대인배'가 널리 쓰이고 있어 현실 언어를 보여 주는 "우리말샘"에는 '대인배'가 '마음 씀씀이가 넓고 관대한 사람. 또는 그런 무리'를 뜻하는 명사로 올라 있습니다.
0
'소위'의 바른 표현
2020. 1. 16.
'이른바'를 뜻하는 '소위'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말이라는데 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올라 있는 것이 적절한가요?
'소위(所謂)'는 일본식 한자어로 보기 어려우므로 적절합니다. '소위'가 '이른바'로 순화되어 일본식 한자어라고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所謂'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다수 확인되는 만큼, 일본식 한자어로 보기 어렵습니다.
0
'소리 나다', '소리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소리 나다', '소리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소리 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소리 나다'는 현재 한 단어로 굳어진 말이 아니므로 '소리 나다'로 띄어 씁니다.
0
'세어'의 준말
2020. 1. 16.
'술이 세어지다'와 '술이 세지다' 중 어떤 것이 맞나요?
'세지다'는 '세어지다'의 준말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세다'의 어간에 연결어미 '-어'가 결합하면 '세어'가 되나 이를 줄여 '세'로도 쓸 수 있으므로 여기에 '지다'가 결합한 '세어지다', '세지다' 모두 쓸 수 있는 것입니다.
0
'goal ceremony'의 표기
2020. 1. 16.
'goal ceremony'의 외래어 표기는 '골 세러머니', '골 세리머니', '골 세리모니', '골 세레머니' 중 어떤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goal ceremony'의 외래어 표기는 '골 세리머니'입니다. 될 수 있으면 순화어인 '득점 뒤풀이'를 쓰시기 바랍니다.
0
'삼형제', '세 자매'의 차이
2020. 1. 16.
'삼 형제, 사 형제, 오 형제', '삼 남매, 사 남매, 오 남매'는 한자어 수와 연결이 자연스러운데, '세 자매, 네 자매, 다섯 자매'는 '삼 자매, 사 자매, 오 자매'가 어색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나요?
관행적으로 굳어진 것일 뿐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관행적으로 '형제'나 '남매'는 한자어 수와 잘 어울리지만, '자매'는 한자어 수와 잘 어울리지 않는 것일 뿐입니다. 참고로, '형제', '남매'는 '두 형제', '여섯 남매'와 같이 고유어 수와도 어울립니다.
0
'세계'의 표준 발음
2020. 1. 16.
'세계'의 표준 발음 무엇인가요?
'세계'의 표준 발음은 [세ː계/세ː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5항 다만 2에 따르면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하므로 '세계'는 [세ː계]는 물론 [세ː게]로도 발음합니다.
0
인사말 '성실하겠습니다'의 표현
2020. 1. 16.
학교에서 학생들이 인사를 할 때, "성실하겠습니다."라고 하는데, 이 표현이 어법상 맞나요?
학생들의 의지나 다짐을 나타내는 경우라면 적절하지 않습니다. '성실하다'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라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겠-'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0
'성묫길', '성묘길'의 표기
2020. 1. 16.
'성묘길', '성묫길'은 어떻게 표기하나요?
'성묫길'로 표기합니다. '길'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과정', '도중', '중간'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므로 앞말에 붙여 쓸 수 있고, 마지막 '길'이 [낄]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성묫길'로 적습니다.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는 '성묫길'이 올라 있습니다.
0
'효과'의 표준 발음
2020. 1. 16.
'효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효과'의 표준 발음은 [효ː과/효ː꽈]입니다. 본디 '효과'의 발음은 [효ː과]였으나, 현실 발음을 인정하여 [효ː꽈]도 표준 발음이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한자음의 된소리 발음에 대해서는 현행 표준발음법 규정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0
'설레다', '설레이다'의 표현
2020. 1. 16.
'설레다'와 '설레이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인가요?
'설레다'가 표준어입니다.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설레다'이고, '설레이다'는 '설레다'의 비표준어입니다.
0
'서울행', '서울 행'의 띄어쓰기
2020. 1. 16.
'{서울행/서울 행} 버스'에서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서울행 버스'가 바릅니다. '서울' 뒤에, '그곳으로 향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행(行)'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서울행'과 같이 씁니다.
0
'하버드대', '하버드 대'의 띄어쓰기
2020. 1. 16.
'하버드대'가 맞나요, '하버드 대'가 맞나요?
'하버드대'로 붙여 씁니다. '대학교'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 '대'가 있어 '대 1'과 같이 쓰이기는 하지만, 대학교 이름에서 '대학교'를 줄여 쓴 '대'의 띄어쓰기에 대해서는 따로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이런 경우 대부분 붙여 쓰고 있으며, '하버드대'의 경우 현실 언어를 반영한 "우리말샘"에 아예 한 단어로 올라 있으므로 '하버드대'로 붙여 씁니다.
0
'서울 시민', '서울시민'의 띄어쓰기
2020. 1. 16.
'{서울시민/서울 시민}들의 참여를'은 어떻게 쓰는 것이 맞나요?
'서울 시민들의 참여를'로 띄어 씁니다. 여기서 '서울 시민'은 '서울시'에 '-민'이 결합한 말이 아니고 '서울(시) 시민'에서 '시'가 생략된 말이므로 '서울 시민'으로 띄어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