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 doc_id
stringlengths 2
32
| doc_title
stringlengths 0
441
| doc_source
stringlengths 3
11
| doc_published
int64 19.7M
20.2M
| doc_class
dict | created
stringlengths 14
14
| qa_type
int64 1
7
| question_id
stringlengths 7
7
| question
stringlengths 10
60
| is_impossible
bool 2
classes | answers
dict |
---|---|---|---|---|---|---|---|---|---|---|---|
질병관리본부 정례브리핑 참고자료 - 감염병별 발생 동향 및 주요 대책 -
15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장티푸스, 세균성이질)[감염병관리과]
□ 질병 개요
○ (장티푸스) 장티푸스균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으로 균 감염 3일~60일 후 고열, 두통, 변비 또는 설사, 장미진, 비장 비대 등의 증상
○ (세균성이질) 이질균 감염에 의한 급성 장관 질환이고, 균 감염 12시간~7일 후 발열, 구토, 복통, 수양성 또는 혈성 설사 등의 증상
○ (전파경로) 분변-경구감염, 직접적인 사람 간 접촉 및 환경접촉, 오염된 음식섭취, 염소 소독되지 않은 물 섭취 등
□ 최근 국내외 발생 동향
○ (발생추이) 연중 발생하는 질환으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각각 연 100~300명 발생
○ (국외유입) 2018년 신고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환자는 전년 대비 급증하고 있으며, 이중 73.5%가 동남아시아 지역(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인도 등)을 여행한 것으로 확인됨
* 장티푸스 : 2017년 128명(국내발생 78, 해외유입 50) → 2018년(3.14 기준) 85명(국내발생 31, 해외유입 54)
* 세균성이질 : 2017년 111명(국내발생 42, 해외유입 69) → 2018년(3.14 기준) 85명(국내발생 10, 해외유입 75)
□ 주요 대책
○ (감시체계) 해외여행 후 입국하는 유증상자 대상 검사실시, 추적조사 등 관리조치로 환자 조기 발견 및 대응
○ (환자 및 공동노출자 관리) 확진된 경우 균음전 확인시까지 격리조치, 여행 동행자(공동노출자) 유증상 여부 모니터링 및 검사
○ (교육홍보) 해외여행객 대상 올바른 손씻기 등 수인성 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안내, 귀국 후 증상자는 의료진에게 해외여행력 알리기, 의료진 대상 국내외 감염병발생정보 공유
|
79216
|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
질병관리청
| 20,210,41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식품건강"
}
|
20220422145720
| 5 |
5738418
|
111명의 세균성이질 환자가 2017년에 해외에서 유입되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66,
"clue_text": "세균성이질 : 2017년 111명(국내발생 42, 해외유입 69) → 2018년(3.14 기준) 85명(국내발생 10, 해외유입 75)",
"options": null,
"text": "No"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 체계 정비 및 중기 감축목표 이행의 제도적 틀 마련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3장 녹색성장위원회 등
제11조(녹색기술 관련 재원의 배분방향 등의 심의) ① 위원회는 법 제15조 제7호에 따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기술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재원의 배분방향 및 연구개 사용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 때에는 「과학기술기본법」 제9조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② 위원회는 제1항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관련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제12조(회의) ① 법 제16조제2항에 따른 위원회의 정기회의는 반기별로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위원장은 회의를 소집하려는 때에는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의 일정 및 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우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법 제16조제3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위원장은 의결서를 작성하고, 다음에 개최되는 위원회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1. 긴급한 사유로 회의를 개최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
2.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위원의 출석에 의한 의사정족수를 채우기 어려운 경우 등 위원장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
172711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환경부
| 20,100,4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749
|
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하려면 각 위원에게 회의 일정과 안건을 회의가 시작되기 7일전까지 알려야 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5,
"clue_text": "위원장은 회의를 소집하려는 때에는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의 일정 및 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우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options": null,
"text": "Yes"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 체계 정비 및 중기 감축목표 이행의 제도적 틀 마련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3장 녹색성장위원회 등
제11조(녹색기술 관련 재원의 배분방향 등의 심의) ① 위원회는 법 제15조 제7호에 따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기술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재원의 배분방향 및 연구개 사용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 때에는 「과학기술기본법」 제9조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② 위원회는 제1항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관련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제12조(회의) ① 법 제16조제2항에 따른 위원회의 정기회의는 반기별로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위원장은 회의를 소집하려는 때에는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의 일정 및 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우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법 제16조제3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위원장은 의결서를 작성하고, 다음에 개최되는 위원회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1. 긴급한 사유로 회의를 개최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
2.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위원의 출석에 의한 의사정족수를 채우기 어려운 경우 등 위원장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
172711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환경부
| 20,100,4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750
|
긴급한 사유가 있더라도 위원장은 회의 개최 전에 회의 일정과 안건을 각 위원에게 알려야 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5,
"clue_text": "위원장은 회의를 소집하려는 때에는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의 일정 및 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우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options": null,
"text": "No"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 체계 정비 및 중기 감축목표 이행의 제도적 틀 마련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4장 저탄소 녹색성장의 추진
제18조(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① 교육과학기술부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지식경제부장관, 환경부장관, 국토해양부장관 및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은 법 제32조제1항에 따라 소관 분야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고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1. 국제표준과 연계한 표준화 기반 및 적합성 평가체계 구축 사업
2. 개발된 녹색기술의 표준화 사업
3. 국내에서 연구ㆍ개발 중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사업
4.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사업
5. 그 밖에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며, 국민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마련할 수 있다.
|
172711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환경부
| 20,100,4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757
|
지식경제부 장관은 녹색산업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36,
"clue_text":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며, 국민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마련할 수 있다.",
"options": null,
"text": "Yes"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 체계 정비 및 중기 감축목표 이행의 제도적 틀 마련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4장 저탄소 녹색성장의 추진
제18조(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① 교육과학기술부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지식경제부장관, 환경부장관, 국토해양부장관 및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은 법 제32조제1항에 따라 소관 분야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고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1. 국제표준과 연계한 표준화 기반 및 적합성 평가체계 구축 사업
2. 개발된 녹색기술의 표준화 사업
3. 국내에서 연구ㆍ개발 중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사업
4.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사업
5. 그 밖에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며, 국민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마련할 수 있다.
|
172711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
|
환경부
| 20,100,4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758
|
녹색산업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장관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36,
"clue_text":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을 총괄적으로 관장하며, 국민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마련할 수 있다.",
"options": null,
"text": "No"
}
|
『OECD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관한 워크샵』개최
□ OECD의 이와 같은 취지에서 마련된 금번 워크샵에서는 20여명의 국외전문가가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대한 국제기구․회원국들의 논의동향을 소개하고 지속가능한 물질관리를 위한 효과적 정책수단 발굴을 위한 토론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 아울러 금번 워크샵은 국내적으로도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하여 환경부가 중점 추진중에 있는 국가자원순환계획의 수립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가자원순환계획에서는 생산에 있어 천연자원의 투입을 적게하면서 생산성을 높혀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 사용 후 발생된 폐기물은 최대한 재사용, 재활용 하도록 하여 천연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추진
□ 또한 '05.12.1~2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OECD 제8차 폐기물 예방 및 재활용회의』가 개최될 예정으로 30개 회원국 정부대표가 참석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폐기물 관리 지침”, “폐기물과 경제”,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등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이다.
|
142300
|
『OECD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관한 워크샵』개최
|
환경부
| 20,051,1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429
|
OECD 지속 가능한 물질 관리에 관한 워크샵에서 천연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로 논의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23,
"clue_text": "사용 후 발생된 폐기물은 최대한 재사용, 재활용 하도록 하여 천연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추진",
"options": null,
"text": "Yes"
}
|
『OECD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관한 워크샵』개최
□ OECD의 이와 같은 취지에서 마련된 금번 워크샵에서는 20여명의 국외전문가가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대한 국제기구․회원국들의 논의동향을 소개하고 지속가능한 물질관리를 위한 효과적 정책수단 발굴을 위한 토론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 아울러 금번 워크샵은 국내적으로도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하여 환경부가 중점 추진중에 있는 국가자원순환계획의 수립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가자원순환계획에서는 생산에 있어 천연자원의 투입을 적게하면서 생산성을 높혀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 사용 후 발생된 폐기물은 최대한 재사용, 재활용 하도록 하여 천연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추진
□ 또한 '05.12.1~2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OECD 제8차 폐기물 예방 및 재활용회의』가 개최될 예정으로 30개 회원국 정부대표가 참석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폐기물 관리 지침”, “폐기물과 경제”,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등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이다.
|
142300
|
『OECD 지속가능한 물질관리에 관한 워크샵』개최
|
환경부
| 20,051,1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430
|
화학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로 OECD 지속 가능한 물질 관리에 관한 워크샵에서 의논됐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23,
"clue_text": "사용 후 발생된 폐기물은 최대한 재사용, 재활용 하도록 하여 천연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추진",
"options": null,
"text": "No"
}
|
제10차 람사르 당사국 총회 개막
□ 10.28(화) 주요 회의 계획
< 지역회의(09:00-12:00) >
○ 풀만호텔 아모리스A룸에서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각 지역별로 협약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총회 의제에 대한 지역의 입장을 정립하는 지역회의가 개최된다.
○ 특히, 이번 지역회의에서는 우리나라가 ‘08.10.13일에 신규 등록한 람사르습지 3개소 등 신규 람사르 등록습지에 대한 지정서 전달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 개회식(16:30-18:00) >
○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개막식이 오늘 창원컨벤션센터 그랜드 컨퍼런스룸에서 오후 5시부터 약 두 시간 가량 진행된다.
○ 개회식 시작을 알리며 총회 주제영상물이 상영되고, 습지보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람사르습지보전상' 시상, ’세계 어린이 람사르 퍼포먼스‘ 등 환경총회다운 뜻 깊은 행사들이 진행된다.
※ 2008 람사르습지보전상 수상자
- 관리 부문 : Dennis Landenbergue (렌든버그, WWF)
- 과학 부문 : David Pritchard (프리차드, 영국)
- 교육 부문 : Sansanee Choowaew (추웨이, 태국)
- 특별상 : Jan Kvet (코벳, 체코)
○ 개회식에 앞서 한국의 저탄소·녹색성장 의지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컨벤션홀 로비에서 탄소상쇄기금을 전달 행사가 열리며, 조성된 기금은 개도국의 습지보전 및 기후변화 저감사업 지원으로 쓰이게 된다.
|
166048
|
제10차 람사르 당사국 총회 개막
|
환경부
| 20,081,0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471
|
2008 람사르습지보전상 과학 부문 수상자는 영국 국적의 프리차드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96,
"clue_text": "과학 부문 : David Pritchard (프리차드, 영국)",
"options": null,
"text": "Yes"
}
|
제10차 람사르 당사국 총회 개막
□ 10.28(화) 주요 회의 계획
< 지역회의(09:00-12:00) >
○ 풀만호텔 아모리스A룸에서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각 지역별로 협약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총회 의제에 대한 지역의 입장을 정립하는 지역회의가 개최된다.
○ 특히, 이번 지역회의에서는 우리나라가 ‘08.10.13일에 신규 등록한 람사르습지 3개소 등 신규 람사르 등록습지에 대한 지정서 전달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 개회식(16:30-18:00) >
○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개막식이 오늘 창원컨벤션센터 그랜드 컨퍼런스룸에서 오후 5시부터 약 두 시간 가량 진행된다.
○ 개회식 시작을 알리며 총회 주제영상물이 상영되고, 습지보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람사르습지보전상' 시상, ’세계 어린이 람사르 퍼포먼스‘ 등 환경총회다운 뜻 깊은 행사들이 진행된다.
※ 2008 람사르습지보전상 수상자
- 관리 부문 : Dennis Landenbergue (렌든버그, WWF)
- 과학 부문 : David Pritchard (프리차드, 영국)
- 교육 부문 : Sansanee Choowaew (추웨이, 태국)
- 특별상 : Jan Kvet (코벳, 체코)
○ 개회식에 앞서 한국의 저탄소·녹색성장 의지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컨벤션홀 로비에서 탄소상쇄기금을 전달 행사가 열리며, 조성된 기금은 개도국의 습지보전 및 기후변화 저감사업 지원으로 쓰이게 된다.
|
166048
|
제10차 람사르 당사국 총회 개막
|
환경부
| 20,081,0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472
|
태국인 추웨이가 2008 람사프습지보전상 과학 분야 수상자일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96,
"clue_text": "과학 부문 : David Pritchard (프리차드, 영국)",
"options": null,
"text": "No"
}
|
전국 10개 대학을 중심으로「아이디어팩토리 사업」 본격 시행 - 대학생의 우수 아이디어 사업화를 위한 개방형 제작 공간 조성 -
□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학생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로 연계지원하는 ‘2015년도 아이디어팩토리 지원사업(2015년 30억원)’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ㅇ 올해 상반기(2015. 6.) ‘아이디어팩토리’를 운영할 10개 주관대학*을 선정했으며 한국해양대학교의 개소식(7. 30.)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9개 대학도 설치를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 한다.
* 2015년 아이디어팩토리 주관대학 : 강원대, 경일대, 서울대, 선문대, 순천향대, 전남대, 한국산업기술대, 한국해양대, 한라대, 한양대 등 10개 대학(가나다 순)
□ ‘아이디어팩토리’는 대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시제품 제작 등을 통해 실제로 구현해 볼 수 있도록 대학 내 조성한 개방형 제작공간으로,
ㅇ 아이디어팩토리를 통해 확보된 기술은 중소기업에 이전되거나 학생 창업 등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 이 사업은 2014년부터 카이스트가 시범 운영한 ’아이디어팩토리‘의 성과확산을 위해 올해부터 신규 10개 대학으로 확대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ㅇ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는 아이디어팩토리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개발한 보급형 입체(3D)프린터를 민간 기업에 이전하여 제품을 출시하는 등 20여개의 시제품 제작과 특허 출원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
157428
|
전국 10개 대학을 중심으로 아이디어팩토리 사업 본격 시행
|
산업통상자원부
| 20,150,7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38509
|
2015년 6월에 10개 대학이 아이디어팩토리 주관대학으로 선정된 거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60,
"clue_text": "올해 상반기(2015. 6.) ‘아이디어팩토리’를 운영할 10개 주관대학*을 선정했으며 한국해양대학교의 개소식(7. 30.)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9개 대학도 설치를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 한다.",
"options": null,
"text": "Yes"
}
|
전국 10개 대학을 중심으로「아이디어팩토리 사업」 본격 시행 - 대학생의 우수 아이디어 사업화를 위한 개방형 제작 공간 조성 -
□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학생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로 연계지원하는 ‘2015년도 아이디어팩토리 지원사업(2015년 30억원)’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ㅇ 올해 상반기(2015. 6.) ‘아이디어팩토리’를 운영할 10개 주관대학*을 선정했으며 한국해양대학교의 개소식(7. 30.)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9개 대학도 설치를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 한다.
* 2015년 아이디어팩토리 주관대학 : 강원대, 경일대, 서울대, 선문대, 순천향대, 전남대, 한국산업기술대, 한국해양대, 한라대, 한양대 등 10개 대학(가나다 순)
□ ‘아이디어팩토리’는 대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시제품 제작 등을 통해 실제로 구현해 볼 수 있도록 대학 내 조성한 개방형 제작공간으로,
ㅇ 아이디어팩토리를 통해 확보된 기술은 중소기업에 이전되거나 학생 창업 등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 이 사업은 2014년부터 카이스트가 시범 운영한 ’아이디어팩토리‘의 성과확산을 위해 올해부터 신규 10개 대학으로 확대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ㅇ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는 아이디어팩토리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개발한 보급형 입체(3D)프린터를 민간 기업에 이전하여 제품을 출시하는 등 20여개의 시제품 제작과 특허 출원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
157428
|
전국 10개 대학을 중심으로 아이디어팩토리 사업 본격 시행
|
산업통상자원부
| 20,150,7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38510
|
아이디어팩토리 주관대학이 2014년에 10개 대학으로지정되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60,
"clue_text": "올해 상반기(2015. 6.) ‘아이디어팩토리’를 운영할 10개 주관대학*을 선정했으며 한국해양대학교의 개소식(7. 30.)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9개 대학도 설치를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 한다.",
"options": null,
"text": "No"
}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2016년부터 2년 동안 경상북도 안동시와 의성군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에 대한 식물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이곳에 728종류의 관속식물이 사는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1억 년 전 공룡이 번성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지대를 말하며, 경상도에 넓게 분포하여 학술적으로는 경상누층군으로 부르고 있다. 공룡 화석이 출토되는 경남 고성군, 경북 의성군, 전남 화순군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
□ 이번 조사를 통해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 등 여러 희귀식물의 새로운 자생지가 확인됐다.
○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는 국내 자생지가 몇 곳 되지 않는 희귀종으로, 대구돌나물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평가기준 적용 시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며,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보호됐던 관심대상종이다.
○ 또한 가새잎꼬리풀, 산개나리, 실제비쑥 등 18종의 한반도 고유종도 발견됐다.
○ 함께 발견된 덕우기름나물, 장군대사초는 국내에서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종으로, 비석회암지대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813060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 20,170,90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511
|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동물로 지정됐던 관심대상종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66,
"clue_text":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는 국내 자생지가 몇 곳 되지 않는 희귀종으로, 대구돌나물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평가기준 적용 시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며,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보호됐던 관심대상종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2016년부터 2년 동안 경상북도 안동시와 의성군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에 대한 식물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이곳에 728종류의 관속식물이 사는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1억 년 전 공룡이 번성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지대를 말하며, 경상도에 넓게 분포하여 학술적으로는 경상누층군으로 부르고 있다. 공룡 화석이 출토되는 경남 고성군, 경북 의성군, 전남 화순군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
□ 이번 조사를 통해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 등 여러 희귀식물의 새로운 자생지가 확인됐다.
○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는 국내 자생지가 몇 곳 되지 않는 희귀종으로, 대구돌나물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평가기준 적용 시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며,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보호됐던 관심대상종이다.
○ 또한 가새잎꼬리풀, 산개나리, 실제비쑥 등 18종의 한반도 고유종도 발견됐다.
○ 함께 발견된 덕우기름나물, 장군대사초는 국내에서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종으로, 비석회암지대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813060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 20,170,90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512
|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동물로 선정됐던 관심대상종은 대구돌나물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66,
"clue_text":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는 국내 자생지가 몇 곳 되지 않는 희귀종으로, 대구돌나물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평가기준 적용 시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며,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보호됐던 관심대상종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2016년부터 2년 동안 경상북도 안동시와 의성군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에 대한 식물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이곳에 728종류의 관속식물이 사는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지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1억 년 전 공룡이 번성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지대를 말하며, 경상도에 넓게 분포하여 학술적으로는 경상누층군으로 부르고 있다. 공룡 화석이 출토되는 경남 고성군, 경북 의성군, 전남 화순군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
□ 이번 조사를 통해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 등 여러 희귀식물의 새로운 자생지가 확인됐다.
○ 대구돌나물, 망개나무, 향나무는 국내 자생지가 몇 곳 되지 않는 희귀종으로, 대구돌나물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평가기준 적용 시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며, 망개나무는 2012년까지 멸종 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보호됐던 관심대상종이다.
○ 또한 가새잎꼬리풀, 산개나리, 실제비쑥 등 18종의 한반도 고유종도 발견됐다.
○ 함께 발견된 덕우기름나물, 장군대사초는 국내에서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종으로, 비석회암지대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813060
|
경북 퇴적암 지대에서 희귀식물 새로운 자생지 다수 확인
|
환경부
| 20,170,90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516
|
한국의 퇴적암 지대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종은 장군대사초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55,
"clue_text": "함께 발견된 덕우기름나물, 장군대사초는 국내에서 석회암지대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종으로, 비석회암지대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문희상 국회의장, 러시아 및 발트3국 공식방문
문 의장은 31일(금) 오전 라트비아 리가로 이동해 라이몬즈 베요니스(Raimonds Vejonis) 대통령, 크리스야니스 카린스(Arturs Krisjanis Karins) 총리,이나라 무르니에쩨(Inara Murniece) 국회의장 등 라트비아 최고위급 인사들과 면담을 한다. 특히 무르니에쩨 국회의장과는 「한-라트비아 의회 간 협력의정서(MOU)」 체결을 통해 의회 간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틀을 합의할 예정이다.
이어 문 의장은 다음날(1일) 오후 라트비아 한인동포들과 만참간담회를 갖고교민들을 격려한 뒤, 현지시간 6월 2일(일) 리투아니아 빌니우스로 이동한다.
문 의장은 3일(월) 오전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Dalia Grybauskaitė) 리투아니아 대통령, 사울리스 스크베르넬리스(Saulis Skvernelis) 총리, 빅토라스 프란츠키에티스(Viktoras Pranckietis) 국회의장 등과 연쇄면담을 통해 발트3국 중 한국과 교역이 가장 많은 리투아니아와 양국 간 교류협력 및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지속적인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할 예정이다. 문 의장은 리투아니아 일정을 끝으로 8박 10일간의 공식일정을 마친다.
문 의장의 이번 순방에는 한-러의원친선협회장 겸 러시아의회외교포럼 회장인추미애 의원, 김정훈 의원, 송영길 의원, 김관영 의원, 박재호 의원, *** 외교특임대사, *** 국제국장, *** 부대변인, *** 정무기획비서관 등이 함께한다.
|
46700
|
[보도자료] 문희상 국회의장, 러시아 및 발트3국 공식방문
|
대한민국국회
| 20,190,52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46839
|
문희상 국회의장은 무르니에쩨 국회의장과 한-리트비아 의회 간 협력의정서를 체결할 예정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83,
"clue_text": "특히 무르니에쩨 국회의장과는 「한-라트비아 의회 간 협력의정서(MOU)」 체결을 통해 의회 간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틀을 합의할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국내 최대 해외 환경 발주처 초청, GGHK 2017 개최
질의응답
1. GGHK 2017란?
○ 환경부가 해외 유력 환경사업 발주처, 고위급 인사를 초청하여 수주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고위급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내 최대 규모 환경·에너지 산업 상담회로 매년 50여개국 150여개 발주처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41개국 143개 발주처가 참여할 예정입니다.
2. GGHK 2017에는 상담회 외에 어떤 행사가 있나요?
○ 상담회 외에 해외발주처에게 직접 우수설비를 홍보할 수 있는 전시관이 운영되며, 해외 프로젝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설명회와 MDB 환경사업 제안서 작설실무 세미나 등 마련될 예정입니다.
○ 특히, 글로벌 환경산업비전 포럼의 경우 다자개발은행(월드뱅크, 아프리카개발은행)과 유엔환경계획(UNEP)의 주요 인사를 초청하여 국제금융을 활용한 해외진출 전략과 글로벌 환경산업의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 이외 동반세미나로서 글로벌 NGV 세미나, 전기자동차 세미나, 해양에너지, 해양풍력 세미나 등 환경․에너지 분야의 최신 트랜드 및 사례를 공유할 계획입니다.
○ 특히, 올해에는 부산 최대 환경·에너지 전시회인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ENTECH)과 연계 하여 제품·부품 중소 환경기업 상담 및 수주지원을 보다 강화하였습니다.
|
812160
|
국내 최대 해외 환경 발주처 초청, GGHK 2017 개최
|
환경부
| 20,170,90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849
|
GGHK 2017은 환경부가 진행하는 환경.에너지 산업 상담회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5,
"clue_text": "환경부가 해외 유력 환경사업 발주처, 고위급 인사를 초청하여 수주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고위급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내 최대 규모 환경·에너지 산업 상담회로 매년 50여개국 150여개 발주처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options": null,
"text": "Yes"
}
|
한중일 국립환경과학원장 회의…아시아 대기오염 논의
□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국정과제인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11월 2일부터 5일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중국환경과학연구원(원장 ***)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원장 ** ****)와 함께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를 개최한다.
□ 이번 회의에서는 폐기물 관리, 아시아 대기오염 등 9대 우선협력사업에 대한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우선협력사업 로드맵’을 채택하여, 2019년까지의 공동 연구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할 예정이다.
○ 9개 우선협력사업은 ①호소수질오염, ②아시아 대기오염, ③도시환경 및 친환경 도시, ④황사, ⑤화학물질 위해 및 관리, ⑥생물다양성 보존, ⑦고형폐기물 관리, ⑧기후변화, ⑨재난환경 등으로 구성된다.
○ 우선협력사업 로드맵에서는 특히 미세먼지 분야의 공동연구를 위한 한국·중국간 대기자료 전용회선 설치와 황사 중 미세먼지의 연직분포 연구를 통해 동북아 미세먼지에 대한 신속한 협력 연구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본 회의와 함께 ‘아시아 대기오염(Asian Air Pollution)’이라는 주제로 워크숍이 개최되며, 그간 3국이 수행한 관련 연구의 정보교환, 대기오염 저감 정책 소개, 대기질과 예보 현황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 또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 박사와 프랑스 환경물리연구소(LGGE) **(***) 박사가 참여해 선진국의 대기오염대응 경험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대기오염 저감방안과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 ***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제시된 미세먼지저감 공동 연구 등이 동북아 환경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3국간의 연구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환경개선을 통한 동북아시아인의 삶의 질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574750
|
한중일 국립환경과학원장 회의…아시아 대기오염 논의
|
환경부
| 20,151,10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869
|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는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개최되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
"clue_text":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국정과제인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11월 2일부터 5일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중국환경과학연구원(원장 ***)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원장 ** ****)와 함께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를 개최한다.",
"options": null,
"text": "Yes"
}
|
한중일 국립환경과학원장 회의…아시아 대기오염 논의
□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국정과제인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11월 2일부터 5일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중국환경과학연구원(원장 ***)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원장 ** ****)와 함께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를 개최한다.
□ 이번 회의에서는 폐기물 관리, 아시아 대기오염 등 9대 우선협력사업에 대한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우선협력사업 로드맵’을 채택하여, 2019년까지의 공동 연구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할 예정이다.
○ 9개 우선협력사업은 ①호소수질오염, ②아시아 대기오염, ③도시환경 및 친환경 도시, ④황사, ⑤화학물질 위해 및 관리, ⑥생물다양성 보존, ⑦고형폐기물 관리, ⑧기후변화, ⑨재난환경 등으로 구성된다.
○ 우선협력사업 로드맵에서는 특히 미세먼지 분야의 공동연구를 위한 한국·중국간 대기자료 전용회선 설치와 황사 중 미세먼지의 연직분포 연구를 통해 동북아 미세먼지에 대한 신속한 협력 연구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본 회의와 함께 ‘아시아 대기오염(Asian Air Pollution)’이라는 주제로 워크숍이 개최되며, 그간 3국이 수행한 관련 연구의 정보교환, 대기오염 저감 정책 소개, 대기질과 예보 현황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 또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 박사와 프랑스 환경물리연구소(LGGE) **(***) 박사가 참여해 선진국의 대기오염대응 경험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대기오염 저감방안과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 ***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제시된 미세먼지저감 공동 연구 등이 동북아 환경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3국간의 연구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환경개선을 통한 동북아시아인의 삶의 질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574750
|
한중일 국립환경과학원장 회의…아시아 대기오염 논의
|
환경부
| 20,151,10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870
|
프랑스 환경물리연구소에서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가 열렸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
"clue_text":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국정과제인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11월 2일부터 5일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중국환경과학연구원(원장 ***)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원장 ** ****)와 함께 ‘제12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를 개최한다.",
"options": null,
"text": "No"
}
|
대한민국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기술’ 베트남에 이전한다
공단-베트남 기술혁신청 간 공동연구 추진개요
□ 목적 및 배경
❍ 베트남 현지 전문기관과 공동연구 수행으로, 우리나라 환경기술의 이전 및 민관 환경협력 활성화를 위한 자금 확보 토대 마련
- 공단 특허 기술인‘바이오가스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접목한『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기술 적용 타당성 연구』를 선정(국내 업체에게 연구 위탁)
- 베트남 기술혁신청과 MOU체결(5월) 및 현지 착수보고회 개최(6월)
❍ 공동연구 성과를 ADB, UNEP 등의 대외협력자금 확보와 연계
□ 역할분담
❍ 사업총괄 : 계약관리, MOU체결 및 사업관리(공단)
❍ 사업협조 : 기관 업무협의, 현지 사업진행 지원(공단)
❍ 사업지원 : 관련 기초자료 제공, 조사연구 지원((베)기술혁신청)
□ 공동 연구과제 주요내용
❍ 베트남 유해폐기물 에너지화 추진(정책, 기술)현황 조사
❍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현지 이전을 위한 기초계획 수립
❍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적용 범위 및 우선지역 선정
❍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이전의 기대효과 분석(연계사업 발굴 등)
|
181581
|
대한민국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기술’ 베트남에 이전한다
|
환경부
| 20,120,530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879
|
한국의 민관 환경협력 활성화를 위한 자금 확보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베트남 현지 전문기관과 공동연구를 추진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8,
"clue_text": "베트남 현지 전문기관과 공동연구 수행으로, 우리나라 환경기술의 이전 및 민관 환경협력 활성화를 위한 자금 확보 토대 마련",
"options": null,
"text": "Yes"
}
|
차량 충돌제어 등 21개 신기술 선정 - 인증 기술들은 기술 경쟁력 및 경제적 효과가 매우커서 수출 향상에 기대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국가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15년 제2회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로 21개 기술을 선정하고 2015. 8. 27.(르네상스 서울호텔) 인증서를 수여했다.
□ 신기술 인증은 국내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의 개발 기술을 신기술로 인증함으로써 기술의 상용화 촉진 및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 시장 진출과 구매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 이번에 인증된 21개 기술은 세 차례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이번 신기술들 중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수출향상에 이바지할 3개의 기술로는
○ 대원산업㈜가 개발한 “자동차 후방 충돌시 시트백 회전 제어장치 적용 기술”
○ 현대자동차㈜․엔브이에이치코리아㈜․도레이케미칼㈜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동차 실내 정숙성 향상을 위한 다층 섬유 소음진동(NVH) 부품 제조기술”
○ ㈜파로스백신의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이다.
|
157481
|
차량 충돌제어 등 21개 신기술 선정
|
산업통상자원부
| 20,150,82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38565
|
파로스 백신 업체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을 만들어서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인증서를 받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24,
"clue_text": "㈜파로스백신의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차량 충돌제어 등 21개 신기술 선정 - 인증 기술들은 기술 경쟁력 및 경제적 효과가 매우커서 수출 향상에 기대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국가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15년 제2회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로 21개 기술을 선정하고 2015. 8. 27.(르네상스 서울호텔) 인증서를 수여했다.
□ 신기술 인증은 국내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의 개발 기술을 신기술로 인증함으로써 기술의 상용화 촉진 및 제품의 신뢰성을 높여 시장 진출과 구매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 이번에 인증된 21개 기술은 세 차례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이번 신기술들 중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수출향상에 이바지할 3개의 기술로는
○ 대원산업㈜가 개발한 “자동차 후방 충돌시 시트백 회전 제어장치 적용 기술”
○ 현대자동차㈜․엔브이에이치코리아㈜․도레이케미칼㈜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동차 실내 정숙성 향상을 위한 다층 섬유 소음진동(NVH) 부품 제조기술”
○ ㈜파로스백신의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이다.
|
157481
|
차량 충돌제어 등 21개 신기술 선정
|
산업통상자원부
| 20,150,82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38566
|
산업통상자원부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을 만든 도레이케미칼 업체에게 인증서를 수여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24,
"clue_text": "㈜파로스백신의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백신 조성물 제조기술”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여름 휴가철 대비 오수처리시설 특별점검 실시
□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이하여 피서지 행락객 발생오수로 인한 수질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청결한 피서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계기관 특별점검이 실시된다.
□ 환경부는 7.18일부터 8월말까지 이용객이 급증하는 고속도로 휴게소와 산간계곡, 해수욕장 등 피서지의 숙박시설 및 음식점의 오수처리시설 운영실태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점검대상(6,600여개소) : 고속도로 휴게소 127개소, 농어촌 민박(펜션)․콘도, 가족호텔 등 숙박시설 5,300개소, 음식점 1,200개소
○ 금번 점검은 유역환경청 환경감시대가 고속도로 휴게소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피서지 주변 숙박시설 및 음식점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된다.
※ 고속도로 휴게소의 경우는 위반율이 높은 편(‘05년 6.6%)이므로 유역환경청(환경감시대)에서 직접 점검
○ 오수처리시설의 적정 설치․가동여부,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여부 등을 중점 점검하게 되며, 특히, 고의로 오수를 무단 배출하는 행위나 오수처리시설을 가동하지 않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고발, 과태로 부과 등 강력히 조치할 계획이다.
○ 아울러, 점검과정에서 운영기술 부족으로 시설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는 업소에 대해서는 환경관리공단,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및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하여 기술지원도 실시할 계획이다.
□ 환경부에서는 “전기료를 아끼기 위해 시설을 가동하지 않거나, 관심소홀로 내부청소를 하지 않아 방류수 수질기준이 초과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면서 발생오수의 적정 처리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여 줄것을 당부하였다.
○ 특히, 행락인파로 인해 일시적으로 오수발생량이 급증하게 되므로 사전에 오수처리시설에 대한 자체 점검․보수, 내부청소를 하는 등의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 참고적으로, 작년 여름 피서철의 경우 총 3,761개소를 점검, 166개소를 적발(위반율 4.4%)하여 무단방류 5개소는 고발,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159개소에 대해서는 개선명령 및 과태료 부과처분 한 바 있다.
|
147755
|
여름 휴가철 대비 오수처리시설 특별점검 실시
|
환경부
| 20,060,71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899
|
여름 휴가철 대비 오수처리시설 특별점검에 따르면 127개의 고속도로 휴게소가 점검대상이 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3,
"clue_text": "점검대상(6,600여개소) : 고속도로 휴게소 127개소, 농어촌 민박(펜션)․콘도, 가족호텔 등 숙박시설 5,300개소, 음식점 1,200개소",
"options": null,
"text": "Yes"
}
|
첨단 관제레이더 설치로 김포공항 안전강화 - 항공기 탐지 성능 개선으로 관제능력 향상 및 장애도 예방 -
ㅇ 국토해양부는 1996년 설치되어 노후된 김포국제공항의 관제레이더를 약 100억 원의 사업비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장비로 교체하여 2011년 8월 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 (관제레이더) 항공기의 위치, 고도, 속도, 편명과 기상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항공관제의 안전과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ㅇ 신 레이더는 각각의 항공기와 1:1로 대응되는 무선데이터망을 구성하여 탐지하는 첨단 모드-S 기술이 적용되어, 여러 대의 항공기가 근접해 비행하여도 이를 각각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고도탐지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켜 이를 기존의 100피트 간격에서 25피트 간격으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 (모드-S : Mode-Selective) 레이더와 각 항공기를 별도로 데이터통신망을 구성하여 항공기 위치 탐지 정밀도를 높이는 등의 성능 개선 기술
ㅇ 또한, 관제를 담당하는 공역의 각종 기상정보를 구름이나 강우의 강도에 따라 색상으로 관제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기상이 나쁜 항로에는 항공기가 운항을 회피하도록 도움을 주는 기능도 있다.
ㅇ 신레이더는 주장비와 예비장비로 구성되어 한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지속적인 레이더관제가 가능하며 충격전압 차단기등과 같은 낙뢰 보호장치도 크게 강화하여 장애발생 가능성을 낮추었다.
ㅇ 김포국제공항의 첨단 관제레이더 운영으로 수도권 주변 공역의 항공안전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레이더 장애발생을 예방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95068638
|
첨단 관제레이더 설치로 김포공항 안전강화
|
국토교통부
| 20,110,7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46910
|
김포국제공항은 1996년부터 첨단 장비로 교체된 관제레이더가 운영되고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1,
"clue_text": "국토해양부는 1996년 설치되어 노후된 김포국제공항의 관제레이더를 약 100억 원의 사업비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장비로 교체하여 2011년 8월 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options": null,
"text": "No"
}
|
창조경제를 위한 과학기술과 기업가정신의 축제
MIT Martin Trust Center 현황
□ 개요
○ (설립) 1990년 Edward B. Roberts 교수가 MIT 내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센터를 세움
○ (목적) MIT 학생들의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고 창업을 지원
○ (조직) 전담교수 3명, 센터직원 8명으로 구성
□ 센터 운영원칙 및 프로그램
○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 MIT Standard of Excellence and Rigor : 높은 수준의 조언, 카운셀링·교수지원
- Collaboration : 다른 MIT내 센터, labs 등과 긴밀히 협력
- Diversity : 사람들과 의견의 다양성
- Experimentation : 도전을 중시
- Mens et manus (mind and hand) : 마음과 손, 모든 지식이 실생활에 적용가능 할 때 그 지식이 참된 의미를 갖음
○ 기초과목(실습+이론), 기업가 정신, 특정산업에서의 기업가 정신, 기타 기업가 정신 선택 등 4가지 커리큘럼 운영
○ 그 외 MBA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Track, 경영진 관리자 및 지역 내 인재들을 위한 프로그램 등 운영
□ 기타 사항
○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 대회 등을 통해 매년 70만불 이상의 장학금 전달
|
1212671
|
2013 한미 과학기술학술대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3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595
|
MIT Martin Trust Center는 20여개의 Student club을 운영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41,
"clue_text":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options": null,
"text": "Yes"
}
|
창조경제를 위한 과학기술과 기업가정신의 축제
MIT Martin Trust Center 현황
□ 개요
○ (설립) 1990년 Edward B. Roberts 교수가 MIT 내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센터를 세움
○ (목적) MIT 학생들의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고 창업을 지원
○ (조직) 전담교수 3명, 센터직원 8명으로 구성
□ 센터 운영원칙 및 프로그램
○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 MIT Standard of Excellence and Rigor : 높은 수준의 조언, 카운셀링·교수지원
- Collaboration : 다른 MIT내 센터, labs 등과 긴밀히 협력
- Diversity : 사람들과 의견의 다양성
- Experimentation : 도전을 중시
- Mens et manus (mind and hand) : 마음과 손, 모든 지식이 실생활에 적용가능 할 때 그 지식이 참된 의미를 갖음
○ 기초과목(실습+이론), 기업가 정신, 특정산업에서의 기업가 정신, 기타 기업가 정신 선택 등 4가지 커리큘럼 운영
○ 그 외 MBA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Track, 경영진 관리자 및 지역 내 인재들을 위한 프로그램 등 운영
□ 기타 사항
○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 대회 등을 통해 매년 70만불 이상의 장학금 전달
|
1212671
|
2013 한미 과학기술학술대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3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596
|
5개의 Student club이 MIT Martin Trust Center에서 운영될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41,
"clue_text":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options": null,
"text": "No"
}
|
창조경제를 위한 과학기술과 기업가정신의 축제
MIT Martin Trust Center 현황
□ 개요
○ (설립) 1990년 Edward B. Roberts 교수가 MIT 내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센터를 세움
○ (목적) MIT 학생들의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고 창업을 지원
○ (조직) 전담교수 3명, 센터직원 8명으로 구성
□ 센터 운영원칙 및 프로그램
○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 MIT Standard of Excellence and Rigor : 높은 수준의 조언, 카운셀링·교수지원
- Collaboration : 다른 MIT내 센터, labs 등과 긴밀히 협력
- Diversity : 사람들과 의견의 다양성
- Experimentation : 도전을 중시
- Mens et manus (mind and hand) : 마음과 손, 모든 지식이 실생활에 적용가능 할 때 그 지식이 참된 의미를 갖음
○ 기초과목(실습+이론), 기업가 정신, 특정산업에서의 기업가 정신, 기타 기업가 정신 선택 등 4가지 커리큘럼 운영
○ 그 외 MBA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Track, 경영진 관리자 및 지역 내 인재들을 위한 프로그램 등 운영
□ 기타 사항
○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 대회 등을 통해 매년 70만불 이상의 장학금 전달
|
1212671
|
2013 한미 과학기술학술대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3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597
|
MIT Martin Trust Center는 5가지 원칙에 따라 운영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8,
"clue_text":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options": null,
"text": "Yes"
}
|
창조경제를 위한 과학기술과 기업가정신의 축제
MIT Martin Trust Center 현황
□ 개요
○ (설립) 1990년 Edward B. Roberts 교수가 MIT 내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센터를 세움
○ (목적) MIT 학생들의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고 창업을 지원
○ (조직) 전담교수 3명, 센터직원 8명으로 구성
□ 센터 운영원칙 및 프로그램
○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 MIT Standard of Excellence and Rigor : 높은 수준의 조언, 카운셀링·교수지원
- Collaboration : 다른 MIT내 센터, labs 등과 긴밀히 협력
- Diversity : 사람들과 의견의 다양성
- Experimentation : 도전을 중시
- Mens et manus (mind and hand) : 마음과 손, 모든 지식이 실생활에 적용가능 할 때 그 지식이 참된 의미를 갖음
○ 기초과목(실습+이론), 기업가 정신, 특정산업에서의 기업가 정신, 기타 기업가 정신 선택 등 4가지 커리큘럼 운영
○ 그 외 MBA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Track, 경영진 관리자 및 지역 내 인재들을 위한 프로그램 등 운영
□ 기타 사항
○ 20여개의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둔 student club 및 경진대회 운영
○ 대회 등을 통해 매년 70만불 이상의 장학금 전달
|
1212671
|
2013 한미 과학기술학술대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3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598
|
20여개의 규칙에 따라 MIT Martin Trust Center가 운영될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8,
"clue_text": "5가지 원칙에 따라 센터를 운영",
"options": null,
"text": "No"
}
|
천리안 위성 1호, 2년간 운영 연장한다 - 7년간(2011.4~2018.3) 정규 운영 후 첫 번째 임무연장(2018.4~2020.3) -
【해양 관측】
ㅇ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 해양관측 위성을 운영함으로써, 광역적으로 발생하는 해양 변화의 신속한 관측·탐지로 한반도 주변 해양 이상 현상에 조기 대응하고, 해양환경 정보를 국내외 유관기관*에 제공함으로써 해양 분야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적조, 저염수 등 해양오염 관측·예측 및 이동 모니터링을 통해 어장관리를 위한 필수정보를 제공하고 대규모 해양 재난·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하여 경제적 손실 경감에 기여했다.
* NASA(미국항공우주청), ESA(유럽우주청), 군,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환경과학원, 연구기관, 대학 등
【통신 중계】
ㅇ 순수 국산기술로 독자개발한 통신탑재체는 국내 공공통신방송서비스 및 위성통신 단말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제공하여, 국가재난비상통신서비스 및 재난재해위성방송서비스를 통한 효과적 재난대응 체계 확립, 한반도 연근해 지역의 기상 및 해양관측 데이터 전송체계 구축, 난시청지역 통신방송서비스 제공, 초고화질(UHD) 위성방송서비스 상용화 검증 등 국민생활 향상 및 위성통신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천리안 위성 1호가 정규 임무기간(7년)을 넘어 연장 운영됨에 따라 2년간의 연장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ㅇ 한편, 천리안 위성 1호의 뒤를 이을 후속 정지궤도 위성으로 기상관측용 천리안 위성 2A호와 해양·환경 관측용 천리안 위성 2B호가 개발되고 있으며, 천리안 위성 2A호는 빠르면 2018년 11월, 2B호는 2019년 하반기에 발사될 예정으로, 최종 발사 일정은 발사업체(아리안스페이스)와 협의하여 확정할 예정이다.
|
1376718
|
천리안 위성 1호, 2년간 운영 연장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80,31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05
|
천리안 위성 2A호는 빠르면 2018년 11월에 발사될 예정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726,
"clue_text": "한편, 천리안 위성 1호의 뒤를 이을 후속 정지궤도 위성으로 기상관측용 천리안 위성 2A호와 해양·환경 관측용 천리안 위성 2B호가 개발되고 있으며, 천리안 위성 2A호는 빠르면 2018년 11월, 2B호는 2019년 하반기에 발사될 예정으로, 최종 발사 일정은 발사업체(아리안스페이스)와 협의하여 확정할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오천(五川) 자전거길 105km, 11.10일 개통 - 안행부, 새재자전거길과 금강자전거길 연계 -
□ 국토종주 자전거길 전국 네트워크 시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새재와 금강을 연결하는 오천 자전거길(105km*)이 10일 개통됐다.
* 경유 지자체 : 괴산군 50km, 증평군 8km, 청원군 28km, 청주시 8km, 세종시 11km
○ 오천 자전거길은 남한강(수도권), 낙동강(영남권) 자전거길을 잇는 국토종주 자전거길의 허리인 새재자전거길과 금강자전거길(충청 호남권)을 잇는 구간이다. 이로써, 남한강(수도권), 새재·금강(충청·호남권), 낙동강(영남권)이 연계되는 전국적인 소통과 화합의 길이 열리게 됐다.
□ 새재자전거길 구간인 괴산에서 시작되어 증평, 청원, 청주, 세종시를 지나 금강자전거길로 연결되는 오천자전거길은 전 구간의 경사가 완만하여 일반인이 주행하기 적합하며 지방하천(쌍천, 달천, 성황천, 보강천, 미호천 5개 하천) 제방을 따라 조성되어 주변 경관이 아늑하고 수려한 것이 특징이다
○ 특히, 오천(五川) 자전거길이란 명칭은 이번에 조성된 구간이 충청북도 괴산군을 흐르는 쌍천, 달천, 성황천과 괴산군에서 증평군을 거쳐 청원군으로 흐르는 보강천, 그리고 청원군에서 청주시를 통과해 세종특별자치시로 흐르는 미호천 등 자전거길이 지나는 5개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
30072
|
오천(五川) 자전거길 105km, 11.10일 개통
|
안전행정부
| 20,131,111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17
|
오천 자전거길이란 명칭은 자전거길이 지나는 5개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12,
"clue_text": "특히, 오천(五川) 자전거길이란 명칭은 이번에 조성된 구간이 충청북도 괴산군을 흐르는 쌍천, 달천, 성황천과 괴산군에서 증평군을 거쳐 청원군으로 흐르는 보강천, 그리고 청원군에서 청주시를 통과해 세종특별자치시로 흐르는 미호천 등 자전거길이 지나는 5개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options": null,
"text": "Yes"
}
|
오천(五川) 자전거길 105km, 11.10일 개통 - 안행부, 새재자전거길과 금강자전거길 연계 -
□ 국토종주 자전거길 전국 네트워크 시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새재와 금강을 연결하는 오천 자전거길(105km*)이 10일 개통됐다.
* 경유 지자체 : 괴산군 50km, 증평군 8km, 청원군 28km, 청주시 8km, 세종시 11km
○ 오천 자전거길은 남한강(수도권), 낙동강(영남권) 자전거길을 잇는 국토종주 자전거길의 허리인 새재자전거길과 금강자전거길(충청 호남권)을 잇는 구간이다. 이로써, 남한강(수도권), 새재·금강(충청·호남권), 낙동강(영남권)이 연계되는 전국적인 소통과 화합의 길이 열리게 됐다.
□ 새재자전거길 구간인 괴산에서 시작되어 증평, 청원, 청주, 세종시를 지나 금강자전거길로 연결되는 오천자전거길은 전 구간의 경사가 완만하여 일반인이 주행하기 적합하며 지방하천(쌍천, 달천, 성황천, 보강천, 미호천 5개 하천) 제방을 따라 조성되어 주변 경관이 아늑하고 수려한 것이 특징이다
○ 특히, 오천(五川) 자전거길이란 명칭은 이번에 조성된 구간이 충청북도 괴산군을 흐르는 쌍천, 달천, 성황천과 괴산군에서 증평군을 거쳐 청원군으로 흐르는 보강천, 그리고 청원군에서 청주시를 통과해 세종특별자치시로 흐르는 미호천 등 자전거길이 지나는 5개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
30072
|
오천(五川) 자전거길 105km, 11.10일 개통
|
안전행정부
| 20,131,111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18
|
자전거길이 지나는 50km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오천 자전거길이란 명칭이 부여됐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12,
"clue_text": "특히, 오천(五川) 자전거길이란 명칭은 이번에 조성된 구간이 충청북도 괴산군을 흐르는 쌍천, 달천, 성황천과 괴산군에서 증평군을 거쳐 청원군으로 흐르는 보강천, 그리고 청원군에서 청주시를 통과해 세종특별자치시로 흐르는 미호천 등 자전거길이 지나는 5개 하천의 수려한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options": null,
"text": "No"
}
|
환경부, 36조원 중국 도시폐기물 시장 본격 진출
중국 건설부 환경협력 MOU체결 등 계획
Ⅰ. 개요
□ 일시 및 장소 : ‘12. 8.30(목)~9.1(토), 중국 북경, 산동성 제남
□ 대표단 : 환경부 기획조정실장(단장),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8개 환경기업 등
* (중국측 대표) 건설부 : 구보흥 차관, 산동성 : 쑨웨이 부성장
Ⅱ. 주요일정 및 행사내용
⑴ 한국 환경부-중국 건설부 폐기물협력 MOU 체결 및 고위급협력 회의 (8.30 오후, 북경)
◦ 한국 환경부 장관 및 중국 건설부 부장이 기 서명한 MOU 문서를 상호 교환
⑵ “제5차 산동성 녹색산업 국제박람회” 개막식 (8.31 오전, 제남)
◦ 개막식 축사, 18개 기업 20개 한국관 참여 등
⑶ “한․산동성 환경협력프로젝트 MOU 체결” (8.31 오전, 제남)
◦ 한중환경산업협력센터 및 중국재생자원공사 간 산동성 임기시 위험폐기물 처리센터 설립에 관한 MOU 체결 등
⑷ 한-산동성 환경산업 비즈니스 포럼 (8.31 오후, 제남)
◦ ‧산동성 환경산업협력 지원정책 발표, 12‧5규획에 따른 산동성환경정책 소개, 한국 우수 환경기술 발표(15개 분야), 산동성 환경프로젝트 발표 등
|
182507
|
환경부, 36조원 중국 도시폐기물 시장 본격 진출
|
환경부
| 20,120,830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18
|
중국 건설부 환경협력 MOU는 한국에서 진행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9,
"clue_text": "일시 및 장소 : ‘12. 8.30(목)~9.1(토), 중국 북경, 산동성 제남",
"options": null,
"text": "No"
}
|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대상 및 범위 확대
□ 정부는 4월 26일(토)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회의(21:00)’를 개최하고,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 대상 및 범위 를 협의했다.
○ 지난 4월 23일(수)에 개최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는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 대상을 △승선자, △승선자 가족, △구조 중 부상자, △동 사고와 연관성 있는 것으로 전문 의료진의 의학적 판단을 받아 단원고 학교장이 인정하는 재학생 및 교직원 등으로 의결했는데, 지자체와 유가족 등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 기존의 건강보험증상 동일세대 또는 직계존비속으로 한정한 승선자 가족의 범위에 배우자의 부모 및 형제 자매를 추가해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 단원고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해서도 당초 학교장 인정에서 학교장 확인으로 변경해 절차를 간소화한다.
- 또한, 기타 승선자와 주거 또는 생계를 같이하는 자 등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자(부모의 사정 등으로 이모나 고모 등 친인척과 거주하는 사례 등)를 추가해 치료지원이 꼭 필요한 현장의 요구를 수용했다.
○ 대상 질환은 사고와 연관성이 있는 질환 및 현장 구조활동 중에 발생한 부상 질환을 대상으로 하되 의료진의 판단을 우선 존중하고 신체적·정신적 질환을 모두 포함해 폭넓게 인정한다.
* 동 사고와 연관성이 명백하게 없는 경우는 제외
○ 이용 기관도 환자가 희망하는 모든 병의원에 약국을 추가하기로 했다.
* 지원 대상 질환을 진료한 의사의 외래처방에 따른 약제비에 한정
|
41962
|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대상 및 범위 확대
|
안전행정부
| 20,140,4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28
|
세월호 치료비 지원 대상 중 단원고 학생은 보건복지부 장관의 인정이 있어야 치료 지원을 받을 수 있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9,
"clue_text": "단원고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해서도 당초 학교장 인정에서 학교장 확인으로 변경해 절차를 간소화한다.",
"options": null,
"text": "No"
}
|
'수돗물 사랑마을' 50곳으로 확대, 발대식 가져
“맛있는 수돗물 레시피”행사 계획
1. 목적
▢ 일반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 대상 수돗물 음용 오프라인 이벤트 개최로 관심 유발 및 미디어 노출(신문, 방송, SNS)
2. 행사개요
▢ 행사명 : 대한민국 수돗물 다 모였다!
▢ 일시 : 2014년 8월 28일 (목) 11:00~13:00
▢ 장소 : 광화문 광장 앞(세종대왕 동상이 있는 곳)
▢ 대상 : 일반 시민 및 외국인 관광객
3. 행사내용
▢ 홍보 부스를 설치하고 특·광역시 병입 수돗물(서울, 부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한국수자원공사) 진열 및 배포
▢ 특·광역시 수돗물 브랜드 안내, 수돗물 맛있게 마시는 방법 소개
○ 얼음물, 레몬 수돗물, 녹차 3가지 방법 중 가장 맛있는 수돗물 마시는 방법 투표 및 맛있는 수돗물 레시피 아이디어 제안
○ 특·광역시 병입 수돗물 중 마셔보고 싶은 수돗물 시음
|
366170
|
‘수돗물 사랑마을’ 50곳으로 확대, 발대식 가져
|
환경부
| 20,14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25
|
맛있는 수돗물 레시피 행사는 2014년 8월 28일 오전 11시부터 진행될 예정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55,
"clue_text": "일시 : 2014년 8월 28일 (목) 11:00~13:00",
"options": null,
"text": "Yes"
}
|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대상 및 범위 확대
□ 정부는 4월 26일(토)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회의(21:00)’를 개최하고,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 대상 및 범위 를 협의했다.
○ 지난 4월 23일(수)에 개최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는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 대상을 △승선자, △승선자 가족, △구조 중 부상자, △동 사고와 연관성 있는 것으로 전문 의료진의 의학적 판단을 받아 단원고 학교장이 인정하는 재학생 및 교직원 등으로 의결했는데, 지자체와 유가족 등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 기존의 건강보험증상 동일세대 또는 직계존비속으로 한정한 승선자 가족의 범위에 배우자의 부모 및 형제 자매를 추가해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 단원고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해서도 당초 학교장 인정에서 학교장 확인으로 변경해 절차를 간소화한다.
- 또한, 기타 승선자와 주거 또는 생계를 같이하는 자 등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자(부모의 사정 등으로 이모나 고모 등 친인척과 거주하는 사례 등)를 추가해 치료지원이 꼭 필요한 현장의 요구를 수용했다.
○ 대상 질환은 사고와 연관성이 있는 질환 및 현장 구조활동 중에 발생한 부상 질환을 대상으로 하되 의료진의 판단을 우선 존중하고 신체적·정신적 질환을 모두 포함해 폭넓게 인정한다.
* 동 사고와 연관성이 명백하게 없는 경우는 제외
○ 이용 기관도 환자가 희망하는 모든 병의원에 약국을 추가하기로 했다.
* 지원 대상 질환을 진료한 의사의 외래처방에 따른 약제비에 한정
|
41962
|
세월호 부상자 등 치료비 지원대상 및 범위 확대
|
안전행정부
| 20,140,42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29
|
세월호 치료비 지원 대상자들은 희망하는 모든 병의원을 이용할 수 있고 추가로 약국도 이용이 가능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86,
"clue_text": "이용 기관도 환자가 희망하는 모든 병의원에 약국을 추가하기로 했다.",
"options": null,
"text": "Yes"
}
|
51개 부처․지자체, 첨단 공공서비스 촉진과 지능형 정부구현에 뜻을 모은다- 미래부-행자부, 올해 첫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이어서 행자부에서는 2017년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와, 정부 통합전산센터의 주요정책, 그리고 모바일 전자정부(전자결재, 바로톡) 활용 협조 등 3개 안건을 발표하였다.
o행자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해 △AI 기반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10대 사업 추진, △데이터 중심 정부 구현을 위한 관리체계 수립, △범정부 통합적 전자정부 성과관리 추진 등 “2017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o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 경기도의 지능형 세정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한 지방세 고지․납부가 가능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담 기능도 제공되는 서비스로 금년 상반기부터 경기도 내 31개 전 시․군에서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o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패턴 분석 정보를 창업자 등에 개방하여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금년 1분기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미래부 최재유 2차관은 “지능정보기술이 촉발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이제 ‘다가온 현실’이 되었다”고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의 파고를 넘어 다시 한 번 성공적인 지능 정보화를 이루어 내기 위해 정보화책임관을 포함한 공직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한편, 이날 회의장 앞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딥러닝 기반 음성인식 기술 등을 보유한 기업체의 서비스 시연 행사도 함께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지능정보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1326794
|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2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35
|
경기도는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 운영 현황을 발표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90,
"clue_text":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ptions": null,
"text": "Yes"
}
|
51개 부처․지자체, 첨단 공공서비스 촉진과 지능형 정부구현에 뜻을 모은다- 미래부-행자부, 올해 첫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이어서 행자부에서는 2017년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와, 정부 통합전산센터의 주요정책, 그리고 모바일 전자정부(전자결재, 바로톡) 활용 협조 등 3개 안건을 발표하였다.
o행자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해 △AI 기반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10대 사업 추진, △데이터 중심 정부 구현을 위한 관리체계 수립, △범정부 통합적 전자정부 성과관리 추진 등 “2017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o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 경기도의 지능형 세정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한 지방세 고지․납부가 가능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담 기능도 제공되는 서비스로 금년 상반기부터 경기도 내 31개 전 시․군에서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o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패턴 분석 정보를 창업자 등에 개방하여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금년 1분기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미래부 최재유 2차관은 “지능정보기술이 촉발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이제 ‘다가온 현실’이 되었다”고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의 파고를 넘어 다시 한 번 성공적인 지능 정보화를 이루어 내기 위해 정보화책임관을 포함한 공직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한편, 이날 회의장 앞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딥러닝 기반 음성인식 기술 등을 보유한 기업체의 서비스 시연 행사도 함께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지능정보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1326794
|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2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36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 운영 현황을 제주도가 발표했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90,
"clue_text":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ptions": null,
"text": "No"
}
|
상․하수도서비스 국제표준화 대응 WORKSHOP 개최 - ‘06.8.29(화) 14:00, 과천 정부종합청사 대강당 -
표준안(DIS) 개요
ㅇ 국가․지역 여건을 감안하여 총론과 원칙수준으로 표준화 문서 작성
- 전반적인 상하수도 서비스 향상을 위한 목표제시 및 이행을 위한 포괄적 방법론만을 명시하고 있으나,
- DIS의 서비스 구성요소 및 서비스 방법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한 국내실정을 고려한 수용여부 검토 필요
□ 표준 종류
○ ISO 24510 :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활동평가 및 향상 가이드라인
○ ISO 24511 : 하수도서비스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 ISO 24512 : 상수도서비스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 표준안 주요내용(상수도 기준)
○ 표준 목적 :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의·평가·물이용 관리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표준 범위
① 용어 정의
② 상수도 서비스 요소,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③ 상수도 서비스 적정평가를 위한 목표, 평가기준 제시
․특정 목표치 설정없는 포괄적·추상적 내용임
- 상수도 서비스 성과지표 제안
․평가목표 및 평가기준과 연계된 평가지표(국가별 자율적인 사항)
○ 표준화 제외사항
- 상수도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 방법
- 운영·관리 서비스 활동 방법론과 관리구조 규제
- 운영·관리활동을 포함한 서비스 규제
- 건물 내부 상수도시스템
|
149116
|
상·하수도서비스 국제표준화 대응 WORKSHOP 개최
|
환경부
| 20,06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33
|
표준안 중 ISO 24510은 소비자의 서비스 활동평가 가이드라인에 해당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47,
"clue_text": "ISO 24510 :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활동평가 및 향상 가이드라인",
"options": null,
"text": "Yes"
}
|
상․하수도서비스 국제표준화 대응 WORKSHOP 개최 - ‘06.8.29(화) 14:00, 과천 정부종합청사 대강당 -
표준안(DIS) 개요
ㅇ 국가․지역 여건을 감안하여 총론과 원칙수준으로 표준화 문서 작성
- 전반적인 상하수도 서비스 향상을 위한 목표제시 및 이행을 위한 포괄적 방법론만을 명시하고 있으나,
- DIS의 서비스 구성요소 및 서비스 방법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한 국내실정을 고려한 수용여부 검토 필요
□ 표준 종류
○ ISO 24510 :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활동평가 및 향상 가이드라인
○ ISO 24511 : 하수도서비스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 ISO 24512 : 상수도서비스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 표준안 주요내용(상수도 기준)
○ 표준 목적 :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의·평가·물이용 관리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표준 범위
① 용어 정의
② 상수도 서비스 요소,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③ 상수도 서비스 적정평가를 위한 목표, 평가기준 제시
․특정 목표치 설정없는 포괄적·추상적 내용임
- 상수도 서비스 성과지표 제안
․평가목표 및 평가기준과 연계된 평가지표(국가별 자율적인 사항)
○ 표준화 제외사항
- 상수도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 방법
- 운영·관리 서비스 활동 방법론과 관리구조 규제
- 운영·관리활동을 포함한 서비스 규제
- 건물 내부 상수도시스템
|
149116
|
상·하수도서비스 국제표준화 대응 WORKSHOP 개최
|
환경부
| 20,06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34
|
DIS 중 소비자의 서비스 활동평가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것은 ISO 24511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47,
"clue_text": "ISO 24510 :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활동평가 및 향상 가이드라인",
"options": null,
"text": "No"
}
|
51개 부처․지자체, 첨단 공공서비스 촉진과 지능형 정부구현에 뜻을 모은다- 미래부-행자부, 올해 첫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이어서 행자부에서는 2017년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와, 정부 통합전산센터의 주요정책, 그리고 모바일 전자정부(전자결재, 바로톡) 활용 협조 등 3개 안건을 발표하였다.
o행자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해 △AI 기반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10대 사업 추진, △데이터 중심 정부 구현을 위한 관리체계 수립, △범정부 통합적 전자정부 성과관리 추진 등 “2017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o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 경기도의 지능형 세정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한 지방세 고지․납부가 가능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담 기능도 제공되는 서비스로 금년 상반기부터 경기도 내 31개 전 시․군에서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o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패턴 분석 정보를 창업자 등에 개방하여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금년 1분기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미래부 최재유 2차관은 “지능정보기술이 촉발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이제 ‘다가온 현실’이 되었다”고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의 파고를 넘어 다시 한 번 성공적인 지능 정보화를 이루어 내기 위해 정보화책임관을 포함한 공직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한편, 이날 회의장 앞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딥러닝 기반 음성인식 기술 등을 보유한 기업체의 서비스 시연 행사도 함께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지능정보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1326794
|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2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39
|
정부통합전산센터는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의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36,
"clue_text":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51개 부처․지자체, 첨단 공공서비스 촉진과 지능형 정부구현에 뜻을 모은다- 미래부-행자부, 올해 첫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이어서 행자부에서는 2017년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와, 정부 통합전산센터의 주요정책, 그리고 모바일 전자정부(전자결재, 바로톡) 활용 협조 등 3개 안건을 발표하였다.
o행자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해 △AI 기반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10대 사업 추진, △데이터 중심 정부 구현을 위한 관리체계 수립, △범정부 통합적 전자정부 성과관리 추진 등 “2017년 전자정부 11대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o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와 제주도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한 ▲ 스마트 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서비스(경기도)와 ▲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제주도) 운영 현황을 발표하였다.
o 경기도의 지능형 세정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한 지방세 고지․납부가 가능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담 기능도 제공되는 서비스로 금년 상반기부터 경기도 내 31개 전 시․군에서 본격 활용될 예정이다.
o개방형 스마트 관광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패턴 분석 정보를 창업자 등에 개방하여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금년 1분기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미래부 최재유 2차관은 “지능정보기술이 촉발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이제 ‘다가온 현실’이 되었다”고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의 파고를 넘어 다시 한 번 성공적인 지능 정보화를 이루어 내기 위해 정보화책임관을 포함한 공직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한편, 이날 회의장 앞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딥러닝 기반 음성인식 기술 등을 보유한 기업체의 서비스 시연 행사도 함께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지능정보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1326794
|
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2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40
|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관광의 이용 활성화 정책이 정부통합전산센터에 의해 추진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36,
"clue_text":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인터넷망·업무망 연계서비스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조치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 보안위협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http://insight.go.kr)”의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유엔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참가자 모집
『 유엔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 개요
□ 세부내용
○ 의제선정
- 생물분류별로 7개 토픽으로 나눠 세부적인 학습
①식물류 ②곤충/거미류 ③양서류 ④파충류 ⑤포유류 ⑥어류 ⑦조류
- 생물분류별로 당사국총회(CBD COP12) 의제와 연관된 생물다양성 관련 문제점을 찾아 자문교수와 함께하는 워크숍 등을 통해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의제선정
○ 운영방안
- 조직위원회 및 자문위원회 구성을 통한 준비기획 및 운영
- 오리엔테이션 및 토픽 별 워크샵을 통한 충분한 사전교육
- 그룹별 비공식 토론
- ‘생물다양성 골든벨’ 진행
- 공식총회를 통한 실질적 액션플랜/솔루션 도출
□ 기대효과
○ 초등, 중등, 고등, 대학생이 모두 참여하는 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진정한 청소년의 눈으로 보는 생물다양성이라는 새로운 시각 제공
○ 기존의 총회처럼 국가의 대표들이 논의를 나누는 것이 아닌 7개의 생물분류를 대표하는 청소년 대표단을 선출하여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보다 창의적인 결론 도출
○ 전문가와 함께하는 학습 및 토론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태계의 연결고리와 지구 동식물을 어떤 이유로 보호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실질적 교육 진행
|
371700
|
[참고자료]유엔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참가자 모집
|
환경부
| 20,140,90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49
|
유엔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는 초등, 중등, 고등, 대학생 모두 참가할 수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50,
"clue_text": "초등, 중등, 고등, 대학생이 모두 참여하는 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진정한 청소년의 눈으로 보는 생물다양성이라는 새로운 시각 제공",
"options": null,
"text": "Yes"
}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감염병 분류>
○ 국민과 의료인들이 각 감염병의 심각도, 전파력 등에 근거하여 신고시기, 격리수준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군별 분류체계(1군~5군, 지정감염병)에서 급별 분류체계(1급~4급)로 개편하였다.
* (예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은 치명률이 높고 음압격리가 필요하므로 1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즉시 신고하여야 하나, B형·C형간염, 쯔쯔가무시증 등의 경우 격리는 불필요하나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24시간 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3급감염병으로 분류
○ 또한, 기존 감염병 외에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을 새롭게 추가하여 제4급감염병(표본감시) 및 예방접종 대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지속감염시 자궁경부암
<신고 시기>
○ 감염병 신고 시기 관련, 1급감염병은 ‘즉시’, 2급 및 3급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 감염병 환자 등의 진단, 감염병 사체 검안 등을 통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신고하면 된다.
○ 기존 법률이 1군 내지 4군감염병에 대하여 ‘지체없이’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기준의 모호성으로 인해 일선 현장에서 어려움이 있었던 측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52048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
보건복지부
| 20,191,22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사회복지"
}
|
20220422145720
| 5 |
5738651
|
메르스와 에볼라바이러스병은 치사율이 높은 1급 감염병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65,
"clue_text": "(예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은 치명률이 높고 음압격리가 필요하므로 1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즉시 신고하여야 하나, B형·C형간염, 쯔쯔가무시증 등의 경우 격리는 불필요하나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24시간 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3급감염병으로 분류",
"options": null,
"text": "Yes"
}
|
국립생물자원관,『지리산 곤충전』개최
□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지리산에 자생하는 곤충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지리산 곤충전」을 2008년 3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들 표본들은 경상대학교 생물학과 박중석 명예교수가 지난 30여년간 지리산 일대에서 수집한 곤충들로서 학술적인 가치가 높은 표본들이다.
□ 이번 기획전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보다 다양한 곤충 2,658종이 서식하고 있는 지리산의 대표적인 곤충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서,
○ 제1주제 「자연의 어머니-지리산」에서는 지리산의 자연경관, 자연생태계와그 속에 사는 곤충들이 소개되며,
- 특히, ‘지리’라는 이름이 붙은 ‘지리산말매미충’, ‘지리우리딱정벌레’ 등 8종을 포함하여 완전탈바꿈 및 불완전탈바꿈을 하는 지리산 곤충들을 만날 수 있다.
○ 제2주제 「곤충, 그들만의 지혜로운 삶」에서는 방어능력을 가진 곤충, 남을 흉내 내는 곤충, 자연의 재생을 도와주는 곤충 등 생태적인 특징에 따라 표본들을 소개하며,
-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곤충인 ‘쥐벼룩’과 ‘이’의 현미경 체험 공간을 마련하였다.
○ 제3주제 「장수이름을 가진 곤충」에서는 우리나라 곤충 중에서 가장 몸집이 큰 장수하늘소 암ᆞ수 한 쌍을 볼 수 있으며,
- ‘장수’, ‘장군’이라는 이름을 가진 곤충 표본을 전시하여 이들 종의 보전필요성을 홍보하고 관람객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작 중 지리산을 주제로 한 사진들과 관람객들이 지리산의 맑은 공기를 체험할 수 있는 지리산 공기체험관을 함께 운영한다.
□ 또한, 초등학교 어린이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물속 곤충은 누구?’, ‘아름다운 지리산곤충’ 등 교육프로그램 4종류가 4월부터 개설되며,
- 교육프로그램 참여 신청은 3월 15일부터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www.nibr.go.kr)를 통해서 할 수 있다.
|
162665
|
국립생물자원관,『지리산 곤충전』개최
|
환경부
| 20,080,3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6957
|
지리산에 자생하는 곤충을 알리기 위해 마련한 지리산 곤충전은 2008년 3월 13일부터 시작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
"clue_text":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지리산에 자생하는 곤충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지리산 곤충전」을 2008년 3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options": null,
"text": "Yes"
}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감염병 분류>
○ 국민과 의료인들이 각 감염병의 심각도, 전파력 등에 근거하여 신고시기, 격리수준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군별 분류체계(1군~5군, 지정감염병)에서 급별 분류체계(1급~4급)로 개편하였다.
* (예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은 치명률이 높고 음압격리가 필요하므로 1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즉시 신고하여야 하나, B형·C형간염, 쯔쯔가무시증 등의 경우 격리는 불필요하나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24시간 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3급감염병으로 분류
○ 또한, 기존 감염병 외에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을 새롭게 추가하여 제4급감염병(표본감시) 및 예방접종 대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지속감염시 자궁경부암
<신고 시기>
○ 감염병 신고 시기 관련, 1급감염병은 ‘즉시’, 2급 및 3급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 감염병 환자 등의 진단, 감염병 사체 검안 등을 통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신고하면 된다.
○ 기존 법률이 1군 내지 4군감염병에 대하여 ‘지체없이’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기준의 모호성으로 인해 일선 현장에서 어려움이 있었던 측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52048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
보건복지부
| 20,191,22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사회복지"
}
|
20220422145720
| 5 |
5738659
|
한국에서 1급 감염병은 즉시 신고해야 하며 2급이나 3급 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되어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40,
"clue_text": "감염병 신고 시기 관련, 1급감염병은 ‘즉시’, 2급 및 3급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options": null,
"text": "Yes"
}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감염병 분류>
○ 국민과 의료인들이 각 감염병의 심각도, 전파력 등에 근거하여 신고시기, 격리수준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군별 분류체계(1군~5군, 지정감염병)에서 급별 분류체계(1급~4급)로 개편하였다.
* (예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병 등은 치명률이 높고 음압격리가 필요하므로 1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즉시 신고하여야 하나, B형·C형간염, 쯔쯔가무시증 등의 경우 격리는 불필요하나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24시간 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3급감염병으로 분류
○ 또한, 기존 감염병 외에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을 새롭게 추가하여 제4급감염병(표본감시) 및 예방접종 대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지속감염시 자궁경부암
<신고 시기>
○ 감염병 신고 시기 관련, 1급감염병은 ‘즉시’, 2급 및 3급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 감염병 환자 등의 진단, 감염병 사체 검안 등을 통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신고하면 된다.
○ 기존 법률이 1군 내지 4군감염병에 대하여 ‘지체없이’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기준의 모호성으로 인해 일선 현장에서 어려움이 있었던 측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52048
|
감염병 위기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감염병 체계를 바꿉니다!
|
보건복지부
| 20,191,22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사회복지"
}
|
20220422145720
| 5 |
5738660
|
한국에서 2급 또는 3급 감염병은 즉시 신고해야 하며 1급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규정되어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40,
"clue_text": "감염병 신고 시기 관련, 1급감염병은 ‘즉시’, 2급 및 3급감염병은 ‘24시간 이내’로 신고하도록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options": null,
"text": "No"
}
|
바다 위 탄소중립, 한국형 친환경선박(그린쉽-K) 개발 착수 - 「친환경선박전주기혁신기술개발사업」 예타 통과(2022~2031, 총 2,540억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친환경선박 전주기혁신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IMO 환경규제 강화 등에 따른 조선·해운산업의 친환경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사업으로 2022년부터 2031년까지 10년간 총 2,540억원을 투입하여 추진한다.
□ 친환경추진선박은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연료를 활용하는 저탄소·무탄소 선박 및 전기‧하이브리드 선박 등 차세대 추진시스템을 갖춘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을 의미한다.
ㅇ 이번 사업은 이러한 친환경선박의 추진시스템개발과 실증과정 및 법제도, 표준화 과정을 연계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 친환경선박 기술 선점 및 글로벌 신시장에서의 초격차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
164294
|
(참고자료)바다 위 탄소중립, 한국형 친환경선박(그린쉽-K) 개발 착수
|
산업통상자원부
| 20,210,6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국토관리"
}
|
20220422145720
| 5 |
5738661
|
친환경추진선박은 친환경연료를 활용하는 선박 및 차세대 추진시스템을 갖춘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이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81,
"clue_text": "친환경추진선박은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연료를 활용하는 저탄소·무탄소 선박 및 전기‧하이브리드 선박 등 차세대 추진시스템을 갖춘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을 의미한다.",
"options": null,
"text": "Yes"
}
|
세계적인 리더 제주도에 모여 사람과 자연의 미래 찾기 위한 대담 펼친다
□ 올해 포럼은 환경부,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보전연맹이 공동으로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며 크리스토퍼 브릭스(Christopher Briggs) 람사르협약 사무총장, 이보 드 보어(Yvo de Bo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 *** 국립생태원장 등 국내․외 저명인사와 전문가 43명이 참석한다.
○ 포럼은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에서 처음 도입되어 호평을 받은 ‘세계리더스대화’를 확대․발전시킨 것이다.
○ 공식 개회식 하루 전인 7일에는 ‘리더스대화’의 세부적인 대담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세션’이 열린다.
○ 전문가세션에서는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물자원관,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 한국위원회 등의 국내 전문가들이 세계자연보전연맹 등의 국제전문가들과 토론을 펼친다.
|
536650
|
세계적인 리더 제주도에 모여 사람과 자연의 미래 찾기 위한 대담 펼친다
|
환경부
| 20,150,7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439
|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포럼이 개최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2,
"clue_text": "올해 포럼은 환경부,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보전연맹이 공동으로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며 크리스토퍼 브릭스(Christopher Briggs) 람사르협약 사무총장, 이보 드 보어(Yvo de Bo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 *** 국립생태원장 등 국내․외 저명인사와 전문가 43명이 참석한다.",
"options": null,
"text": "Yes"
}
|
세계적인 리더 제주도에 모여 사람과 자연의 미래 찾기 위한 대담 펼친다
□ 올해 포럼은 환경부,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보전연맹이 공동으로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며 크리스토퍼 브릭스(Christopher Briggs) 람사르협약 사무총장, 이보 드 보어(Yvo de Bo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 *** 국립생태원장 등 국내․외 저명인사와 전문가 43명이 참석한다.
○ 포럼은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에서 처음 도입되어 호평을 받은 ‘세계리더스대화’를 확대․발전시킨 것이다.
○ 공식 개회식 하루 전인 7일에는 ‘리더스대화’의 세부적인 대담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세션’이 열린다.
○ 전문가세션에서는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물자원관,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 한국위원회 등의 국내 전문가들이 세계자연보전연맹 등의 국제전문가들과 토론을 펼친다.
|
536650
|
세계적인 리더 제주도에 모여 사람과 자연의 미래 찾기 위한 대담 펼친다
|
환경부
| 20,150,70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440
|
세계자연보전총회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거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2,
"clue_text": "올해 포럼은 환경부,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보전연맹이 공동으로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며 크리스토퍼 브릭스(Christopher Briggs) 람사르협약 사무총장, 이보 드 보어(Yvo de Bo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 *** 국립생태원장 등 국내․외 저명인사와 전문가 43명이 참석한다.",
"options": null,
"text": "No"
}
|
국내 유일한 자연하구인 한강하구 보호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
□ 또한 본 연구는 현재 50여개의 하구관련법에 하구에 대한 정의조차 부재하며, 매체/기능별로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해 통합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현 하구관리체제의 문제를 지적하고 하구관리의 통합성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하구관리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체제개발을 제안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관련법에 ‘하구’를 정의하여 하구를 하나의 관리단위로 하는 근거 확보: 수질환경보전법, 자연환경보전법 또는 해양오염방지법(해양생태계보전및관리에관한법률)에 하구(河口) 및 하구역(河口域) 정의
◦ 한강하구관리의 정책적 통합성 확보를 한강하구관리종합계획의 수립: 환경, 농업, 토지교통, 해양수산 등 한강하구 보전 및 이용/개발의 통합성을 확보하고 실효성 있는 하구보전대책의 추진을 위해 범부처 합동으로 한강하구관리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 한강하구프로그램개발: 미국의 하구프로그램, 영국의 하구파트너쉽프로그램, 캐나다의 프레이져하구프로그램과 같이 하구관리계획의 수립 및 평가, 하구 보전/이용에 대한 현안 협의, 이해상충사업에 대한 공동사업 추진, 하구 조사․연구․교육 및 홍보 등을 담당하는 협의기구 구성 및 운영
◦ (한강)하구관리법 제정: 하구관리를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하구관리법(가칭)’을 제정하되 전체하구에 대한 법 제정이 어려울 경우 한강하구에 대한 제정 우선 추진. 하구관리법은 총칙, 관리대상 하구의 지정 및 관리, 하구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하구관리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하구관리사업 자원을 위한 법제 및 재정상의 조치 등을 포함
|
145421
|
국내 유일한 자연하구인 한강하구 보호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
|
환경부
| 20,060,41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800553
|
매체별로 분화되어 있다는 게 하구관리체체의 문제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8,
"clue_text": "또한 본 연구는 현재 50여개의 하구관련법에 하구에 대한 정의조차 부재하며, 매체/기능별로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해 통합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현 하구관리체제의 문제를 지적하고 하구관리의 통합성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하구관리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체제개발을 제안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options": null,
"text": "Yes"
}
|
국내 유일한 자연하구인 한강하구 보호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
□ 또한 본 연구는 현재 50여개의 하구관련법에 하구에 대한 정의조차 부재하며, 매체/기능별로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해 통합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현 하구관리체제의 문제를 지적하고 하구관리의 통합성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하구관리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체제개발을 제안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관련법에 ‘하구’를 정의하여 하구를 하나의 관리단위로 하는 근거 확보: 수질환경보전법, 자연환경보전법 또는 해양오염방지법(해양생태계보전및관리에관한법률)에 하구(河口) 및 하구역(河口域) 정의
◦ 한강하구관리의 정책적 통합성 확보를 한강하구관리종합계획의 수립: 환경, 농업, 토지교통, 해양수산 등 한강하구 보전 및 이용/개발의 통합성을 확보하고 실효성 있는 하구보전대책의 추진을 위해 범부처 합동으로 한강하구관리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 한강하구프로그램개발: 미국의 하구프로그램, 영국의 하구파트너쉽프로그램, 캐나다의 프레이져하구프로그램과 같이 하구관리계획의 수립 및 평가, 하구 보전/이용에 대한 현안 협의, 이해상충사업에 대한 공동사업 추진, 하구 조사․연구․교육 및 홍보 등을 담당하는 협의기구 구성 및 운영
◦ (한강)하구관리법 제정: 하구관리를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하구관리법(가칭)’을 제정하되 전체하구에 대한 법 제정이 어려울 경우 한강하구에 대한 제정 우선 추진. 하구관리법은 총칙, 관리대상 하구의 지정 및 관리, 하구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하구관리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하구관리사업 자원을 위한 법제 및 재정상의 조치 등을 포함
|
145421
|
국내 유일한 자연하구인 한강하구 보호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
|
환경부
| 20,060,417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800554
|
하구관리체제는 일원화되어 통합성이 보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8,
"clue_text": "또한 본 연구는 현재 50여개의 하구관련법에 하구에 대한 정의조차 부재하며, 매체/기능별로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해 통합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현 하구관리체제의 문제를 지적하고 하구관리의 통합성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하구관리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체제개발을 제안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options": null,
"text": "No"
}
|
월악산 방사 산양 ‘첫 새끼 출산 확인’- 월악산 방사 산양 연이어 새끼출산 확인 -
□ 이번에 확인된 새끼 2개체는 더욱 정확한 행동특성 연구를 위해 발신기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재방사를 실시하였고,
○ 월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에 대해서는 털, 배설물 등을 이용한 유전자분석을 통해 정확한 근연관계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 금번 출산된 새끼 출산의 확인으로 “월악산에서 방사된 산양이 새끼를 낳아 활동하는 것으로 보아 월악산이 산양의 안정적인 서식지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멸종위기종 복원센터 산양복원팀장은 전했다.
|
171640
|
월악산 방사 산양 ‘첫 새끼 출산 확인’
|
환경부
| 20,091,230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449
|
월악산에서 새끼 산양 2마리가 발견되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0,
"clue_text": "이번에 확인된 새끼 2개체는 더욱 정확한 행동특성 연구를 위해 발신기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재방사를 실시하였고,\n○ 월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에 대해서는 털, 배설물 등을 이용한 유전자분석을 통해 정확한 근연관계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월악산 방사 산양 ‘첫 새끼 출산 확인’- 월악산 방사 산양 연이어 새끼출산 확인 -
□ 이번에 확인된 새끼 2개체는 더욱 정확한 행동특성 연구를 위해 발신기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재방사를 실시하였고,
○ 월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에 대해서는 털, 배설물 등을 이용한 유전자분석을 통해 정확한 근연관계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 금번 출산된 새끼 출산의 확인으로 “월악산에서 방사된 산양이 새끼를 낳아 활동하는 것으로 보아 월악산이 산양의 안정적인 서식지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멸종위기종 복원센터 산양복원팀장은 전했다.
|
171640
|
월악산 방사 산양 ‘첫 새끼 출산 확인’
|
환경부
| 20,091,230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450
|
월악산에 있는 산양 새끼들은 정확한 행동특성 연구를 위해 멸종위기종 복원센터로 옮겨졌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0,
"clue_text": "이번에 확인된 새끼 2개체는 더욱 정확한 행동특성 연구를 위해 발신기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재방사를 실시하였고,\n○ 월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에 대해서는 털, 배설물 등을 이용한 유전자분석을 통해 정확한 근연관계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5장 지진대응을 위한 분야별 기술적 고려사항
제2절 교통 및 도시기반시설의 지진대응 방향
2. 도시기반시설(상하수도)에 대한 지진 대응 대책
2) 라이프라인 시설의 내진대책
라이프라인 시설은 시민의 일상생활과 도시 활동을 뒷받침하는 불가결의 것이다. 지진에 의한 라이프 라인에 지장이 생기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구호와 복구에 큰 장애가 되므로 각 라이프 라인 시설이 지진 시에도 충분히 기능하고 시민 생활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내진대책을 도모하여야 한다. 상수도, 하수도, 전기, 가스, 전화, 공동구 등의 라이프라인 시설은 풍부한 시민 생활과 고도로 집적된 대도시 기능을 지탱하는 중요한 도시 기반이다. 일본 한신, 토호쿠 대지진에서는 이들 라이프 라인이 각지에서 끊어지면서 기능을 중단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시민의 생활이 어렵게 된 것 외에, 구호와 복구 활동에도 큰 차질이 생겼다. 이 때문에 지진시의 기능 유지와 조기 복구를 목표로 각 라이프라인 시설의 특성에 따라서 기간시설이나 관로 등의 내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다중성·대체성이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시구역 공급 단위의 적정한 블록화에 노력해야 한다. 또 주요한 방재 활동 거점에 대한 상수도, 하수도 등의 라이프 라인에 대해서도 그 중요성을 고려하고 신뢰성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
36010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경기도
| 20,171,22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71
|
지진으로 인해 라이프 라인에 지장이 생기면 일상 생활이 어려워지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64,
"clue_text": "지진에 의한 라이프 라인에 지장이 생기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구호와 복구에 큰 장애가 되므로 각 라이프 라인 시설이 지진 시에도 충분히 기능하고 시민 생활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내진대책을 도모하여야 한다.",
"options": null,
"text": "Yes"
}
|
농식품부 장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마을 등 현장방문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 현장 방문 계획안
개요
❍ 목적 및 취지
- 농촌고령자를 대상으로 관계기관·민관 협업을 통해 식생활교육, 운동프로그램 및 식사를 제공하는 시범사업 현장 점검 및 의견청취
❍ 일시 : ‘15. 11. 21(토) 11:10~13:00(약 2시간)
❍ 장소 : 경기 양평군 양서면 양수1리(골용진)
<양수1리 골용진>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
(마을유래) 마을 앞 용늪에 못된 이무기가 돌이 되어 물 속에 잠겨 있다는 전설로 ‘골용진’이라 불리우게 됨. 예로부터 극심한 가뭄 때에는 양평군, 광주시, 남양주시 3개 시군이 합동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함
❍ 참석 : 마을 시범사업 대상자, 마을주민, 시범사업 관련 기관.협회 관계자, 양평군내 관계자 등 80여명
❍ 현장방문 주요 일정(내용)
① 농촌 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관련 관계자 간담회
- 마을소개, 사업경과 보고, 정책(사업) 개선방향 및 관계자 의견수렴 등
② 마을 주민과 함께하는 ‘마을 김장담그기’ 행사 참석
③ 시범사업 대상자, 마을주민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
④ 마을 건강 및 발전기원 기념 식수
- 마을주민, 간담회 참석자와 함께하는 기념식수 진행
* (주요 동선) 사업 관련 관계자 간담회(40분) → 김장 담그기 행사 참여(20분) → 마을 고령자(사업대상자) 오찬 감담(40분) → 기념식수 및 기념촬영(10
|
312873
|
농식품부 장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마을 등 현장방문
|
농림축산식품부
| 20,151,12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식품건강"
}
|
20220422145720
| 5 |
5747459
|
양수1리 골용진은 농촌고령자 식생활 개선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하고 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6,
"clue_text": "<양수1리 골용진>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
"options": null,
"text": "Yes"
}
|
농식품부 장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마을 등 현장방문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 현장 방문 계획안
개요
❍ 목적 및 취지
- 농촌고령자를 대상으로 관계기관·민관 협업을 통해 식생활교육, 운동프로그램 및 식사를 제공하는 시범사업 현장 점검 및 의견청취
❍ 일시 : ‘15. 11. 21(토) 11:10~13:00(약 2시간)
❍ 장소 : 경기 양평군 양서면 양수1리(골용진)
<양수1리 골용진>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
(마을유래) 마을 앞 용늪에 못된 이무기가 돌이 되어 물 속에 잠겨 있다는 전설로 ‘골용진’이라 불리우게 됨. 예로부터 극심한 가뭄 때에는 양평군, 광주시, 남양주시 3개 시군이 합동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함
❍ 참석 : 마을 시범사업 대상자, 마을주민, 시범사업 관련 기관.협회 관계자, 양평군내 관계자 등 80여명
❍ 현장방문 주요 일정(내용)
① 농촌 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관련 관계자 간담회
- 마을소개, 사업경과 보고, 정책(사업) 개선방향 및 관계자 의견수렴 등
② 마을 주민과 함께하는 ‘마을 김장담그기’ 행사 참석
③ 시범사업 대상자, 마을주민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
④ 마을 건강 및 발전기원 기념 식수
- 마을주민, 간담회 참석자와 함께하는 기념식수 진행
* (주요 동선) 사업 관련 관계자 간담회(40분) → 김장 담그기 행사 참여(20분) → 마을 고령자(사업대상자) 오찬 감담(40분) → 기념식수 및 기념촬영(10
|
312873
|
농식품부 장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시범사업」마을 등 현장방문
|
농림축산식품부
| 20,151,12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식품건강"
}
|
20220422145720
| 5 |
5747460
|
농촌고령자 개선 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가하고 있는 곳은 남양주시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26,
"clue_text": "<양수1리 골용진>은 농촌고령자 식생활·건강개선 사업에 3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
"options": null,
"text": "No"
}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기술창업에 도전한 청년을 격려하고 전폭적 지원 약속
-‘한국형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아이코어)’선발창업팀 발대식, 실험실 창업기업 등 방문 -
1 ‘한국형 아이코어’ 발대식 (부트캠프)
□ 먼저, 임혜숙 장관은 2021년 ’한국형 아이코어(I-Corps)’ 발대식에 참석하여 최종 선발된 137개 대학 청년 창업팀의 새로운 도전을 격려하였다.
□ ‘한국형 아이코어’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아이코어 방법론‘을 활용, 청년 실험실 창업팀이 국내·외 잠재고객 인터뷰를 통해 실험실 기술을 고객과 시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창업 및 시장탐색교육 프로그램이다.
ㅇ 지난 5년간(2016~2020) 이 프로그램을 통해 319개 팀을 지원하여 그 중 159개 팀(49.8%)이 창업기업을 설립하였고, 856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고(기업당 평균 5.4명) 715억 원의 후속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 이번 발대식을 시작으로 137개 청년 창업팀은 8개월간 창업 교육에 돌입하게 되며,
ㅇ 전문가 멘토링을 바탕으로 국내·외 수요자로 부터 창업아이템의 타당성을 검증받아 아이템을 수정(pivoting)하고 시제품까지 제작하는 체계적인 창업보육이 진행된다.
|
3180378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기술창업에 도전한 청년을 격려하고 전폭적 지원 약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10,61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93
|
한국형 아이코어 발대식을 시작으로 137개 창업팀이8개월간 교육에 돌입한 거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86,
"clue_text": "이번 발대식을 시작으로 137개 청년 창업팀은 8개월간 창업 교육에 돌입하게 되며,\nㅇ 전문가 멘토링을 바탕으로 국내·외 수요자로 부터 창업아이템의 타당성을 검증받아 아이템을 수정(pivoting)하고 시제품까지 제작하는 체계적인 창업보육이 진행된다.",
"options": null,
"text": "Yes"
}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기술창업에 도전한 청년을 격려하고 전폭적 지원 약속
-‘한국형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아이코어)’선발창업팀 발대식, 실험실 창업기업 등 방문 -
1 ‘한국형 아이코어’ 발대식 (부트캠프)
□ 먼저, 임혜숙 장관은 2021년 ’한국형 아이코어(I-Corps)’ 발대식에 참석하여 최종 선발된 137개 대학 청년 창업팀의 새로운 도전을 격려하였다.
□ ‘한국형 아이코어’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아이코어 방법론‘을 활용, 청년 실험실 창업팀이 국내·외 잠재고객 인터뷰를 통해 실험실 기술을 고객과 시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창업 및 시장탐색교육 프로그램이다.
ㅇ 지난 5년간(2016~2020) 이 프로그램을 통해 319개 팀을 지원하여 그 중 159개 팀(49.8%)이 창업기업을 설립하였고, 856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고(기업당 평균 5.4명) 715억 원의 후속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 이번 발대식을 시작으로 137개 청년 창업팀은 8개월간 창업 교육에 돌입하게 되며,
ㅇ 전문가 멘토링을 바탕으로 국내·외 수요자로 부터 창업아이템의 타당성을 검증받아 아이템을 수정(pivoting)하고 시제품까지 제작하는 체계적인 창업보육이 진행된다.
|
3180378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기술창업에 도전한 청년을 격려하고 전폭적 지원 약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10,61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694
|
159개 창업팀이 한국형 아이코어 발대식을 끝으로 교육을 8개월간 받았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86,
"clue_text": "이번 발대식을 시작으로 137개 청년 창업팀은 8개월간 창업 교육에 돌입하게 되며,\nㅇ 전문가 멘토링을 바탕으로 국내·외 수요자로 부터 창업아이템의 타당성을 검증받아 아이템을 수정(pivoting)하고 시제품까지 제작하는 체계적인 창업보육이 진행된다.",
"options": null,
"text": "No"
}
|
남을 위해 평생을 바친‘얼굴없는 천사들’ - 2016 대한민국 자원봉사대상 시상식 개최 -
□ 대통령표창을 받는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김광철 교수(61)는 18년간 장애인을 위한 무료 치과진료 활동을 했고, 대한장애인치과학회 학회장으로 장애인구강보건 발전을 위한 학문적 기반을 마련했다.
○ 부산광역시의 손빛회는 16명의 회원이 30년간 시각장애인을 위해 점자도서와 음성도서 2,000여권을 제작한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 취약계층을 위해 세탁봉사단을 운영하다 원주시자원봉사센터의 센터장이 된 *** 씨(61)와 장애인, 외국인, 쪽방촌 주민을 지원한 (주)신한은행은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 국내 최초의 전문 자원봉사자 교육기관으로 20년간 3만여 명에게 교육을 실시한 각당복지재단과 버스회사 특성을 살려 밥차 정비 등 재능봉사를 수행하며 직원들의 자원봉사 참여를 위해 배차조정 제도를 운영하는 대창운수주식회사도 대통령표창을 받는다.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홍보대사인 *** 아나운서와 강원도청 공무원 100여 명으로 구성된 ‘장애인을 생각하는 강원도청 공무원들의 모임’은 국무총리표창을 받는다.
□ 한편, 이 날 행사에서는 2016~2018 한국 자원봉사의 해 의 성과를 되돌아보며, 내년도 2017 한국 자원봉사의 해 추진을 위한 퍼포먼스를 벌인다.
○ 꿈씨 앙상블 공연과 경주 신라금 문화공연이 펼쳐지며, 자원봉사 홍보관과 자원봉사 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 등 다채로운 부대 행사가 열린다.
○ 특히 꿈씨 앙상블 공연은 장애아동을 위한 레슨과 음악회를 개최한 공로로 국무총리표창을 받는 컴파스타악기앙상블 신봉주 음악감독의 작품으로 자원봉사자의 날의 의미를 더한다.
|
56868
|
남을 위해 평생을 바친 ‘얼굴없는 천사들’
|
안전행정부
| 20,161,2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699
|
각당복지재단은 한국 최초의 전문 자원봉사자 교육기관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36,
"clue_text": "국내 최초의 전문 자원봉사자 교육기관으로 20년간 3만여 명에게 교육을 실시한 각당복지재단과 버스회사 특성을 살려 밥차 정비 등 재능봉사를 수행하며 직원들의 자원봉사 참여를 위해 배차조정 제도를 운영하는 대창운수주식회사도 대통령표창을 받는다.",
"options": null,
"text": "Yes"
}
|
오대산, 태백산 계곡 열목어 구애장소로 최적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올해 4월 3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오대산과 태백산 어류 모니터링 중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 중인 열목어의 구애행동을 촬영했다고 밝혔다.
○ 열목어는 연어목 연어과 어류로 냉수성 대형 담수어종이며, 국내에서는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의 일부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시베리아, 연해주, 압록강, 두만강 등 동북아 지역에 분포한다.
○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한여름에도 수온이 20도를 넘지 않는 계곡의 최상류 지역을 선호하며, 산란을 위해 4~5월에 계곡의 상류로 이동한 후 암·수가 짝을 이루고 모래와 자갈이 많은 곳에 알을 낳는다.
○ 주로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 서식하고 겨울에는 하류의 깊은 소(沼)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동하지 않고 상류에서 월동하는 개체들도 있다.
□ 오대산국립공원의 을수골계곡은 국내 최대 열목어 서식지로 안정적인 서식지 보호를 위해 2015년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백산 국립공원의 백천계곡은 국립공원 내에서도 산림이 잘 발달된 지역으로 열목어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잘 유지하고 있다.
○ 도로신설, 산지개발, 산림 골재채취 등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어 개체군 보호를 위해 2012년에 환경부에서 열목어를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였다.
○ 이번 촬영을 통해 오대산과 태백산이 국립공원 내에서도 열목어가 서식하는 대표적인 공원임이 확인되었다.
|
788340
|
오대산, 태백산 계곡 열목어 구애장소로 최적
|
환경부
| 20,170,50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07
|
열목어는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서 서식하고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0,
"clue_text": "주로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 서식하고 겨울에는 하류의 깊은 소(沼)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동하지 않고 상류에서 월동하는 개체들도 있다.",
"options": null,
"text": "Yes"
}
|
오대산, 태백산 계곡 열목어 구애장소로 최적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올해 4월 3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오대산과 태백산 어류 모니터링 중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 중인 열목어의 구애행동을 촬영했다고 밝혔다.
○ 열목어는 연어목 연어과 어류로 냉수성 대형 담수어종이며, 국내에서는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의 일부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시베리아, 연해주, 압록강, 두만강 등 동북아 지역에 분포한다.
○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한여름에도 수온이 20도를 넘지 않는 계곡의 최상류 지역을 선호하며, 산란을 위해 4~5월에 계곡의 상류로 이동한 후 암·수가 짝을 이루고 모래와 자갈이 많은 곳에 알을 낳는다.
○ 주로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 서식하고 겨울에는 하류의 깊은 소(沼)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동하지 않고 상류에서 월동하는 개체들도 있다.
□ 오대산국립공원의 을수골계곡은 국내 최대 열목어 서식지로 안정적인 서식지 보호를 위해 2015년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백산 국립공원의 백천계곡은 국립공원 내에서도 산림이 잘 발달된 지역으로 열목어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잘 유지하고 있다.
○ 도로신설, 산지개발, 산림 골재채취 등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어 개체군 보호를 위해 2012년에 환경부에서 열목어를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였다.
○ 이번 촬영을 통해 오대산과 태백산이 국립공원 내에서도 열목어가 서식하는 대표적인 공원임이 확인되었다.
|
788340
|
오대산, 태백산 계곡 열목어 구애장소로 최적
|
환경부
| 20,170,508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08
|
수온이 낮은 계곡의 하류에서 열목어가 살고 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0,
"clue_text": "주로 수온이 낮은 계곡의 상류에 서식하고 겨울에는 하류의 깊은 소(沼)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동하지 않고 상류에서 월동하는 개체들도 있다.",
"options": null,
"text": "No"
}
|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간통신사업자 50개, 별정통신사업자 55개, 부가통신사업자 35개 등 총 140개 전기통신사업자가 제출한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통신제한조치 협조 현황을 집계하여 발표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83,177건(4,675,415→3,792,238건, △18.9%), 문서 수 기준으로 30,002건(564,847→534,845건, △5.3%) 각각 감소하였다.
ㅇ ‘통신자료’는 통신서비스 가입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으로서 통신기록이나 통화내용은 아니다.
ㅇ 이러한 통신자료는 수사기관 등이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사실확인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58,582건(1,685,746→827,164건, △50.9%) 감소, 문서 수 기준으로 7,792건(150,062→157,854건, 5.2%) 증가하였다.
ㅇ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화나 통신의 내용이 아닌 통화나 통신의 단순 내역(통화나 문자전송 일시, 착⋅발신 상대방의 가입자번호, 통화시간, 기지국 위치 등)이다.
ㅇ 이러한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신비밀보호법에서 정한 요건과 절차에 따라 수사기관 등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한다.
|
1346182
|
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6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15
|
통신자료는 범죄 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22,
"clue_text": "이러한 통신자료는 수사기관 등이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options": null,
"text": "Yes"
}
|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간통신사업자 50개, 별정통신사업자 55개, 부가통신사업자 35개 등 총 140개 전기통신사업자가 제출한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통신제한조치 협조 현황을 집계하여 발표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83,177건(4,675,415→3,792,238건, △18.9%), 문서 수 기준으로 30,002건(564,847→534,845건, △5.3%) 각각 감소하였다.
ㅇ ‘통신자료’는 통신서비스 가입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으로서 통신기록이나 통화내용은 아니다.
ㅇ 이러한 통신자료는 수사기관 등이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사실확인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58,582건(1,685,746→827,164건, △50.9%) 감소, 문서 수 기준으로 7,792건(150,062→157,854건, 5.2%) 증가하였다.
ㅇ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화나 통신의 내용이 아닌 통화나 통신의 단순 내역(통화나 문자전송 일시, 착⋅발신 상대방의 가입자번호, 통화시간, 기지국 위치 등)이다.
ㅇ 이러한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신비밀보호법에서 정한 요건과 절차에 따라 수사기관 등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한다.
|
1346182
|
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6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16
|
범죄 수사를 위한 통신자료는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기 위해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공문으로 신청해야 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22,
"clue_text": "이러한 통신자료는 수사기관 등이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options": null,
"text": "No"
}
|
굴뚝원격감시체계, 상해 국제환경보호전 출품
CleanSYS 중국 상해국제환경보호전 출품계획
□ 출품 목적
○ 굴뚝원격감시체계(CleanSYS)를 도입한 대기보전정책의 성공사례 및 우수성 홍보 및 국산 측정기기의 동반 전시로 해외시장 진출지원
□ 전시회 참가 개요
○ 기간 : '10. 5. 5 ~ 7(3일)
※ 2000년부터 매년 전시회 개최, 우리나라는 일부 측정기기 업체가 개별적으로 참가하였으나, 2009년부터 CleanSYS 및 관련제품 동반 출품
○ 장소: 중국 상해( 상해新국제박람회센터(SNIEC)
○ 참가기관 :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 국내 6개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 참가
○ 참가규모 : 23개국 756개 업체 참가(’09년 전시회)
○ 전시회 내용 : 환경측정기기, 대기오염방지기술 및 장비, 폐수 처리시설 및 장비, 쓰레기처리 관련 생태보호 및 복원기술 등
□ 전시관 운영계획
○ CleanSYS 관제시스템 시연
- 중국 전시관 내에서 국내 사업장의 실시간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및 측정데이터의 원격관리 기법 시연
○ PDP 설치 동영상 홍보(CleanSYS), 패널 부착, 브로셔 배포 등
○ CleanSYS 관련 국산 자동측정기기 전시
- 국내 CleanSYS 관련 6개 제작사 제품 홍보 및 상담실 운영
○ 현지 언어 홍보물 전시(영어 병행) 및 통역원 배치
|
173064
|
굴뚝원격감시체계, 상해 국제환경보호전 출품
|
환경부
| 20,100,5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879
|
굴뚝원격감시체계의 중국 국제환경보호전에 한국은 6개의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가 참가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9,
"clue_text": "국내 6개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 참가",
"options": null,
"text": "Yes"
}
|
굴뚝원격감시체계, 상해 국제환경보호전 출품
CleanSYS 중국 상해국제환경보호전 출품계획
□ 출품 목적
○ 굴뚝원격감시체계(CleanSYS)를 도입한 대기보전정책의 성공사례 및 우수성 홍보 및 국산 측정기기의 동반 전시로 해외시장 진출지원
□ 전시회 참가 개요
○ 기간 : '10. 5. 5 ~ 7(3일)
※ 2000년부터 매년 전시회 개최, 우리나라는 일부 측정기기 업체가 개별적으로 참가하였으나, 2009년부터 CleanSYS 및 관련제품 동반 출품
○ 장소: 중국 상해( 상해新국제박람회센터(SNIEC)
○ 참가기관 :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 국내 6개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 참가
○ 참가규모 : 23개국 756개 업체 참가(’09년 전시회)
○ 전시회 내용 : 환경측정기기, 대기오염방지기술 및 장비, 폐수 처리시설 및 장비, 쓰레기처리 관련 생태보호 및 복원기술 등
□ 전시관 운영계획
○ CleanSYS 관제시스템 시연
- 중국 전시관 내에서 국내 사업장의 실시간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및 측정데이터의 원격관리 기법 시연
○ PDP 설치 동영상 홍보(CleanSYS), 패널 부착, 브로셔 배포 등
○ CleanSYS 관련 국산 자동측정기기 전시
- 국내 CleanSYS 관련 6개 제작사 제품 홍보 및 상담실 운영
○ 현지 언어 홍보물 전시(영어 병행) 및 통역원 배치
|
173064
|
굴뚝원격감시체계, 상해 국제환경보호전 출품
|
환경부
| 20,100,5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880
|
756개의 한국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가 중국 국제환경보호전에 참석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9,
"clue_text": "국내 6개 환경자동측정기기 제조업체 참가",
"options": null,
"text": "No"
}
|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간통신사업자 50개, 별정통신사업자 55개, 부가통신사업자 35개 등 총 140개 전기통신사업자가 제출한 20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통신제한조치 협조 현황을 집계하여 발표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83,177건(4,675,415→3,792,238건, △18.9%), 문서 수 기준으로 30,002건(564,847→534,845건, △5.3%) 각각 감소하였다.
ㅇ ‘통신자료’는 통신서비스 가입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으로서 통신기록이나 통화내용은 아니다.
ㅇ 이러한 통신자료는 수사기관 등이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요청하여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2016년 하반기에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제공된 통신사실확인자료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858,582건(1,685,746→827,164건, △50.9%) 감소, 문서 수 기준으로 7,792건(150,062→157,854건, 5.2%) 증가하였다.
ㅇ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화나 통신의 내용이 아닌 통화나 통신의 단순 내역(통화나 문자전송 일시, 착⋅발신 상대방의 가입자번호, 통화시간, 기지국 위치 등)이다.
ㅇ 이러한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신비밀보호법에서 정한 요건과 절차에 따라 수사기관 등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취득한다.
|
1346182
|
16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70,60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26
|
상대방의 번호와 통화시간 등 통신의 단순 내역은 통신자료를 의미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83,
"clue_text":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화나 통신의 내용이 아닌 통화나 통신의 단순 내역(통화나 문자전송 일시, 착⋅발신 상대방의 가입자번호, 통화시간, 기지국 위치 등)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동물등록제 현장 홍보 - ’13년 11월 10일, 서울대공원 -
동물등록제 개요
□ 추진배경 및 경과
○ 반려동물 및 그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관리함으로써 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신속하게 주인을 찾아주고, 동물소유자의 책임의식을 높여 동물을 유기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
- 이를 통해 유실․유기동물 보호비용 절감, 광견병 등 인수공통전염병 예방 및 실효성 있는 동물보호 가능
* 유기동물 발생현황 : (‘03)25 → (‘07)77 → (’09)83 → (’10)101 → (’12)99천두
* 유기동물 처리비용 : ('03)978 → (‘07)7,398 → ('09)7,719 → ('10)10,226 → (’12)9,832백만원
○ 동물보호법 개정을 통해 시·도지사 선택적 도입(’08.1월 개정)에서 전국 의무시행으로 확대(’12.2월 개정, 등록제 시행일은 ‘13.1.1일)
□ 등록대상동물
○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령 이상인 개
○ 등록대상동물을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
□ 등록방법 및 절차
○ 등록방법 : ①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 ②외장형 무선식별장치부착, ③등록인식표 부착
○ 등록절차 : ①동물소유자, 등록대행기관에 신청 → ②등록대행기관(등록정보를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입력, 등록신청서를 시·군·구에 송부) → ③시·군·구(등록정보 확인 및 등록)
|
310875
|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동물등록제 현장 홍보
|
농림축산식품부
| 20,131,10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식품건강"
}
|
20220422145720
| 5 |
5750889
|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 이상인 개는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67,
"clue_text":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령 이상인 개\n○ 등록대상동물을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
"options": null,
"text": "Yes"
}
|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동물등록제 현장 홍보 - ’13년 11월 10일, 서울대공원 -
동물등록제 개요
□ 추진배경 및 경과
○ 반려동물 및 그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관리함으로써 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신속하게 주인을 찾아주고, 동물소유자의 책임의식을 높여 동물을 유기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
- 이를 통해 유실․유기동물 보호비용 절감, 광견병 등 인수공통전염병 예방 및 실효성 있는 동물보호 가능
* 유기동물 발생현황 : (‘03)25 → (‘07)77 → (’09)83 → (’10)101 → (’12)99천두
* 유기동물 처리비용 : ('03)978 → (‘07)7,398 → ('09)7,719 → ('10)10,226 → (’12)9,832백만원
○ 동물보호법 개정을 통해 시·도지사 선택적 도입(’08.1월 개정)에서 전국 의무시행으로 확대(’12.2월 개정, 등록제 시행일은 ‘13.1.1일)
□ 등록대상동물
○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령 이상인 개
○ 등록대상동물을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
□ 등록방법 및 절차
○ 등록방법 : ①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 ②외장형 무선식별장치부착, ③등록인식표 부착
○ 등록절차 : ①동물소유자, 등록대행기관에 신청 → ②등록대행기관(등록정보를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입력, 등록신청서를 시·군·구에 송부) → ③시·군·구(등록정보 확인 및 등록)
|
310875
|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동물등록제 현장 홍보
|
농림축산식품부
| 20,131,10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식품건강"
}
|
20220422145720
| 5 |
5750890
|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반려의 취지로 키우는 3개월 이하인 개를 등록해야 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467,
"clue_text":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령 이상인 개\n○ 등록대상동물을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
"options": null,
"text": "No"
}
|
「Green 환경시설 탐방」과 함께하는 녹색시민의 하루!
□ 수도권대기환경청(청장 ***)은 녹색성장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이해 증진 및 환경 보전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고자 금년 3월부터「Green 환경시설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에게 생소한 대기총량제, 폐기물 자원화 및 신재생에너지 등의 환경정책을 전문가 해설 및 현장견학을 통해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 동 탐방 프로그램은 수도권 대기개선 대책을 홍보하고 맑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자 수도권 지역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실시하여 왔으며,
○ 특히, 금년부터는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을 새로이 추가하고 매회 35명 규모로 총 6차례에 걸쳐 실시할 예정이다.
□ 탐방코스는 2개 코스를 교대로 운영하여 참가자의 관심분야 및 거주지역에 따라 탐방코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A코스는 ‘안산재활용선별센터→안산자원회수시설→수도권대기총량관리센터→에너지절약 홍보관’ 로 구성하여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관제하는 시스템 견학, 신재생에너지 및 생활속 에너지 절약 체험 등이 특징이다.
○ B코스는 ‘중랑물재생센터→구리자원회수시설→신재생에너지 홍보관→장자호수 자연생태학습관’ 로 구성하여 생활하수 및 폐기물의 처리과정, 소각여열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와 침전지 상부의 태양광 발전설비 관람 등이 특징이다.
□ 또한, 평일 탐방 참여가 어려운 학생들을 위하여 여름방학(7~8월)기간에는 청소년 중심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 참가자에게는 체험학습 확인서 발급 및 탐방소감문 우수작 선정․포상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 수도권대기환경청은 금번 탐방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사회 구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 및 에너지 절약, 친환경 제품 구매, 쓰레기분리 배출 등 생활 속 실천을 도모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금년도 제1회 탐방은 오는 3. 17(화)에 실시될 예정으로, 참가 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수도권대기환경청 지역협력과(************)로 문의하면 된다.
|
167847
|
「Green 환경시설 탐방」과 함께하는 녹색시민의 하루!
|
환경부
| 20,090,3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899
|
Green 환경시설 탐방 프로그램은 2006년부터 시작되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34,
"clue_text": "동 탐방 프로그램은 수도권 대기개선 대책을 홍보하고 맑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자 수도권 지역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실시하여 왔으며,\n○ 특히, 금년부터는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을 새로이 추가하고 매회 35명 규모로 총 6차례에 걸쳐 실시할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Green 환경시설 탐방」과 함께하는 녹색시민의 하루!
□ 수도권대기환경청(청장 ***)은 녹색성장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이해 증진 및 환경 보전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고자 금년 3월부터「Green 환경시설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에게 생소한 대기총량제, 폐기물 자원화 및 신재생에너지 등의 환경정책을 전문가 해설 및 현장견학을 통해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 동 탐방 프로그램은 수도권 대기개선 대책을 홍보하고 맑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자 수도권 지역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실시하여 왔으며,
○ 특히, 금년부터는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을 새로이 추가하고 매회 35명 규모로 총 6차례에 걸쳐 실시할 예정이다.
□ 탐방코스는 2개 코스를 교대로 운영하여 참가자의 관심분야 및 거주지역에 따라 탐방코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A코스는 ‘안산재활용선별센터→안산자원회수시설→수도권대기총량관리센터→에너지절약 홍보관’ 로 구성하여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관제하는 시스템 견학, 신재생에너지 및 생활속 에너지 절약 체험 등이 특징이다.
○ B코스는 ‘중랑물재생센터→구리자원회수시설→신재생에너지 홍보관→장자호수 자연생태학습관’ 로 구성하여 생활하수 및 폐기물의 처리과정, 소각여열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와 침전지 상부의 태양광 발전설비 관람 등이 특징이다.
□ 또한, 평일 탐방 참여가 어려운 학생들을 위하여 여름방학(7~8월)기간에는 청소년 중심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 참가자에게는 체험학습 확인서 발급 및 탐방소감문 우수작 선정․포상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 수도권대기환경청은 금번 탐방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사회 구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 및 에너지 절약, 친환경 제품 구매, 쓰레기분리 배출 등 생활 속 실천을 도모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금년도 제1회 탐방은 오는 3. 17(화)에 실시될 예정으로, 참가 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수도권대기환경청 지역협력과(************)로 문의하면 된다.
|
167847
|
「Green 환경시설 탐방」과 함께하는 녹색시민의 하루!
|
환경부
| 20,090,3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00
|
수도권 지역의 청소년만 Green 환경시설 탐방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34,
"clue_text": "동 탐방 프로그램은 수도권 대기개선 대책을 홍보하고 맑고 깨끗한 공기의 소중함을 되새기고자 수도권 지역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실시하여 왔으며,\n○ 특히, 금년부터는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을 새로이 추가하고 매회 35명 규모로 총 6차례에 걸쳐 실시할 예정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인도네시아 공보통신장관 일행 수도권매립지 방문
6월 3일 인도네시아 모하마드 누르(Muhammad Mur) 공보통신 장관 일행이 수도권매립지를 방문, 매립지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등 공사의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화 등의 녹색기술에 놀라워했다.
이날 장관의 방문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이 열리는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특별전시관인 ‘녹색성장관’에 각국 정상들이 공사 홍보부스를 관람하였고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수행한 공보통신장관이 매립장 등 폐기물처리에 관심을 갖고 수도권매립지의 선진 시설을 둘러보기 위하여 방문하였다.
|
168645
|
인도네시아 공보통신장관 일행 수도권매립지 방문
|
환경부
| 20,090,60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800671
|
수도권 매립지에 인도네시아 공보통신 장관 일행이 방문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6,
"clue_text": "6월 3일 인도네시아 모하마드 누르(Muhammad Mur) 공보통신 장관 일행이 수도권매립지를 방문, 매립지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등 공사의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화 등의 녹색기술에 놀라워했다.",
"options": null,
"text": "Yes"
}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수집·운반 및 재활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계획
□ 조례에 근거한 별지 서식 신설
❍ 시행규칙을 개정할 때마다 발생하는 서식 변경 절차 해소
❍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배출사업장 발생억제 및 처리계획 신고 및 변경신고 관련 별지 제1호서식~제7호서식 신설
Ⅲ 주요개정내용
□ 폐기물관리법 제68조제1항제1호 삭제로 인하여 과태료 부과근거조항을 같은 법 제68조제3항제3호로 변경(안 제12조제3항)
Ⅳ 향후 계획
□ 2021.4.22. ~ 5.12. 입법예고,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성별영향분석평가
□ 2021.5월 조례규칙심의회 심의
□ 2021.6월 구의회 심의
|
D0000042402436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수집·운반 및 재활용에 관한 조례」일부개정 계획"
|
서울특별시청
| 20,210,42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729
|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 배출 사업장에 규제심사는 4월에 계획되어 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48,
"clue_text": "2021.4.22. ~ 5.12. 입법예고,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성별영향분석평가",
"options": null,
"text": "Yes"
}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수집·운반 및 재활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계획
□ 조례에 근거한 별지 서식 신설
❍ 시행규칙을 개정할 때마다 발생하는 서식 변경 절차 해소
❍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배출사업장 발생억제 및 처리계획 신고 및 변경신고 관련 별지 제1호서식~제7호서식 신설
Ⅲ 주요개정내용
□ 폐기물관리법 제68조제1항제1호 삭제로 인하여 과태료 부과근거조항을 같은 법 제68조제3항제3호로 변경(안 제12조제3항)
Ⅳ 향후 계획
□ 2021.4.22. ~ 5.12. 입법예고,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성별영향분석평가
□ 2021.5월 조례규칙심의회 심의
□ 2021.6월 구의회 심의
|
D0000042402436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수집·운반 및 재활용에 관한 조례」일부개정 계획"
|
서울특별시청
| 20,210,42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공공행정"
}
|
20220422145720
| 5 |
5738730
|
6월에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 배출 사업장에 대한 규제심사가 예고되어 있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48,
"clue_text": "2021.4.22. ~ 5.12. 입법예고,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성별영향분석평가",
"options": null,
"text": "No"
}
|
한국자원재생공사 「재활용기술지도사업」실시
□‘99년도부터 2002년까지 기술지도를 받은 업체들은 지적소유권 16건을 획득하는 등 생산공정의 자동화,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재활용기술지도사업 지원업체로 선정이 되면 6개월 이내의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비의 85%는 공사에서 무상 지원한다. 1회 지원 한도액은 1천 5백만원까지이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을 제조하는 재활용사업자라면 누구든지 신청이 가능하다.
□재활용기술지도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자원재생공사 기술연구처 기술관리팀(************)으로 문의하거나 공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oreco.or.kr)를 참고하면 된다.
|
83101
|
한국자원재생공사 「재활용기술지도사업」실시
|
환경부
| 20,040,10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25
|
재활용기술지도사업 지원업체로 선정되면 한국자원재생공사로부터 6개월 이내의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10,
"clue_text": "재활용기술지도사업 지원업체로 선정이 되면 6개월 이내의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비의 85%는 공사에서 무상 지원한다. 1회 지원 한도액은 1천 5백만원까지이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을 제조하는 재활용사업자라면 누구든지 신청이 가능하다.",
"options": null,
"text": "Yes"
}
|
한국자원재생공사 「재활용기술지도사업」실시
□‘99년도부터 2002년까지 기술지도를 받은 업체들은 지적소유권 16건을 획득하는 등 생산공정의 자동화,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재활용기술지도사업 지원업체로 선정이 되면 6개월 이내의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비의 85%는 공사에서 무상 지원한다. 1회 지원 한도액은 1천 5백만원까지이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을 제조하는 재활용사업자라면 누구든지 신청이 가능하다.
□재활용기술지도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자원재생공사 기술연구처 기술관리팀(************)으로 문의하거나 공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oreco.or.kr)를 참고하면 된다.
|
83101
|
한국자원재생공사 「재활용기술지도사업」실시
|
환경부
| 20,040,10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26
|
재활용기술지도사업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액 한국자원재생공사가 부담하고 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10,
"clue_text": "재활용기술지도사업 지원업체로 선정이 되면 6개월 이내의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비의 85%는 공사에서 무상 지원한다. 1회 지원 한도액은 1천 5백만원까지이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을 제조하는 재활용사업자라면 누구든지 신청이 가능하다.",
"options": null,
"text": "No"
}
|
참나무숲의 탄소저장량이 소나무숲보다 약 2배 많아
□ 환경부는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현상을 지역별로 중장기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장기적인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을 예측하고 대응할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기생태연구결과를 밝혔다.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은 10년간 3단계(3년+3년+4년)로 추진되며, 1단계사업은 공주대학교(연구책임자 문형태 교수)가 주관하고 연간 190여명의 연구진(책임급 50여명, 선임급 등 140여명)이 참여.
□ 1단계사업(2004.12~2007.3)은 1차년도에 육상분야 4개(점봉산, 지리산, 월악산, 남산), 담수분야 3개(낙동강, 한강, 우포), 연안분야 1개(함평만)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초생태연구를 수행하고, 2차년도부터는 동해안산불피해지 및 동물생태 연구를 추가하여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기모니터링 기반 및 향후 생태계의 변화 추이 파악을 위한 연구 체계를 구축하였다.
|
159505
|
참나무숲의 탄소저장량이 소나무숲보다 약 2배 많아
|
환경부
| 20,07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800681
|
환경부는 국가장기생태연구결과를 발표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
"clue_text": "환경부는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현상을 지역별로 중장기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장기적인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을 예측하고 대응할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기생태연구결과를 밝혔다.",
"options": null,
"text": "Yes"
}
|
참나무숲의 탄소저장량이 소나무숲보다 약 2배 많아
□ 환경부는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현상을 지역별로 중장기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장기적인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을 예측하고 대응할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기생태연구결과를 밝혔다.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은 10년간 3단계(3년+3년+4년)로 추진되며, 1단계사업은 공주대학교(연구책임자 문형태 교수)가 주관하고 연간 190여명의 연구진(책임급 50여명, 선임급 등 140여명)이 참여.
□ 1단계사업(2004.12~2007.3)은 1차년도에 육상분야 4개(점봉산, 지리산, 월악산, 남산), 담수분야 3개(낙동강, 한강, 우포), 연안분야 1개(함평만)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초생태연구를 수행하고, 2차년도부터는 동해안산불피해지 및 동물생태 연구를 추가하여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기모니터링 기반 및 향후 생태계의 변화 추이 파악을 위한 연구 체계를 구축하였다.
|
159505
|
참나무숲의 탄소저장량이 소나무숲보다 약 2배 많아
|
환경부
| 20,070,80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800682
|
국가장기생태연구결과를 공주대학교가 발표했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0,
"clue_text": "환경부는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현상을 지역별로 중장기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장기적인 환경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을 예측하고 대응할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기생태연구결과를 밝혔다.",
"options": null,
"text": "No"
}
|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2018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안) 개요
다. 부문별 주요사업
5. 환경일반 부문
환경보건 분야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강화와 사고재발 방지 대책 마련
○ 전국단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의료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보건센터 3개소 추가 확충
*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17년 1개소 10억원→’18년 4개소 40억원)
○ 가습기살균제 피해 인정여부 결정을 위해서 전문의 수당 및 노출 실태 조사비 지급
* 전문의 검토수당 ‘18년 12억원 및 노출실태 현장조사 8억원 반영
○ 가습기사태 원인물질의 주요 위해요소인 흡입독성 시험‧연구를 위해 GLP(화학물질 유해성시험기관) 육성
*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 살생물제를 별도의 체계에서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살생물제 안전관리법 법률」시행(‘19.1.1) 대비를 위해 살생물제 全과정 안전관리기반 구축
* 표준시험방법 개발등 살생물제 관리제도 기반구축 26억원
기후미래 분야
□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 지속가능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지속위 지원 확대, 全세대․계층 맞춤형 환경교육 추진 및 온실가스 관리 투자 강화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원(‘18년 32억원, +11억원), 환경교육강화(‘18년 128억원, +18억원),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18년 115억원, +15억원)
□ 환경산업 육성․수출지원으로 환경분야 성장 동력 확보
○ 중소 환경산업체 자금 지원 확대, 중소 환경기업 해외진출 애로 해소 및 미래환경산업 펀드 지속 투자
*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 환경분야 R&D 지속 투자
○ 미세먼지․AI 대응, 생활화학제품 및 지중생활공간 관리 강화 등 환경 현안 대응 R&D 투자 강화('18년 3,036억원)
|
811370
|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
환경부
| 20,17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35
|
환경부는 2018년에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GLP 시설설비에 88억원을 반영할 계획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4,
"clue_text":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options": null,
"text": "Yes"
}
|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2018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안) 개요
다. 부문별 주요사업
5. 환경일반 부문
환경보건 분야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강화와 사고재발 방지 대책 마련
○ 전국단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의료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보건센터 3개소 추가 확충
*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17년 1개소 10억원→’18년 4개소 40억원)
○ 가습기살균제 피해 인정여부 결정을 위해서 전문의 수당 및 노출 실태 조사비 지급
* 전문의 검토수당 ‘18년 12억원 및 노출실태 현장조사 8억원 반영
○ 가습기사태 원인물질의 주요 위해요소인 흡입독성 시험‧연구를 위해 GLP(화학물질 유해성시험기관) 육성
*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 살생물제를 별도의 체계에서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살생물제 안전관리법 법률」시행(‘19.1.1) 대비를 위해 살생물제 全과정 안전관리기반 구축
* 표준시험방법 개발등 살생물제 관리제도 기반구축 26억원
기후미래 분야
□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 지속가능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지속위 지원 확대, 全세대․계층 맞춤형 환경교육 추진 및 온실가스 관리 투자 강화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원(‘18년 32억원, +11억원), 환경교육강화(‘18년 128억원, +18억원),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18년 115억원, +15억원)
□ 환경산업 육성․수출지원으로 환경분야 성장 동력 확보
○ 중소 환경산업체 자금 지원 확대, 중소 환경기업 해외진출 애로 해소 및 미래환경산업 펀드 지속 투자
*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 환경분야 R&D 지속 투자
○ 미세먼지․AI 대응, 생활화학제품 및 지중생활공간 관리 강화 등 환경 현안 대응 R&D 투자 강화('18년 3,036억원)
|
811370
|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
환경부
| 20,17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36
|
2018년에 환경부는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GLP 시설설비에 26억원을 투입할 예정일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74,
"clue_text":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options": null,
"text": "No"
}
|
국립공원 대피소·야영장, 봄철 성수기 예약 추첨
봄 성수기 추첨제 세부 안내
□ 추첨 대상 기간 : 2016.05.16.(월) ~ 2016.06.15.(수), 31일간
□ 대상 시설
○ 대피소 : 13개소, 1,072석
․ 노고단 : 독립형 82석 추첨제 운영
(침상형 26석은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인터넷 선착순 접수)
․ 제2연화봉 : 독립형 111석만 추첨제 운영
(침상형 14석은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인터넷 선착순 접수)
○ 야영장 : 20개소, 1,668동
․ 예약제 대상 전체 28개소(2,496동) 중 공사 및 진입로 폐쇄 등으로 인한 야영장 8개소(828동)제외
□ 신청접수 기간 : 2016.04.19.(화) 09:00 ~ 2016.04.26.(화) 12:00
○ 선착순이 아니므로 추첨신청 시간과 추첨 당첨 결과는 무관합니다.
○ 신청횟수 : 기간 내 1인 최대 대피소 2건, 야영장 2건 신청 가능(동일 날짜 중복 신청 불가)
□ 추첨일시 : 2016.04.26.(화) 14:00
□ 결과발표 : 2016.04.26.(화) 18:00
○ 추첨결과는 예약통합시스템->나의 예약정보->대피소/야영장 예약보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당첨자에게는 ‘예약당첨’ 문자메세지를 발송합니다.
※ 당첨자 발표 후 실제 예약당첨 확인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결제기간 : 2016.04.26.(화) 18:00 ~ 2016.04.28.(목) 18:00
○ 결제 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마감시간 30분 이전에 결제 바랍니다. (미결제시 당첨이 자동취소 됩니다.)
※ 추첨 미신청, 미결제로 인한 자동취소 잔여석은 해당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선착순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
625110
|
국립공원 대피소·야영장, 봄철 성수기 예약 추첨
|
환경부
| 20,160,411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33
|
국립공원 대피소와 야영장 예약 신청접수는 2016년 4월 19일부터 시작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27,
"clue_text": "신청접수 기간 : 2016.04.19.(화) 09:00 ~ 2016.04.26.(화) 12:00",
"options": null,
"text": "Yes"
}
|
국립공원 대피소·야영장, 봄철 성수기 예약 추첨
봄 성수기 추첨제 세부 안내
□ 추첨 대상 기간 : 2016.05.16.(월) ~ 2016.06.15.(수), 31일간
□ 대상 시설
○ 대피소 : 13개소, 1,072석
․ 노고단 : 독립형 82석 추첨제 운영
(침상형 26석은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인터넷 선착순 접수)
․ 제2연화봉 : 독립형 111석만 추첨제 운영
(침상형 14석은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인터넷 선착순 접수)
○ 야영장 : 20개소, 1,668동
․ 예약제 대상 전체 28개소(2,496동) 중 공사 및 진입로 폐쇄 등으로 인한 야영장 8개소(828동)제외
□ 신청접수 기간 : 2016.04.19.(화) 09:00 ~ 2016.04.26.(화) 12:00
○ 선착순이 아니므로 추첨신청 시간과 추첨 당첨 결과는 무관합니다.
○ 신청횟수 : 기간 내 1인 최대 대피소 2건, 야영장 2건 신청 가능(동일 날짜 중복 신청 불가)
□ 추첨일시 : 2016.04.26.(화) 14:00
□ 결과발표 : 2016.04.26.(화) 18:00
○ 추첨결과는 예약통합시스템->나의 예약정보->대피소/야영장 예약보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당첨자에게는 ‘예약당첨’ 문자메세지를 발송합니다.
※ 당첨자 발표 후 실제 예약당첨 확인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결제기간 : 2016.04.26.(화) 18:00 ~ 2016.04.28.(목) 18:00
○ 결제 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마감시간 30분 이전에 결제 바랍니다. (미결제시 당첨이 자동취소 됩니다.)
※ 추첨 미신청, 미결제로 인한 자동취소 잔여석은 해당 예약 개시일에 현행의 선착순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
625110
|
국립공원 대피소·야영장, 봄철 성수기 예약 추첨
|
환경부
| 20,160,411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34
|
2016년 4월 26일부터 국립공원 대피소와 야영장 예약 신청접수가 개시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27,
"clue_text": "신청접수 기간 : 2016.04.19.(화) 09:00 ~ 2016.04.26.(화) 12:00",
"options": null,
"text": "No"
}
|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2018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안) 개요
다. 부문별 주요사업
5. 환경일반 부문
환경보건 분야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강화와 사고재발 방지 대책 마련
○ 전국단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의료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보건센터 3개소 추가 확충
*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17년 1개소 10억원→’18년 4개소 40억원)
○ 가습기살균제 피해 인정여부 결정을 위해서 전문의 수당 및 노출 실태 조사비 지급
* 전문의 검토수당 ‘18년 12억원 및 노출실태 현장조사 8억원 반영
○ 가습기사태 원인물질의 주요 위해요소인 흡입독성 시험‧연구를 위해 GLP(화학물질 유해성시험기관) 육성
*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 살생물제를 별도의 체계에서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살생물제 안전관리법 법률」시행(‘19.1.1) 대비를 위해 살생물제 全과정 안전관리기반 구축
* 표준시험방법 개발등 살생물제 관리제도 기반구축 26억원
기후미래 분야
□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 지속가능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지속위 지원 확대, 全세대․계층 맞춤형 환경교육 추진 및 온실가스 관리 투자 강화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원(‘18년 32억원, +11억원), 환경교육강화(‘18년 128억원, +18억원),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18년 115억원, +15억원)
□ 환경산업 육성․수출지원으로 환경분야 성장 동력 확보
○ 중소 환경산업체 자금 지원 확대, 중소 환경기업 해외진출 애로 해소 및 미래환경산업 펀드 지속 투자
*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 환경분야 R&D 지속 투자
○ 미세먼지․AI 대응, 생활화학제품 및 지중생활공간 관리 강화 등 환경 현안 대응 R&D 투자 강화('18년 3,036억원)
|
811370
|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
환경부
| 20,17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37
|
2018년에 환경전문무역상사가 설립될 예정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807,
"clue_text":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options": null,
"text": "Yes"
}
|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2018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안) 개요
다. 부문별 주요사업
5. 환경일반 부문
환경보건 분야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강화와 사고재발 방지 대책 마련
○ 전국단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의료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보건센터 3개소 추가 확충
*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17년 1개소 10억원→’18년 4개소 40억원)
○ 가습기살균제 피해 인정여부 결정을 위해서 전문의 수당 및 노출 실태 조사비 지급
* 전문의 검토수당 ‘18년 12억원 및 노출실태 현장조사 8억원 반영
○ 가습기사태 원인물질의 주요 위해요소인 흡입독성 시험‧연구를 위해 GLP(화학물질 유해성시험기관) 육성
* ‘18년 만성흡입독성 시험챔버 등 시설설비 88억원 반영
○ 살생물제를 별도의 체계에서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살생물제 안전관리법 법률」시행(‘19.1.1) 대비를 위해 살생물제 全과정 안전관리기반 구축
* 표준시험방법 개발등 살생물제 관리제도 기반구축 26억원
기후미래 분야
□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 지속가능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지속위 지원 확대, 全세대․계층 맞춤형 환경교육 추진 및 온실가스 관리 투자 강화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원(‘18년 32억원, +11억원), 환경교육강화(‘18년 128억원, +18억원),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18년 115억원, +15억원)
□ 환경산업 육성․수출지원으로 환경분야 성장 동력 확보
○ 중소 환경산업체 자금 지원 확대, 중소 환경기업 해외진출 애로 해소 및 미래환경산업 펀드 지속 투자
*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 환경분야 R&D 지속 투자
○ 미세먼지․AI 대응, 생활화학제품 및 지중생활공간 관리 강화 등 환경 현안 대응 R&D 투자 강화('18년 3,036억원)
|
811370
|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
환경부
| 20,170,829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38
|
환경전문무역상사가 2019년에 창립될 계획일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807,
"clue_text": "환경전문무역상사 설립(‘18년 15억원 신규), 환경산업육성융자('18년 26억원, +8억원), 미래환경산업 펀드('18년 150억원",
"options": null,
"text": "No"
}
|
고양환경에너지시설, 고양시·시민단체 성능달성, 정상운전 확인
지적 사항(지자체, 외부기관, 시민단체 등) 및 문제점
지적사항
1. 소각용량 성능 입증
2. 다이옥신 설계기준 준수
3. 로정설비 유출가스 발생
4. 비산재 초과배출 및 현장 흩날림
조치내용
1. 소각용량 성능 입증(1,2호기 동시 가동)
소각용량 향상을 위한 시설 개선
- 주요 설비 잦은 고장해소 ⇒ 용융로 안정화 유도
․연소실 오토마이져 막힘 현상 및 트러블 해소
․산소제조설비 개선 ⇒ 안정운전 이행
․보일러 수관 파공 보완 및 슬래그 이송설비 개선
2. 다이옥신 설계기준 준수
연소후 재생성 영역 차단을 위해 보일러 설비 개선 및 수관내 퇴적물, 클링커 제거 작업
- 보일러 급수헤드 전면 보완공사
활성탄 분사설비
- 블로워, 이송배관, 분사노즐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입자상 다이옥신 제거를 위한 여과집진기 여과포 전량 교체
굴뚝 전면 보수공사
- 부식에 의한 Leak ⇒ 전면 보수 외부 공기 유입 방지
3. 로정설비 유출가스 발생
로정설비 가스배출 Duct 개선으로 유출 방지
- 문제점
․용융로에 쓰레기 투입 시 분해가스 소량이 쓰레기 벙커에 유출
- 개선내용
․Purge Tank 용량 확대 및 Duct 개선
- 기대효과
․분해가스의 안정적 처리로 외부 유출방지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4. 비산재 초과배출 및 현장 흩날림
현황
- 2011년도 기준 비산재 발생 설계치(3.734kg/day) 대비(11.367kg/day) 305% 초과배출
- 비산재 이송 관로 막힘 현상 발생, 작업장 내 비산으로 근무자 건강상 위해 우려
조치사항
- 소각 후 발생되는 비산재 과다발생은 준공당시부터 설계치를 초과한 사항으로 시공사가 설계오류로 인정
- 타 열분해소각장에서도 5%내외 발생한 사항으로서 초과 처리비용은 시공사가 부담
- 소각동내 비산재 막힘현상 해소
- 소각동내 비산먼지에 대한 전문기관에 중금속 분석
⇒ 구리(기준이내)외 항목은 불검출되어 공기질 안전하게 관리
향후계획
- 향후 연소실,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비산재는 일반폐기물로 처리 검토 ⇒ 지정폐기물량 감소
- 비산재를 분리 배출 설비 간소화로 소각동내 비산먼지 발생을 차단하고 주변 청소를 통한 환경오염을 사전 예방
|
181728
|
고양환경에너지시설, 고양시·시민단체 성능달성, 정상운전 확인
|
환경부
| 20,120,61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19
|
고양환경에너지시설에서 소각작업 후 비산재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시공사의 설계오류때문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793,
"clue_text": "소각 후 발생되는 비산재 과다발생은 준공당시부터 설계치를 초과한 사항으로 시공사가 설계오류로 인정\n- 타 열분해소각장에서도 5%내외 발생한 사항으로서 초과 처리비용은 시공사가 부담",
"options": null,
"text": "Yes"
}
|
고양환경에너지시설, 고양시·시민단체 성능달성, 정상운전 확인
지적 사항(지자체, 외부기관, 시민단체 등) 및 문제점
지적사항
1. 소각용량 성능 입증
2. 다이옥신 설계기준 준수
3. 로정설비 유출가스 발생
4. 비산재 초과배출 및 현장 흩날림
조치내용
1. 소각용량 성능 입증(1,2호기 동시 가동)
소각용량 향상을 위한 시설 개선
- 주요 설비 잦은 고장해소 ⇒ 용융로 안정화 유도
․연소실 오토마이져 막힘 현상 및 트러블 해소
․산소제조설비 개선 ⇒ 안정운전 이행
․보일러 수관 파공 보완 및 슬래그 이송설비 개선
2. 다이옥신 설계기준 준수
연소후 재생성 영역 차단을 위해 보일러 설비 개선 및 수관내 퇴적물, 클링커 제거 작업
- 보일러 급수헤드 전면 보완공사
활성탄 분사설비
- 블로워, 이송배관, 분사노즐 이물질 제거 및 청소
입자상 다이옥신 제거를 위한 여과집진기 여과포 전량 교체
굴뚝 전면 보수공사
- 부식에 의한 Leak ⇒ 전면 보수 외부 공기 유입 방지
3. 로정설비 유출가스 발생
로정설비 가스배출 Duct 개선으로 유출 방지
- 문제점
․용융로에 쓰레기 투입 시 분해가스 소량이 쓰레기 벙커에 유출
- 개선내용
․Purge Tank 용량 확대 및 Duct 개선
- 기대효과
․분해가스의 안정적 처리로 외부 유출방지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4. 비산재 초과배출 및 현장 흩날림
현황
- 2011년도 기준 비산재 발생 설계치(3.734kg/day) 대비(11.367kg/day) 305% 초과배출
- 비산재 이송 관로 막힘 현상 발생, 작업장 내 비산으로 근무자 건강상 위해 우려
조치사항
- 소각 후 발생되는 비산재 과다발생은 준공당시부터 설계치를 초과한 사항으로 시공사가 설계오류로 인정
- 타 열분해소각장에서도 5%내외 발생한 사항으로서 초과 처리비용은 시공사가 부담
- 소각동내 비산재 막힘현상 해소
- 소각동내 비산먼지에 대한 전문기관에 중금속 분석
⇒ 구리(기준이내)외 항목은 불검출되어 공기질 안전하게 관리
향후계획
- 향후 연소실,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비산재는 일반폐기물로 처리 검토 ⇒ 지정폐기물량 감소
- 비산재를 분리 배출 설비 간소화로 소각동내 비산먼지 발생을 차단하고 주변 청소를 통한 환경오염을 사전 예방
|
181728
|
고양환경에너지시설, 고양시·시민단체 성능달성, 정상운전 확인
|
환경부
| 20,120,614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20
|
고양환경에너지시설에서 비산재가 많이 생기겨서 발생하는 초과처리 비용은 고양시가 부담하고 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793,
"clue_text": "소각 후 발생되는 비산재 과다발생은 준공당시부터 설계치를 초과한 사항으로 시공사가 설계오류로 인정\n- 타 열분해소각장에서도 5%내외 발생한 사항으로서 초과 처리비용은 시공사가 부담",
"options": null,
"text": "No"
}
|
환경산업기술원, 세계은행과 손잡고 환경교육 자료 개발
□ 이번 계약은 지난 9월 6일 인천 송도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세계은행이 체결한 협력의향서(SOI)에 따라, 온라인 교육 자료의 공동 활용을 통해 국내 우수한 환경정책을 소개하고 개도국의 환경 분야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 양 기관은 △개도국 환경 분야 관계자 역량 강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진단 및 분석, △투자재원 설계 및 환경 유망국 공동 사업 발굴 등 3개 분야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으며, 이번 계약은 첫 후속조치다.
□ 환경산업기술원은 이번 계약 외에도 세계은행과 공동으로 개발도상국 대상 기술자문 및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 지원과 연계한 환경사업발굴 등을 추진하며, 국내 환경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우수 환경기술 및 정책·제도를 전 세계에 알릴뿐만 아니라, 세계은행 등 다자개발은행(MDB)와 협력을 강화해 국내 환경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서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829380
|
환경산업기술원, 세계은행과 손잡고 환경교육 자료 개발
|
환경부
| 20,171,212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42
|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SOI를 체결한 곳은 개도국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32,
"clue_text": "이번 계약은 지난 9월 6일 인천 송도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세계은행이 체결한 협력의향서(SOI)에 따라, 온라인 교육 자료의 공동 활용을 통해 국내 우수한 환경정책을 소개하고 개도국의 환경 분야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options": null,
"text": "No"
}
|
2011년도 친환경 건강도우미․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 발대식 및 사회공헌 협약식 개최
□ 한편, 2007년부터 추진해 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은 보육시설, 유치원 등 실내환경 민감군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 다중이용시설의 안전한 실내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시설 내 10종의 실내공기질 유해인자를 측정․분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무료로 컨설팅해주고 있다.
○ 올해에는 시설 개선을 위해 웅진코웨이(주)의 협찬을 받아 공기청정기를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환경부는 이번 발대식 및 사회공헌기업 협약식을 계기로 가정 및 다중이용시설 내 환경유해인자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환경보건 인식 제고를 기대하며,
○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대표적인 친서민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친환경 건강도우미 및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을 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177579
|
’11년도 친환경 건강도우미·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 발대식 및 사회공헌 협약식 개최
|
환경부
| 20,110,5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43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사업은 2007년부터 추진해온 거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0,
"clue_text": "한편, 2007년부터 추진해 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은 보육시설, 유치원 등 실내환경 민감군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n○ 다중이용시설의 안전한 실내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시설 내 10종의 실내공기질 유해인자를 측정․분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무료로 컨설팅해주고 있다.",
"options": null,
"text": "Yes"
}
|
2011년도 친환경 건강도우미․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 발대식 및 사회공헌 협약식 개최
□ 한편, 2007년부터 추진해 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은 보육시설, 유치원 등 실내환경 민감군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 다중이용시설의 안전한 실내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시설 내 10종의 실내공기질 유해인자를 측정․분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무료로 컨설팅해주고 있다.
○ 올해에는 시설 개선을 위해 웅진코웨이(주)의 협찬을 받아 공기청정기를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환경부는 이번 발대식 및 사회공헌기업 협약식을 계기로 가정 및 다중이용시설 내 환경유해인자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환경보건 인식 제고를 기대하며,
○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대표적인 친서민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친환경 건강도우미 및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을 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177579
|
’11년도 친환경 건강도우미·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 발대식 및 사회공헌 협약식 개최
|
환경부
| 20,110,5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38744
|
2011년부터 다중이용시설이 실내공기질 사업이 진행된 거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50,
"clue_text": "한편, 2007년부터 추진해 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컨설팅 사업’은 보육시설, 유치원 등 실내환경 민감군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n○ 다중이용시설의 안전한 실내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시설 내 10종의 실내공기질 유해인자를 측정․분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무료로 컨설팅해주고 있다.",
"options": null,
"text": "No"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주요 환경규제개혁 과제의 내용을 살펴보면
ㅇ 셋째, 국민불편 해소와 소비자 정보제공 확대 등 생활공감형 규제개혁 과제도 추진한다.
- 금년 중 원격측정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면제하고, 실효성이 낮은 정기검사는 단계적 폐지를 검토할 방침이다.
- 업체간 품질 경쟁을 유도하여 소비자가 질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먹는샘물 광고를 허용하고, 먹는샘물 유통기한 표시방법도 개선하는 한편,
- 지자체 청소업체의 영업구역 확대를 통해 특정 청소업체의 독점운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청소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청소서비스의 질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ㅇ 이 밖에도,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 제도를 정비하여 환경성 평가체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통합법 제정도 연내 추진된다.
□ 그동안 환경분야는 저공해 기술의 발전으로 오염물질 처리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과학적인 관리에 기반한 오염총량관리제가 시행되는 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지만,
ㅇ 기존의 입지규제, 배출규제와 같은 환경규제는 발전된 과학기술수준이나 제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그대로 유지되어옴에 따라 이중규제, 불합리한 규제라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점을 고려하면,
ㅇ 이번 규제개혁의 방향과 내용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우리나라의 환경규제는 한층 선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즉, 앞선 기술을 적용하고, 과학적인 관리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면서도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신규투자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국민 불편해소는 물론 지역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부는 규제개혁 TF를 구성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금년 내 76개 과제를 완료하되, 그중 절반인 34개 과제는 상반기에 집중 추진하여 규제개혁 효과를 조기에 가시화할 방침이다.
ㅇ 아울러, 규제정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부작용(환경피해, 이해관계 충돌 등)에 대비하여 다양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전문가․민간단체 등과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대안과 사후관리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29
|
환경규제 개선으로 인해 먹는샘물 광고 제한이 해제되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02,
"clue_text": "업체간 품질 경쟁을 유도하여 소비자가 질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먹는샘물 광고를 허용하고, 먹는샘물 유통기한 표시방법도 개선하는 한편,\n- 지자체 청소업체의 영업구역 확대를 통해 특정 청소업체의 독점운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청소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청소서비스의 질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주요 환경규제개혁 과제의 내용을 살펴보면
ㅇ 셋째, 국민불편 해소와 소비자 정보제공 확대 등 생활공감형 규제개혁 과제도 추진한다.
- 금년 중 원격측정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면제하고, 실효성이 낮은 정기검사는 단계적 폐지를 검토할 방침이다.
- 업체간 품질 경쟁을 유도하여 소비자가 질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먹는샘물 광고를 허용하고, 먹는샘물 유통기한 표시방법도 개선하는 한편,
- 지자체 청소업체의 영업구역 확대를 통해 특정 청소업체의 독점운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청소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청소서비스의 질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ㅇ 이 밖에도,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 제도를 정비하여 환경성 평가체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통합법 제정도 연내 추진된다.
□ 그동안 환경분야는 저공해 기술의 발전으로 오염물질 처리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과학적인 관리에 기반한 오염총량관리제가 시행되는 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지만,
ㅇ 기존의 입지규제, 배출규제와 같은 환경규제는 발전된 과학기술수준이나 제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그대로 유지되어옴에 따라 이중규제, 불합리한 규제라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점을 고려하면,
ㅇ 이번 규제개혁의 방향과 내용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우리나라의 환경규제는 한층 선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즉, 앞선 기술을 적용하고, 과학적인 관리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면서도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신규투자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국민 불편해소는 물론 지역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부는 규제개혁 TF를 구성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금년 내 76개 과제를 완료하되, 그중 절반인 34개 과제는 상반기에 집중 추진하여 규제개혁 효과를 조기에 가시화할 방침이다.
ㅇ 아울러, 규제정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부작용(환경피해, 이해관계 충돌 등)에 대비하여 다양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전문가․민간단체 등과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대안과 사후관리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30
|
먹는샘물 광고를 허용하게 되면 업체 간 경쟁으로 인해 소비자는 품질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게 되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02,
"clue_text": "업체간 품질 경쟁을 유도하여 소비자가 질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먹는샘물 광고를 허용하고, 먹는샘물 유통기한 표시방법도 개선하는 한편,\n- 지자체 청소업체의 영업구역 확대를 통해 특정 청소업체의 독점운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청소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청소서비스의 질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한 수시검사 실시
□ 11월 말 현재 5차종에 대한 수시검사를 완료하였고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차종은 9차종이며 나머지 11차종은 현재 진행 중에 있는데 금년 12월 중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 수시검사가 완료된 5차종 중에서 3차종은 최종 합격, 2차종은 최종 불합격 판정되었으며 불합격 판정된 2차종은 출고 및 판매 중지, 등록사업소 통보, 인증서 회수 등의 조치를 하였다
○ 수시검사 대상차량 중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9개 차종에 대해서는 인증서를 회수하여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였고, 추가로 수입되는 차량이 있을 경우 수시검사를 즉시 받도록 조치하였다.
□ 향후 최종 불합격 판정된 차종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청문”, “인증취소” 및 “고발조치”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번 수시검사에서 제외된 나머지 수입이륜차(72차종)에 대하여도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수시검사를 실시하여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이륜차가 수입, 판매되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171285
|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한 수시검사 실시
|
환경부
| 20,091,12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49
|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에 대한 수시검사 대상차량 중 9종이 재고부족으로 검사 진행을 못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50,
"clue_text": "수시검사 대상차량 중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9개 차종에 대해서는 인증서를 회수하여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였고, 추가로 수입되는 차량이 있을 경우 수시검사를 즉시 받도록 조치하였다.",
"options": null,
"text": "Yes"
}
|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한 수시검사 실시
□ 11월 말 현재 5차종에 대한 수시검사를 완료하였고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차종은 9차종이며 나머지 11차종은 현재 진행 중에 있는데 금년 12월 중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 수시검사가 완료된 5차종 중에서 3차종은 최종 합격, 2차종은 최종 불합격 판정되었으며 불합격 판정된 2차종은 출고 및 판매 중지, 등록사업소 통보, 인증서 회수 등의 조치를 하였다
○ 수시검사 대상차량 중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9개 차종에 대해서는 인증서를 회수하여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였고, 추가로 수입되는 차량이 있을 경우 수시검사를 즉시 받도록 조치하였다.
□ 향후 최종 불합격 판정된 차종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청문”, “인증취소” 및 “고발조치”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번 수시검사에서 제외된 나머지 수입이륜차(72차종)에 대하여도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수시검사를 실시하여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이륜차가 수입, 판매되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171285
|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한 수시검사 실시
|
환경부
| 20,091,12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50
|
9개 차종이 수입이륜차 배출허용기준 준수에 대한 수시검사에서 최종 합격했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50,
"clue_text": "수시검사 대상차량 중 재고가 없어 수시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9개 차종에 대해서는 인증서를 회수하여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였고, 추가로 수입되는 차량이 있을 경우 수시검사를 즉시 받도록 조치하였다.",
"options": null,
"text": "No"
}
|
그린카 택시 국내 첫선
□ 하이브리드 택시는 이산화탄소 등 배출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친환경차일 뿐만 아니라 연비가 좋아 차량 유지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증가 추세에 있다.
○ 미국 뉴욕시는 2012년까지 모든 택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대체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13천대의 택시중 20%를 하이브리드 택시로 전환하였고, 일본 등에서도 하이브리드 택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 정부는 금번 시범사업 결과를 평가하여 장래 개발 양산되는 하이브리드자동차나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차량을 택시나 버스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
171355
|
그린카 택시 국내 첫선
|
환경부
| 20,091,20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47557
|
2012년까지 미국 뉴욕시는 모든 택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바꿀 생각이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105,
"clue_text": "미국 뉴욕시는 2012년까지 모든 택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대체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13천대의 택시중 20%를 하이브리드 택시로 전환하였고, 일본 등에서도 하이브리드 택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options": null,
"text": "Yes"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2. 주요 규제개혁과제 설명 자료
4 자연공원 용도지구 개선
□ 현황
¦ ‘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현재 20개 국립공원을 지정․운영
- 총 면적 6,580㎢, 육지 59%(3,899㎢), 해면 41%(2,681㎢) 차지
- 육지면적 기준으로 국토면적 대비 3.9% 수준
¦ 공원 유형별로는 육상(16개소), 해상(2개소, 한려․다도해), 해안(1개소, 태안), 사적(1개소, 경주)으로 구분
□ 그간 제기된 문제점
¦ 공원구역은 국공유지 61%, 사유지 39%로 사유지가 과다
- 산악공원에 비해 해상 및 사적 공원의 사유지는 더욱 과다
* 사유지(육지기준) : 다도해(81%), 한려해상(83.1%), 경주(89.7%)
¦ 공원지정 이전부터 주민 다수 거주
- 대부분 외국은 국립공원 내에 주민이 거의 거주하지 않으나 우리나라는 주민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행위 규제 불가피
* 약 24,700가구(58천여 명 거주), 자연마을(451개소), 밀집마을(169개소)
□ 개선방향 및 추진내용
<공원구역 조정>
¦ 공원경계와 연접하고 생태가치가 높은 국공유지 적극 편입
¦ 공원 지정 이전부터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해 온 지역 및 숙박․음식업소 등이 밀집된 개발지역 등을 공원구역에서 해제
<용도지구 조정>
¦ 자연 및 밀집마을지구, 집단시설지구 ⇒ ‘마을지구’로 일원화
- 관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도록 일원화하고 규제를 완화
¦ 탐방계획지구(에코빌리지) ⇒ 신설
- 고품격 레저․숙박 수요 증가, 자가용 탐방행태 등 여건변화를 반영하여 저밀도․친환경 숙박시설과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추진계획
¦ 준비단계(‘09.1∼2) : 조정체계 구축
- “공원별 실무추진팀”, “공원별 지역협의체”, “총괄협의회” 구성
¦ 1단계(‘09.1∼6) : 공원경계선과 도시계획선 불일치 조정
¦ 2단계(‘09∼’10) : 공원구역 타당성 조사 및 공원구역 조정
⇒ ‘09년 중 조정안이 확정되는 공원은 ’10년 상반기에 고시하고, 나머지 공원에 대해서는 ‘10년 하반기에 고시를 완료
[기대효과]
용도지구 개편을 통해 자연자원 보전 중심의 공원관리체계 구축
용도지구별 행위제한의 합리적 조정에 따른 주민불편사항 해소 및 탐방객 편의 도모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39
|
자연공원 용도지구 개선 자료에 따르면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20개의 국립공원이 지정됐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6,
"clue_text": "‘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현재 20개 국립공원을 지정․운영",
"options": null,
"text": "Yes"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2. 주요 규제개혁과제 설명 자료
4 자연공원 용도지구 개선
□ 현황
¦ ‘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현재 20개 국립공원을 지정․운영
- 총 면적 6,580㎢, 육지 59%(3,899㎢), 해면 41%(2,681㎢) 차지
- 육지면적 기준으로 국토면적 대비 3.9% 수준
¦ 공원 유형별로는 육상(16개소), 해상(2개소, 한려․다도해), 해안(1개소, 태안), 사적(1개소, 경주)으로 구분
□ 그간 제기된 문제점
¦ 공원구역은 국공유지 61%, 사유지 39%로 사유지가 과다
- 산악공원에 비해 해상 및 사적 공원의 사유지는 더욱 과다
* 사유지(육지기준) : 다도해(81%), 한려해상(83.1%), 경주(89.7%)
¦ 공원지정 이전부터 주민 다수 거주
- 대부분 외국은 국립공원 내에 주민이 거의 거주하지 않으나 우리나라는 주민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행위 규제 불가피
* 약 24,700가구(58천여 명 거주), 자연마을(451개소), 밀집마을(169개소)
□ 개선방향 및 추진내용
<공원구역 조정>
¦ 공원경계와 연접하고 생태가치가 높은 국공유지 적극 편입
¦ 공원 지정 이전부터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해 온 지역 및 숙박․음식업소 등이 밀집된 개발지역 등을 공원구역에서 해제
<용도지구 조정>
¦ 자연 및 밀집마을지구, 집단시설지구 ⇒ ‘마을지구’로 일원화
- 관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도록 일원화하고 규제를 완화
¦ 탐방계획지구(에코빌리지) ⇒ 신설
- 고품격 레저․숙박 수요 증가, 자가용 탐방행태 등 여건변화를 반영하여 저밀도․친환경 숙박시설과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추진계획
¦ 준비단계(‘09.1∼2) : 조정체계 구축
- “공원별 실무추진팀”, “공원별 지역협의체”, “총괄협의회” 구성
¦ 1단계(‘09.1∼6) : 공원경계선과 도시계획선 불일치 조정
¦ 2단계(‘09∼’10) : 공원구역 타당성 조사 및 공원구역 조정
⇒ ‘09년 중 조정안이 확정되는 공원은 ’10년 상반기에 고시하고, 나머지 공원에 대해서는 ‘10년 하반기에 고시를 완료
[기대효과]
용도지구 개편을 통해 자연자원 보전 중심의 공원관리체계 구축
용도지구별 행위제한의 합리적 조정에 따른 주민불편사항 해소 및 탐방객 편의 도모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40
|
2009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20개의 국립공원이 자연공원 용도지구로 선정됐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6,
"clue_text": "‘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현재 20개 국립공원을 지정․운영",
"options": null,
"text": "No"
}
|
『SW융합클러스터 대덕센터』개소 - SW 중심의 첨단 국방 SW융합 생태계 조성 기대
o 2015년까지 총 6개 지역에(대구 수성, 부산 센텀, 경기 판교, 인천 송도, 경북 포항, 전북 전주) “SW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하고, 2016년 4월 ‘대전 대덕’과 ‘광주・전남 나주빛가람’ 2개 지역을 추가 선정함으로써, SW융합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지역별 특화분야) 「대구 : SW품질」, 「부산 : 조선해양․기계․항만물류」, 「경기 : 금융․보안․게임」, 「인천 : 바이오․로봇」, 「경북 : 자동차․모바일」,「전북 : 농생명」, 「대전 : 국방」, 「광주・전남 : 에너지신산업」
o 그동안, 기 조성된 6개 지역의 ‘SW융합클러스터’는 신규고용 6,000명, 창업기업 수 140개, 인력양성 1,800명의 성과를 거두었고,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SW중심사회 실현 전략’ 및 ‘K-ICT 전략’의 전국 확산 거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
1309692
|
SW융합클러스터 대덕센터 개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60,82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59
|
대구 SW융합클러스터의 특화분야는 SW품질이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14,
"clue_text": "(지역별 특화분야) 「대구 : SW품질」, 「부산 : 조선해양․기계․항만물류」, 「경기 : 금융․보안․게임」, 「인천 : 바이오․로봇」, 「경북 : 자동차․모바일」,「전북 : 농생명」, 「대전 : 국방」, 「광주・전남 : 에너지신산업」",
"options": null,
"text": "Yes"
}
|
『SW융합클러스터 대덕센터』개소 - SW 중심의 첨단 국방 SW융합 생태계 조성 기대
o 2015년까지 총 6개 지역에(대구 수성, 부산 센텀, 경기 판교, 인천 송도, 경북 포항, 전북 전주) “SW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하고, 2016년 4월 ‘대전 대덕’과 ‘광주・전남 나주빛가람’ 2개 지역을 추가 선정함으로써, SW융합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지역별 특화분야) 「대구 : SW품질」, 「부산 : 조선해양․기계․항만물류」, 「경기 : 금융․보안․게임」, 「인천 : 바이오․로봇」, 「경북 : 자동차․모바일」,「전북 : 농생명」, 「대전 : 국방」, 「광주・전남 : 에너지신산업」
o 그동안, 기 조성된 6개 지역의 ‘SW융합클러스터’는 신규고용 6,000명, 창업기업 수 140개, 인력양성 1,800명의 성과를 거두었고,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SW중심사회 실현 전략’ 및 ‘K-ICT 전략’의 전국 확산 거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
1309692
|
SW융합클러스터 대덕센터 개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60,826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60
|
에너지신산업이 대구 SW융합클러스터의 특화분야일까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214,
"clue_text": "(지역별 특화분야) 「대구 : SW품질」, 「부산 : 조선해양․기계․항만물류」, 「경기 : 금융․보안․게임」, 「인천 : 바이오․로봇」, 「경북 : 자동차․모바일」,「전북 : 농생명」, 「대전 : 국방」, 「광주・전남 : 에너지신산업」",
"options": null,
"text": "No"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2. 주요 규제개혁과제 설명 자료
12 폐기물부담금 제도 개선
□ 현황
¦ ‘08년부터 향후 5년에 걸쳐 폐기물부담금을 실처리비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
¦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경우 폐기물부담금을 면제
□ 그간 제기된 문제점
¦ 부담금 부과대상 플라스틱 중 재활용 가능품목을 EPR로 전환 요구
□ 개선방향 및 추진내용
¦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플라스틱 중 재활용률이 높은 품목을 EPR 대상으로 단계적 전환,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
□ 추진계획
¦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운영(‘09.1∼10)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추진('09.11~'10.8)
[기대효과]
플라스틱 제조․수입자의 부담 경감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폐기물의 재활용 촉진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79
|
폐기물부담금을 2008년부터 실처리비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할 예정이지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7,
"clue_text": "‘08년부터 향후 5년에 걸쳐 폐기물부담금을 실처리비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n¦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경우 폐기물부담금을 면제",
"options": null,
"text": "Yes"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2. 주요 규제개혁과제 설명 자료
12 폐기물부담금 제도 개선
□ 현황
¦ ‘08년부터 향후 5년에 걸쳐 폐기물부담금을 실처리비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
¦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경우 폐기물부담금을 면제
□ 그간 제기된 문제점
¦ 부담금 부과대상 플라스틱 중 재활용 가능품목을 EPR로 전환 요구
□ 개선방향 및 추진내용
¦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플라스틱 중 재활용률이 높은 품목을 EPR 대상으로 단계적 전환,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
□ 추진계획
¦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운영(‘09.1∼10)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추진('09.11~'10.8)
[기대효과]
플라스틱 제조․수입자의 부담 경감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폐기물의 재활용 촉진
|
167540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
환경부
| 20,090,213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환경기상"
}
|
20220422145720
| 5 |
5750980
|
2008년부터 폐기물부담금을 단계적으로 인하하니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67,
"clue_text": "‘08년부터 향후 5년에 걸쳐 폐기물부담금을 실처리비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n¦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경우 폐기물부담금을 면제",
"options": null,
"text": "No"
}
|
실패가 용인되고, 재도전하는 정보통신기술 벤처 생태계를 위하여’ -미래부, 재도전 창업․사업화 지원 등 「벤처 재도전 지원 사업」본격 추진 -
□ 우선 실패기업인의 사회복귀 및 재도전 촉진을 위해 ‘재도전 컴백(Comeback) 캠프’를 개최하고, 글로벌 동향․기업가 정신 및 해외 마케팅 등 재도전 기업인 등의 역량 강화를 위한 현지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o 컴백 캠프는 재도전을 희망하는 실패기업인에 대한 교육을 비롯하여 성공 사례 공유, 청년 인재 등과의 교류 등을 통해 성공가능성이 높은 창업아이템 도출의 열린 형태의 캠프로 운영되며,
o 재창업시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정보통신기술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유망 벤처․예비창업자 등과 공동으로 재도전 기업인에 대한 ‘글로벌 기업가정신 교육 과정’ 및 ‘글로벌 스타트업 캠프’ 참여 등도 추진된다.
□ 둘째, 재도전 기업인의 재창업 및 성장지원을 위해 재도전 기업인이 실제 창업을 통해 아이템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지원하는 한편, 재창업을 위한 전용 자금도 확대될 계획이다.
o 기 시행 중인 ‘재창업 전용 연구개발(R&D) 사업(4.24일 현재 신청 과제에 대한 평가 진행 중, 20억원)’과 함께,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기업인의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사업 기획 → 시제품 제작 →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평가․지원하는 ‘재도전 창업․사업화 지원’을 추진한다.
o 실패 후 재창업 기업을 위한 재기 전용 펀드도 추가 결성된다. 중기청이 200억원의 재기 전용 펀드를 결성(旣확정, 3.13.)한데 이어, KIF*(Korea IT Fund)를 통한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펀드도 결성(출자규모 100억원)되어 재도전에 대한 자금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 2003년 통신3사 출자를 통해 3,000억원 규모로 결성된 순수 민간 IT 전문 펀드로, 440억원 규모 KIF 자펀드 출자 계획 중 100억원의 재도전 전문 펀드(결성 예정)에 출자키로 확정(4.22.)
|
1213744
|
『벤처 재도전 지원 사업 추진계획』 수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40,42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73
|
중기청이 재창업 기업을 위한 200억원 규모의 재기 전용 펀드를 결성했어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748,
"clue_text": "중기청이 200억원의 재기 전용 펀드를 결성(旣확정, 3.13.)한데 이어, KIF*(Korea IT Fund)를 통한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펀드도 결성(출자규모 100억원)되어 재도전에 대한 자금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options": null,
"text": "Yes"
}
|
실패가 용인되고, 재도전하는 정보통신기술 벤처 생태계를 위하여’ -미래부, 재도전 창업․사업화 지원 등 「벤처 재도전 지원 사업」본격 추진 -
□ 우선 실패기업인의 사회복귀 및 재도전 촉진을 위해 ‘재도전 컴백(Comeback) 캠프’를 개최하고, 글로벌 동향․기업가 정신 및 해외 마케팅 등 재도전 기업인 등의 역량 강화를 위한 현지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o 컴백 캠프는 재도전을 희망하는 실패기업인에 대한 교육을 비롯하여 성공 사례 공유, 청년 인재 등과의 교류 등을 통해 성공가능성이 높은 창업아이템 도출의 열린 형태의 캠프로 운영되며,
o 재창업시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정보통신기술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유망 벤처․예비창업자 등과 공동으로 재도전 기업인에 대한 ‘글로벌 기업가정신 교육 과정’ 및 ‘글로벌 스타트업 캠프’ 참여 등도 추진된다.
□ 둘째, 재도전 기업인의 재창업 및 성장지원을 위해 재도전 기업인이 실제 창업을 통해 아이템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지원하는 한편, 재창업을 위한 전용 자금도 확대될 계획이다.
o 기 시행 중인 ‘재창업 전용 연구개발(R&D) 사업(4.24일 현재 신청 과제에 대한 평가 진행 중, 20억원)’과 함께,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기업인의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사업 기획 → 시제품 제작 →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평가․지원하는 ‘재도전 창업․사업화 지원’을 추진한다.
o 실패 후 재창업 기업을 위한 재기 전용 펀드도 추가 결성된다. 중기청이 200억원의 재기 전용 펀드를 결성(旣확정, 3.13.)한데 이어, KIF*(Korea IT Fund)를 통한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펀드도 결성(출자규모 100억원)되어 재도전에 대한 자금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 2003년 통신3사 출자를 통해 3,000억원 규모로 결성된 순수 민간 IT 전문 펀드로, 440억원 규모 KIF 자펀드 출자 계획 중 100억원의 재도전 전문 펀드(결성 예정)에 출자키로 확정(4.22.)
|
1213744
|
『벤처 재도전 지원 사업 추진계획』 수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40,425 |
{
"class": "중앙행정기관 분류체계",
"code": "과학기술"
}
|
20220422145720
| 5 |
5738774
|
재창업 기업을 위해 200억원 규모의 재기 전용 펀드를 만든 건 미래부야
| false |
{
"answer_start": null,
"clue_start": 748,
"clue_text": "중기청이 200억원의 재기 전용 펀드를 결성(旣확정, 3.13.)한데 이어, KIF*(Korea IT Fund)를 통한 정보통신기술 분야 재도전 펀드도 결성(출자규모 100억원)되어 재도전에 대한 자금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options": null,
"text": "No"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